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2/15 19:40:41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제 자신이 너무 한심합니다.
매번 글을 썼다 지웠다 반복하다가 그냥 작성하기로 마음 먹고 씁니다. 올해 30세가 된 남성입니다. 이 나이대까지 뭔가 이뤄본 적도 없고.. 대학 자퇴를 한 고졸입니다. 현재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는 중에 기존 우울증이 심해져서 매번 한숨만 쉬고 피곤해서 집에서 누워있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약을 복용해고 운동을 빡쌔게 해도 근본적인 무기력증은 나아지질 않습니다. 최근 1년사이 살도 10kg 넘게 빠지고 근육도 꽤 붙었는데 몸을 움직이가 힘듭니다. 자꾸 드는 부정적인 생각 '나는 왜 이 나이대까지 성공을 못했을까?' '매번 시험을 준비한답시고 시간을 허비했을까?' '남들은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는데 왜 나는 경험이 결핍이 됐을까?'라는 온갖 여러가지 생각에 휩싸입니다.

조금 과장해서 20대 절반을 수능과 다른 시험등에 투자했는데 조금도 성공하질 못했습니다. 왜냐면 컴퓨터, 인터넷으로 세월을 보내기 일수였으니까요. 그러다 매번 후회하고요. 고등학교때 저랑 비슷하게 공부했던 친구들은 현재 잘나갑니다. 아이도 있는 친구도 있고 공무원에 합격해서 유럽여행하고 다닙니다. 저는 방구석에서 책만 보고 이번시험도 망했구나라는 한숨만 쉴때요. 살면서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었어야 하는데 20대내내 그런게 전무했다 보니 현재의 자존감 낮은 제가 만들어졌다고 봐요. 현재 부모님 집에서 편하게 살면서 기존에 모아놓은 돈으로 생활비와 시험비만 제 돈으로 충당하고 있는데.. 부모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늦둥이로 낳은 자식 한명이 이렇게 멘탈이 약하다는 것도 모르시고 저에게 기대는 많이 하시네요.

현재 가장 큰 고민은.. '여행을 하면서 좀 생각을 정리해볼까?' 라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이 나이대까지 외국에 나가본 적도 없고 그냥 여기저기 다니면서 생각을 좀 하고 싶은데 철없는 생각일까요? 지금이 아니면 유럽은 길게 갈 기회가 없어서요. 뭐 여행간다고 뭔가 달라질까 싶으면서도.. 주변에 유럽여행 갔다온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뭔가 얻을 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구요.

1년 정도 알바하면서 돈 벌고 외국 좀 다녀올까 하는데 그러면 또 취업시기는 늦어지고.. 남들이랑 격차는 벌어지고 어머니는 저에게 실망하는 모습이 또 눈에 아른거리는데 지금 당장 공부하기는 너무 답답하구요.. 하아 이야기가 정리가 안되는데 그냥 어디다가 하소연 할 곳이 없어서 여기에 끄적이네요.



0


kaestro
저도 처한 상황은 비슷하지는 않지만 주변 친구들이 취업하고, 해외 유학을 가고, 공무원시험을 붙고 하는걸 보면서 되게 힘들었고 그 때문에 우울증도 있고 해서 학고도 한번 더 해서 학부를 1년을 더 다니게 됐어요.
저같은 경우는 주변에 이런 이야기를 편하게 할 사람이 필요했는데 학교 상담사분이 큰 도움이 됐어요.
편하게 지내시지 않고 이런 고민을 하시는 것부터 좋은 사람이시라고 생각해요.
힘내서 좋은 해결방안찾으시길 바래요. 파이팅
1
[글쓴이]
저도 힘들때 몇 안되는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얘기는 하지만 이게 지속되면 징징이라는 걸 알기에 최대한 자제했다가 폭발하면 한마디씩 하고 그러네요. 매일 아침마다 일어나면 진짜 아무것도 하기 싫고 힘도 없고 머리만 멍한게 왜 살고있나 싶기도 하고 그렇다고 다시 예전처럼 하루종일 알바하면서 살기는 싫고 그러네요.
danielbard
1년정도 알바하고 돈벌고 외국갔다오면 1년 6개월인데 너무아깝고 갔다오면 공부한거 리셋됩니다

