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14 09:21:27
Name   맷코발스키
Subject   곡성 - 말하지 않는 것의 미덕(미리니름 有)
1. 인터넷이 곡성으로 아주 떠들석한데, 이것만큼은 열심히 쟁여두던 영화라서 스포를 밟지 않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사실상 인터넷을 원만하게 하기 위해 영화를 일찍 보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포 없이 보는 것이 훨씬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호불호도 갈리고, 황당해하고, 심지어 분개하는 분들도 있지만요. 그래도 브루스웨인이 귀신이라는 것, 절름발이가 범인이라는 것, 꼬맹이가 살인마였다는 것을 모르고 영화를 보는 것이 훨씬 재밌잖아요? 그런데 지금 포스터를 보니까 '현혹되지 마라'고 광고를 해놨네요.


2. 세부적인 장면들과 해석, 주제에 대해서는 이미 좋은 비평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숟가락 하나 얹어보자면 주제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결, 하나는 의심에 대한 것이고 하나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비논리적이고 비현실적인 악(과연?)에 관한 것 같아요. 뭐, 후자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신념 상 별로 정당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또, 기존 스릴러, 호러 영화에서 뻔뻔하게 나오던 것이기는 하지요. 흥미로운 연출과 극 진행이 없었더라면 그 부분 때문에 꽤나 실망스러웠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또한, 같은 문제를 제기했지만 실망스러웠던 몇몇 영화들과 나란히 하기엔 그 주제를 나름 끄덕일만하게 제시한 것 같고요.


3. 이상하지만, 이 영화를 보면서 디씨의 영원한 우상인 놀란 감독이 떠올랐는데요(아니다 이 악마야). 왜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놀란은  강박적으로 개연성과 논리성에 집착하는 감독입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또는 영화 자체들은 하나같이 대학 졸업장을 쥔 고학력자 고소득자에 토론을 좋아하는 인간들이며, 이성적이고 과학적인것을 매우 좋아하는 경향, 때때로는 별로 성공적이지 않음에도 그러한 것을 드러내려고 애쓰는 경향, 한 마디로 다분히 설명충적인 경향이 있거든요. 뭐, 그렇다고 제가 놀란을 싫어하는 건 아닙니다.

하여튼 그의 이야기 전달 방식과 곡성은 상당히 다릅니다. 일정 부분은 이 영화의 장르 때문이고요, 또 일정 부분은 이 영화의 주제 때문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전달방식은 고전 소설, 또는 환상문학의 몇몇 조류와 유사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그러니까, 인물들은 많은 것을 말하지 않습니다. 서술도 장면 장면이나 인물의 심리를 묘사할 때가 있지만, 그렇다고 상황 자체를 설명해주지는 않지요. '왜?'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냥 그건 원래 그런거야! 식으로 미꾸라지처럼 넘어가요. 일반적인 호러/오컬트 물보다 그런 경향이 강하고요.

곡성이 갖는 미덕은 그런 부분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많은 것을 설명하지 않고 여백으로 남겨두죠. 하여튼, 이 텍스트 과잉의 시대에...그러니까 내용물은 많긴 한데 명시적으로는...하여튼,  영상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이 어쩌고 저쩌고.

제가 이 영화를 재밌게 보았던 가장 큰 까닭은 의도적으로 잘라내고 배제된 부분들, 여백의 미 덕분이었어요. 이건 마치 2시간 30분짜리 눈을 가리고 타는 롤러코스터인거죠. 다만 '왜?'를 필요로 하는 분들에겐 호불호가 정말 많이 갈릴 것 같아요. 감독의 이야기를 들어보면,,,그렇게 보는게 더 그 양반의 의도인 것 같다만은. 뭐, 그래도 저는 그런 불친절한 분위기, 전개 자체가 좋았어요. 더구나 그 불친절함이 이야기 전달의 실패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면.


