-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14 11:35:13
Name   원하
Subject   정맥주사라인 잡기 이야기
Zel님이 유게에 가져온 닥터테디 병원폭파 3화 링크입니다.

저도 인턴한테 정맥주사 라인 잡게 시키는 병원에서 트레이닝 받았는데, 병원이라는 무림정글에서 인턴으로 들어오면 정말 레벨 1의 뉴비거든요. 온갖 강캐들 등쌀에 치여가면서 태스크 완료하면서 레벨 올라가는 기분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술기들 하다보면 그런 몇몇 순간들이 있습니다. 계단식 성장곡선에서 다음 계단으로 올라가는 시점들이죠. 체력 및 멘탈 고갈상태로 1년을 버티면 여러 술기들, 특히 정맥주사 라인잡기에 한해서는 나중에는 정말 무림고수가 된 듯합니다.

몇몇 에피소드들 보면, 3월 제일 처음에 흉부외과에서 수술 전날 라인 잡아야했던 건장한 아저씨, 두번이나 실패했는데 오히려 먼저 자신감있게하라고 해줘서 무척 감사했었습니다. 다시 생각해도 배려해주는 느낌이 참 좋은 환자분이었습니다. 출발이 좋았네요.

두번째는 내과계 중환자실. 여기 멘탈나가서 obey안되는데 몸도 부어서 혈관 안보이는 에이즈환자 아저씨가 있었습니다. 내과계 중환자실에 인턴업무 인수인계 받으러 갔더니 인계해주는 인턴 카운터가 일주일 전에 라인잡다가 바늘에 찔렸다더군요. 에이즈 검사결과 기다리면서 항바이러스약먹고 있다는 흉흉한 소식 듣고는 더 무서웠습니다. 그래도 여기는 보호자가 환자 옆에 없어서, 내 페이스대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한달보내고 왔더니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폐관수련한 기분이더군요.

마지막으로 혼돈의 소아응급실. 퀄과 속도 모두 잡아야 하는 곳이죠. 대개 아이들은 살집이 있어서 혈관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어린 혈관은 탄력이 있어서 시각에 의지하기보단, 만져보면서 촉각에 의지해야 하는걸 알려준 곳이었습니다. 마치 낚시할 때의 손맛 같은게 제대로입니다. 그런데 미운 네살. 한두살 정도 어린 애기들은 겁나 울면서도 힘이 없어서 팔을 도망가지 못하는데, 네살쯤되면 자기 의지를 관철시키는 힘이 생깁니다. 라인 잡을라고 팔 붙잡고 있기도 어렵고, 기껏 잡아놨더니 뽑아버리기도 하고.. 여기는 술기도 난이도가 있는데, 보호자가 더 신경쓰였어요. 여기까지 했더니 정맥주사는 경지에 올랐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그런 저를 다시 겸허하게 해준 마우스 꼬리정맥 주사에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이거도 이제는 좀 경지에 오른 느낌이라 흠흠. 그래도 겸손해야죠.



0


    레지엔
    닥터 테디가 나온 학교의 전설... 이랄까 선배가 이빨까는 본인 무용담인데(뭐 인턴 수석이었으니 깔만한 분이긴 하지만), 소아 검지손가락에 18게이지 잡아서 수술방에 들여보낸 분이 있죠. 찔린 애한테 묵념...

    IV잡은 진짜 짜증나는게 사실 기술 자체는 한 두 달 하면 이미 성장 포화에 이르렀는데 일이 줄어드는 건 아니니 재미없고 피곤하기만 하고, 그렇게 숙련돼봤자 1년차부터는 쓸모가 없고(... 어 생각해보니까 가끔 샘플링할 일이 있긴 하구나...), 몇 년 안하면 기술을 잃어버리는게 억울하고, 고생에 대해서 남들은 별 신경... 더 보기
    닥터 테디가 나온 학교의 전설... 이랄까 선배가 이빨까는 본인 무용담인데(뭐 인턴 수석이었으니 깔만한 분이긴 하지만), 소아 검지손가락에 18게이지 잡아서 수술방에 들여보낸 분이 있죠. 찔린 애한테 묵념...