부모님한테 지원좀줄이라고 독하게하고싶다고 하고 마음독하게먹고 하는수밖에없습니다
1
[글쓴이]
이번이 초시라서.. 모아놓은 돈도 거의 다 떨어졌고 만약 이번시험 물먹으면 다시 알바하면서 교재비랑 인강비는 벌어야합니다. 그냥 시험도전하기 전에 아싸리 1년정도 여행을 갔으면 이런 갈증도 없었을텐데 하는 생각이 자꾸드네요.. 바보같이
CONTAXS2
몇살만 어렸어도 과감하게 질르자! 했을텐데
애매한 시점이라 하고 싶으신거 뒤로 좀 미루고 잘 다독이고 독려하면서 성과를 하나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ㅎ
2
[글쓴이]
20대때 알바하면서 번돈을 너무 쉽게 썼어요. 한번 취업하고 나면 유럽여행 평생 가보기 힘들텐데 좀 답답하네요. 공부하면서 생긴 도피성 반발심리인지 정말 새로운 경험을 하고 싶은 욕구때문인지 중간에 위치한 감정같습니다.
CONTAXS2
취업하고나도 가실 수 있어요. 조직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겠는데 요새는 업무 연속성을 위해서 차라리 일주일간 연차를 붙여 써라 (안쓰는게 젤 좋은데 쓸꺼면 붙여 써!)라는 분위기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니면 어차피 일 안하니까 샌드위치 데이에는 쉬어라. 하면서 9일짜리 연휴도 솔찮이 나옵니다.

거의 무조건 가실 수 있으니까, 위시리스트에 넣어두시고 꼭 잘 취업성공하시고 후기는 꼭 티타임에 남겨주시길 바라겠습니다!
2
[글쓴이]
아 감사합니다. 댓글보니 위로가 좀 되네요. 몇년 전만 했어도. 외국여행 같은건 전혀 부럽지도 않았는데 나이 먹으면서 생각이 조금씩 바뀌더군요. 제가 가려는 기관이 말씀하신 분위기였으면 하네요.
외국에 나가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현실을 직시하는게 중요합니다. 처음엔 아픈데 막상 바로 보고 나면 생각보다 덜 아프고 좀 맘이 편해집니다. 이건 내가 어떤 위치에 있느냐가 아니라 항상 매일 매일 준비해야할 기본자세라는걸 저도 최근에야 깨달았어요. 희미해지기 쉽습니다만 노력하는 수 밖에.
2
[글쓴이]
기분이 항상 널뛰기 하는지라 마음잡고 살다가 다시 흔들려서 며칠 허비하고 그러다 마음잡다가 흔들리고 이게 지난 반년간 반복되다 보니 '나는 안 되는건가' 라는 생각이 무의식적으로 자리잡은 것 같아요. 현실 직시해야죠. 또 흔들릴진 모르겠지만 에휴 ㅎㅎ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빡세게 자신을 다잡고 일단 취업해서 자존감을 되찾는 길이 여러 사람이 추천하는 최선의 길이겠지요. 하지만 저는 질문자님이 그런 말을 듣는다고 별로 그렇게 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게다가 취업을 이뤄도 우울증이 해소되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주변에 엄청나게 뒤떨어져있고 따라잡지 못한다는 것에서 중압감을 느끼는 사람은 자기가 이룬 것보다 상실한 것에 집착하기 마련입니다. 20대 때 날려버린 시간에 대한 상실감은 질문자님이 웬만큼 성공하더라도(그리고 공무원은 좋은 직장인걸 떠나서 성공과는 거리가 멀죠) 여전히... 더 보기
두 가지 길이 있습니다. 빡세게 자신을 다잡고 일단 취업해서 자존감을 되찾는 길이 여러 사람이 추천하는 최선의 길이겠지요. 하지만 저는 질문자님이 그런 말을 듣는다고 별로 그렇게 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게다가 취업을 이뤄도 우울증이 해소되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주변에 엄청나게 뒤떨어져있고 따라잡지 못한다는 것에서 중압감을 느끼는 사람은 자기가 이룬 것보다 상실한 것에 집착하기 마련입니다. 20대 때 날려버린 시간에 대한 상실감은 질문자님이 웬만큼 성공하더라도(그리고 공무원은 좋은 직장인걸 떠나서 성공과는 거리가 멀죠) 여전히 미련으로 남을 종류의 마음입니다. 그래서 저는 늦어도 괜찮다는 위안을 하는 사람을 신뢰하지 않습니다. 안 괜찮은 거거든요.

두 번째 길은, 아예 완전히 내려 놓는 것입니다. 파스칼은 인간의 모든 고통은 방 안에 혼자 가만히 있지 못한다는 데서 온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30대에 취업 못하고 빌빌대는 스스로가 고통스러운 이유가 뭘까요. 수입이 없는 것 자체보다 부모님이 의식되고, 친구관계의 유지나 애인을 만나는 것 같은 어떤 사회적 관계를 제대로 이뤄낼 수 없을 것 같은 느낌 때문 아닌가요. 그런걸 의식할 이유가 없는 사람은 취업이 늦든 말든 생애소득이 주는 것 정도 말고는 별로 달라질 게 없습니다. 늦어도 괜찮다는 말은 이럴 때 적용되는 거죠. 비교할 대상이 없으니까 늦어도 괜찮거든요.