4. 곽도원 씨가 연기한 그 경찰 아재 주인공은 극의 전개를 위해서 좀 짜증스럽고 답답하게 그려졌습니다. 이 가엾고 딱한 중생은 시종일관 극에 휘둘리는데, 저랑 같이 보러간 사람은 경찰 아조씨 캐릭터가 자연스럽지가 않고 작위적이며, 전개에 무리수가 많았다고(특히 후반분에!) 평가합니다. 저도 그 부분은 공감하고,그런 면에서 이 영화가 주제(악-에 던져진 가엾고 딱한 중생의 의심과 파-멸)를 갖고 하고 싶었던 말이 너무 많았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만은. 또한 그런 측면에서 진짜 재밌는건, 하고 싶은 이야기가 엄청 많은데 그걸 일부로 말을 안해준다는 거죠. 새침떼기같으니라고...


5.

스티븐 킹도 말했잖아요. 퇴고하면 할 수록 글이 줄어든다고.  

하여튼 좋은 토론들이 나오고 있으니 이보다 좋을 순 없겠네요.


6.

악이 어쩌고 저쩌고라고 써놓긴 했지만 저는 외지인이 나쁜 놈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P본부의 댓글에서 보았던 어떤 분은 이 영화가 코스믹 호러적 요소가 다분하다고 말합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참 재밌는 표현입니다.
+제 취향에 대해서 조금씩 자각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전 아무래도 빅-분위기 맨인 것 같네요. 그 말 많은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이랑 <크림슨 피크>, <라스베거스의 공포와 혐오>도 대단히 재밌었거든요. 적어도 앞의 두 개는 <곡성>과 같은 급으로 놀 영화는 아닌 것 같지만...
+저는 이 영화가 <매트릭스>와 상당 부분 닮았다고 생각해요. 매트릭스가 좀 더 노골적인 설명충이긴 한데. 둘 다 오락적 요소가 다분하고, 둘 다 종교적 은유를 무진장 넣고, 또 둘 다 장면 장면에 의미 부여를 무진장 하잖아요. 둘 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좀 너무 과하고.



1
  • 조곤조곤한 감상과 평이 아주 맘에 듭니다.


난커피가더좋아
매트릭스와 닮았다는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얘기가 듣고 싶네요 ㅎ 그와 별개로 글 잘 봤습니다.
맷코발스키
아, 매트릭스와 닮았다는 부분은..음..막상 자세하게 말하려니까 좀 제 영화적 밑천이 드러나는 것 같군요 ㅠ

영화 감독의 인터뷰/만담 등을 찾아봤는데, 상당히 장면 장면에 많은 의미들을 부여하고 있더라구요. 사실 이 세상에 안 그런 영화가 어디있겠느냐만은, 이게 어째서 그렇게 느껴지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곡성에서 느껴지는 것은 아주 감독이 작정하고, \'나는 요 장면을 어떠한 의미로 집어넣었지!\'라는 것이 눈에 확연히 띄었기 때문이었어요. 하고 싶은 이야기도 많고, 오컬트물에 대한 생각도 들어가야하고, 또 상징들도 잘 배치해... 더 보기
아, 매트릭스와 닮았다는 부분은..음..막상 자세하게 말하려니까 좀 제 영화적 밑천이 드러나는 것 같군요 ㅠ

영화 감독의 인터뷰/만담 등을 찾아봤는데, 상당히 장면 장면에 많은 의미들을 부여하고 있더라구요. 사실 이 세상에 안 그런 영화가 어디있겠느냐만은, 이게 어째서 그렇게 느껴지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곡성에서 느껴지는 것은 아주 감독이 작정하고, \'나는 요 장면을 어떠한 의미로 집어넣었지!\'라는 것이 눈에 확연히 띄었기 때문이었어요. 하고 싶은 이야기도 많고, 오컬트물에 대한 생각도 들어가야하고, 또 상징들도 잘 배치해야하고... 좀비 장면과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아쿠마 사냥 장면도 생뚱맞게 보이지만, 분명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 보였고요.(주제와 관련해서 잠깐 이야기하자면, 제 생각에는 악마는 그냥 의심암귀일 뿐이고, 그러한 면모를 보여준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그리고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많았기 때문에 그런 생뚱맞은 듯한 장면이 나온 거라고 생각해요.