    IV잡은 진짜 짜증나는게 사실 기술 자체는 한 두 달 하면 이미 성장 포화에 이르렀는데 일이 줄어드는 건 아니니 재미없고 피곤하기만 하고, 그렇게 숙련돼봤자 1년차부터는 쓸모가 없고(... 어 생각해보니까 가끔 샘플링할 일이 있긴 하구나...), 몇 년 안하면 기술을 잃어버리는게 억울하고, 고생에 대해서 남들은 별 신경을 안쓰는(특히 의사 선배라고 할 수 있는 인간들이 그러하죠) 게 서럽고, 특히 이게 인턴의 일이 된 게 병원 내 권력갈등에서 제일 정치적으로 연약한 인턴에게 떠넘겨져 있다는 그 역사 자체가 부정적인 감정을 유도하죠. 본 만화에서 간호사에 대해 부정적으로 그린 장면이 들어간 것도 어찌보면 당연하지 않나 싶습니다.
    April_fool
    저는 의무병도 아닌데 군대에서 IV라인 잡는 법을 배웠더랬죠. 뭐 일주일간의 교육 중에 포함된 맛보기였습니다만… 교육 명목은 유사시 의무병이 부족할 때 의무병의 손을 도와줄 수 있는 요원을 양성한다는 건데, 고작 그 정도 실습으로 실제 상황에서 정맥 라인을 잡는 것을 기대한다는 건 아무리 봐도 무리가 아닌가 싶어요. 차라리 골내주사 키트 사용법을 가르쳐준다면 모를까…
    Beer Inside
    Mouse tail vein 이 좀 심하지요
    눈부심
    검색하다가 본 영상인데 쥐가 너무 불쌍해요 부잉 ㅠ
    https://www.youtube.com/watch?v=QoGmUSOJSoM
    Cannulation of Rat Tail Vein and Right Carotid
    Beer Inside
    이건 rat이라서 쉬운편입니다
    바틀비
    던전을 뜷고 레벨이 올라가는 의사 캐릭터를 보는 것 같네요.
    인턴하시는 분들 얘기 들어보면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의외의 변수들이 많은가봐요. 지침을 준수하는 것 외에도 일종의 임기응변 능력도 갖추어야 되는 것 같고.
    Beer Inside
    정맥주사 하면

    정종과 맥주를 섞어 마시고 주사를 ?
    컬쳐쇽인데요.
    인턴이 sample을 하는게 아니라 IV를 잡는다고요? --;;;
    샘플은 당연히 하는건데, 병동 정규 IV는 IVer라고 담당하는 간호직이 따로 있었습니다. 월급이 500이 넘는다는 소문을 들었는데, 실제 그런가는 모르겠네요. 병동 당직때 IV 콜은 인턴이 받았죠. 내과계 중환자실은 아예 IVer의 권외라서 다했었고요. 소아응급실은 응급구조사들이 라인을 1차적으로 하긴하는데, 인력 딸릴때는 (사실 항상 딸리는게 함정 --;) 인턴이 했습니다. 그런데 애기들은 어차피 샘플 받을 때 카테타 꽂아두고 흘려서 샘플 통 채우잖아요. 샘플 받는김에 IV잡아놓고 오는 경우 많았죠. 재밌기는 소아가 제일 재밌습니다.
    제가 인턴 시절엔 모든 IV/sample이 인턴잡이었습니다. 잡는건 인턴, 빼는건 간호사다 보니 좀만 아프다 그러면 다 빼버리고 인턴 콜해서 빡치곤 했죠. 1시간 더 들어가면 끝나는 플루이드도 빼는
    인턴이 iv 잡는 병원이 그렇게 많았나보네요...?
    저희는 일반 iv는 간호사가 잡습니다만, 항암이랑 수혈할 때도 iv 인턴이 잡으라고 하는 거 참았다가 레지던트 되고 나서 교수들 꼬시고 미친놈마냥 수간에게 생난리쳐서 간호사 잡으로 돌린 적이 있는데... 운이 좋았던 건가요...
    요즘은 급한 환자 iv 안 잡히면 그냥 central을 잡거나 뼈 뚫습니다
    Beer Inside
    개인적으로 여유만 있고 환자들이 고통에 동참할 용기가 있다면 인턴이 IV를 잡는 것이 좋다고 생각은 합니다.

    IV기술은 추후 인건비 문제로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1인과 개업하는 시절이 온다면 유용한 기술이니까요.

    옛날 전설속의 한 병원은 IV 라인만 잡는 것이 아니라 항생제 주사도 인턴이 했던 적이 있습니다.

    바쁜 인턴이 항생제 주사를 빨리 주는 바람에 인턴이 주사를 주고 병실 문을 나서면 환자들이 구토를 한다는 전설이 있었지요.

    요즘은 항암주사를 맞는 환자는 대부분 chemoport를 심어 버립니다.
    제가 첫 내과 병동 돌때 주말 걸려서 5-FU 주사기 두개가 올라왔어요. 간호사가 콜와서 IVS 하라길래 그냥 아무생각 없이 두개 슛했습니다. 사실 토/일 나눠서 해야 하는건데 뭐 간호사가 두개 다 세팅했으니 그냥 했죠. 오더 체크를 하고 어쩌고 시끄러웠지만 전 무사히 넘어갔습니다. 환자가 토하긴 했습니다만 다른 사이드는 없었어요. anti중에서도 vanco라던지 그런 약들은 인턴이 줬던 기억이 있네요. 지금부터 대략 20년전. IV therapist? ㅋㅋ 그냥 BST하는 옆병원 인턴들을 보고 그나마 여긴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그... 더 보기
    제가 첫 내과 병동 돌때 주말 걸려서 5-FU 주사기 두개가 올라왔어요. 간호사가 콜와서 IVS 하라길래 그냥 아무생각 없이 두개 슛했습니다. 사실 토/일 나눠서 해야 하는건데 뭐 간호사가 두개 다 세팅했으니 그냥 했죠. 오더 체크를 하고 어쩌고 시끄러웠지만 전 무사히 넘어갔습니다. 환자가 토하긴 했습니다만 다른 사이드는 없었어요. anti중에서도 vanco라던지 그런 약들은 인턴이 줬던 기억이 있네요. 지금부터 대략 20년전. IV therapist? ㅋㅋ 그냥 BST하는 옆병원 인턴들을 보고 그나마 여긴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그 병원은 인턴들이 vital도 쟀었다는 전설이.