음...이걸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기존에 제가 보았던 다른 영화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다!\'라는 표현을 좀더 노골적으로 한다는 느낌이었거든요. 눈에 밟히도록 제시해주는 종교적 상징들/오컬트 오마주들이라던가.. 하여튼, 매트릭스도 이것 저것 고전 신화와 철학과 구원자 테마 등등을 섞어서 매 장면마다 아주 열심히 보여주었잖아요. 곡성도 이것 저것 많이 섞은 것 같긴 한데...

물론 곡성과 매트릭스가 그 많은 텍스트를 대하는 태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매트릭스는 훨씬 오락적인것 같고, 곡성은 조금 더 진지한 것처럼 보이죠. 위쇼스키 남매가 아예 대놓고 \'이것 저것 개념들을 최대한 많이 우겨넣어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라고 대놓고 말하기도 하고요. 음.. 지금 생각해보면, 제가 많은 영화를 접하지 못해서 매트릭스랑 곡성이랑 비슷한 지점ㅇ ㅣ있다! 라고 말한 것 같네요 ㅠㅠ...
저도 글을 읽지 않고 봐서 재미있게 보긴 했던 것 같습니다.
기분이 좀 더럽긴 했지만요 ㅋ
맷코발스키
네.. 뒤통수가 얼얼하더라구요. 정말이지 여러 모로 놀라운 영화였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58 영화엑스맨 아포칼립스 보고 왔습니다. 10 Raute 16/06/06 3645 1
2937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6/06/02 2667 0
2935 영화<아가씨> 즉석 단평 29 구밀복검 16/06/02 6190 3
2902 영화펑꾸이에서 온 소년 (1983) _ 젊은이에게 보내는 따뜻한 위로 2 리니시아 16/05/27 6561 1
2897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5 AI홍차봇 16/05/26 2588 0
2871 영화하드코어 헨리 - 하드코어 영화로 만든 FPS 19 Raute 16/05/23 6856 0
2857 영화동주, 단평 - 이준익 커리어 최고의 영화(스포일러) 7 구밀복검 16/05/22 8361 0
2844 영화더스틴 호프먼 할배 이야기 21 구밀복검 16/05/20 7480 2
2811 영화<스포일러> 곡성에서 보이는 호러영화 매니아의 흔적 28 레지엔 16/05/14 6318 2
2810 영화"God's terrific" "하나님은 끔찍해... 굉장해..." 126 리틀미 16/05/14 5348 3
2807 영화곡성 - 말하지 않는 것의 미덕(미리니름 有) 4 맷코발스키 16/05/14 3912 1
2803 영화스포주의) 곡성(哭聲), 종교를 가장한 사회적 영화 10 Terminus Vagus 16/05/13 5811 2
2797 영화시빌 워? ㅅㅂ 워...(스포일러 주의) 11 구밀복검 16/05/13 4978 1
2789 영화<곡성> - 어찌 현혹되지 않을 수 있으랴 15 마스터충달 16/05/12 5831 1
2786 영화라이터를 켜라 (2002) _ 어느 예비군의 편지 7 리니시아 16/05/12 4418 0
2785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6/05/12 3774 0
2783 영화곡성 해설 (강스포) 25 리틀미 16/05/11 17550 0
2782 영화곡성(영화 컨셉만 스포... 컨셉은 알고 보시는 게 좋을듯요) 20 리틀미 16/05/11 4645 0
2746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6/05/05 3755 0
2734 영화00년대 이후 워너 vs 디즈니 파워 게임 양상의 변화 19 구밀복검 16/05/02 4442 1
2718 영화<캡틴 아메리카 : 시빌 워> - 예측을 뛰어넘었다. 34 마스터충달 16/05/01 5277 3
2705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5 AI홍차봇 16/04/28 3743 0
2700 영화시빌워 감상 후기 (스포 있을 수도 있음) 14 리틀미 16/04/27 4198 0
2698 영화미국 대위: 내전 감상평 (미리니름 없음) 10 캡틴아메리카 16/04/27 4443 3
2691 영화임시공휴일, 그리고 2천만 관객 21 리니시아 16/04/26 366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