    하지만 저의 IV 인생중에 제일 위기는 전공의 1년차때였습니다. 무슨 전공의가 IV를 하냐 싶지만 그땐 CT 방에서 방사선과 일년차들이 18게이지를 잡았어요. 뭐 주로 앤티뷰비털에 잡고 말았지만. 하루는 정말 이 병원에서 보기 힘든 고운 새댁이 오셨어요. 전 과장이랑 주니어 스탭 한분이 씨티 방으로 오셨습니다. 굽신굽신. 아 삼성가의 며느리였어요. 우리 일년차가 주사를 잘 줍니다. ㅋㅋ 웬걸 150CC 조영제를 앤티큐비털에 파워 인젝을 해버렸죠. 그 사모님 당황하지 않고 아주 우아하게 대처하더군요. 전 전공의 생활이 여기서 끝나는구나 싶었는데 그 이후로 아무런 다른 소리를 못들었습니다. 스탭들도 한마디도 안하시고. 그 이후로 삼성가를 존경하고 있습니다.
    Beer Inside
    ㅋㅋㅋ... SMC로 갔으면 수간호사와 펠로우가 정성것 PICC를 했을 터인데......
    Smc 생가고 바로 다음해라 대략 신뢰가 별로 없었다는.. PICC 도 저희병원선 없었던거 같아요. 제가 1년차때 케모포트 히크만 넘어오기 시작했었죠.
    Beer Inside
    연세가 ㅋ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19 의료/건강헤로인과 모르핀 이야기 9 모모스 16/09/17 16149 1
    3708 의료/건강니코틴과 히로뽕 이야기 5 모모스 16/09/15 11466 6
    3569 의료/건강기면증과 Modafinil (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릴까?) 3 모모스 16/08/24 5494 0
    3198 의료/건강fMRI 관련 연구에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28 Azurespace 16/07/05 9492 4
    3185 의료/건강기분을 먹고 사는 어떤 장내세균 23 눈부심 16/07/04 4660 2
    3171 의료/건강담배는 파킨슨병을 줄여줄 것인가? 22 레지엔 16/07/01 4733 2
    3147 의료/건강콜린성 두드러기 앓는 분이 혹시 계신지 궁금하네요 22 우너모 16/06/28 8528 0
    3038 의료/건강살을 빼고 싶으시다면.. 42 눈부심 16/06/16 4900 0
    2924 의료/건강정신질환과 폭력 그리고 감금 12 Beer Inside 16/05/31 5239 4
    2905 의료/건강신해철 법에 대한 디시인의 만화.jpg (의료넷 분들의 의견은?) 58 양웬리 16/05/27 7158 0
    2883 의료/건강[후기] Darwin4078님의 April_fool님을 위한 실내 맨몸 운동 루틴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4 4864 0
    2859 의료/건강망상장애에 대한 경험과 생각들. 10 Obsobs 16/05/22 10443 7
    2854 의료/건강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20 모모스 16/05/21 9983 2
    2838 의료/건강신해철법 통과 73 ORIFixation 16/05/19 5671 1
    2835 의료/건강장병(瘴病) 이야기. 14 기아트윈스 16/05/19 6451 16
    2818 의료/건강암살자 리신 12 모모스 16/05/16 11181 5
    2808 의료/건강정맥주사라인 잡기 이야기 21 원하 16/05/14 11417 0
    2802 의료/건강정말로 신은 없습니다. 22 레지엔 16/05/13 4983 1
    2794 의료/건강마약성 진통제 복용 후기 25 2Novation 16/05/13 10841 0
    2788 의료/건강의사쌤보다 훌륭한 구더기님덜 19 눈부심 16/05/12 7316 1
    2740 의료/건강알약 하나로 치료하는 공포의 기억 33 눈부심 16/05/04 6946 3
    2679 의료/건강병원에서 피진어 현상 54 리틀미 16/04/23 6819 3
    2647 의료/건강타이레놀과 울트라셋 이야기 6 모모스 16/04/20 17044 1
    2617 의료/건강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26 모모스 16/04/14 9913 5
    2605 의료/건강판피린 3형제 이야기 32 모모스 16/04/13 14431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