혼자 있어도 괜찮다는 마음을 얻으려면 결국 혼자 있어봐야 합니다. 부모님하고 같이 살면 혼자 있을 수가 없으니 나와서 지원없이, 부모님하고 연락도 뜸한 채 억지로 살아봐야 합니다. 취업으로 인한 기쁨은 한순간이고 자존감을 확보하는 법을 배우는 건 평생입니다. 그 준비기간이라고 여겨야합니다. 마음 쫄린 상태에서 공부하지 마시고 책도 읽고(말씀 주시면 책 추천 드릴 수도 있습니다) 일기도 써보고 영화도 보고 하면서 흥미로운 걸 찾으세요. 인터넷이나 게임처럼 시간 때우는 건 줄이시구요. 단 사람은 역시 오래 혼자 있으면 별로 좋진 않으니, 충분히 혼자 있었다고 느낄 때쯤, 아 이제 사회 복귀를 해야할 분명한 이유가 보일 때가 공부를 시작해도 될 적기입니다. 남들처럼 살고 싶다는 건 모호하고 어설픈 동기입니다. 그러니까 매번 무너지는 거예요. 이에 비해 내가 재밌는 걸 더 즐기기 위해선 정기적인 수입이 필요하단 것이 훨씬 명확한 동기지요.

해외여행은 결단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해외여행은 전적으로 사치이기 때문입니다. 사치는 나쁘단 게 아니라 사치를 부려도 될 만한 사람이 부려야 어울리는 것이죠. 제주도나 어디 국내 정도 바람쐬는 마음으로 몇 번 다녀오는 건 추천할만 하네요. 질문자님께 지금 필요한 건 한 번의 강렬한 경험이 아니라 주기적인 마음 환기입니다. 해외여행은 환상이에요.
13
쿠스쿠스
저도 비슷한 고민 많은데 책 좀 추천 부탁드립다..
1
자연도태
고병권 - 언더그라운드 니체 http://aladin.kr/p/vG0hG
에리히 프롬 - 자기를 위한 인간 http://aladin.kr/p/GKE2D
에릭호퍼 3권 묶음 http://aladin.kr/p/KGXXT

이것들이 이런 문제에 제가 바이블로 삼는 책들입니다.
4
쿠스쿠스
감사합니다!
1
에릭호퍼.. 세트 전자책 가격이 좋네요.
1
자연도태
사실 한권은 자서전이고 두권은 잠언집 같은거라(한 페이지에 한 문단이나 한 문장 있는) 돈주고 사보면 좀 아깝...
1
[글쓴이]
제가 현재 나아가려고 하는 방향은 첫번째 길이에요. 어떻게든 저를 가다듬고 합격하는게 우선임을 머리로는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운좋게 합격하고 직장생활을 한다고 해도 말씀하신대로 마음의 공허함이 나아질 것 같지 않습니다. 20대때 남들이 했던 보편적인 경험들이 저에겐 비워져 있어서 괴롭습니다. 그 중에 제가 지금 하고 싶은 경험 더 늦기 전에라도 당장에 할 수 있는 경험이 여행이라고 생각해서 글을 올린 것입니다. 방에서 혼자 책을 읽고 영화보고 할 수도 있지만 그 시간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경험의 폭을 넓히고 싶어요. 물론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행동은 아마 안 하겠지만서도.. 계속해서 마음의 짐처럼 남아있지 않을까 싶어요.
자연도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건 축약해서 생각만 하게 할 뿐인 '하고 싶은 것', 중압감만 들게 하는 '해야 하는 것'보다 지금 당신이 실제로 할 수 있는(가능한) 것을 행하라는 것입니다.
다만 사고의 폭은 더 많은 경험으로 생겨나지 않아요. 칸트는 평생 자기 도시를 벗어난 적이 없으면서도 다방면의 지식을 갖췄지요.
본인에 대한 각성이 있으시다면 그 다음으로는 어떤 행동의 변화를 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시면 어떨까요? 오늘을 어떻게 어제와 다르게 보낼수 있는지 시간을 두고 차분히 생각해보시길 권해요. 화이팅입니다.
1
[글쓴이]
감사합니다. 오늘도 고민으로 밤을 보내고 있네요.
생각한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행동하는대로 생각하게 된다더군요.
현재 본인에게 필요한게 노력인지 기분전환인지 생각해보세요..
1
[글쓴이]
현재 저는 확실히 행동하는대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생각하는 방법을 잊은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유럽에 살고있는 1인입니다. 아프리카 빼고 모든 대륙 가봤습니다. 해외여행 비추합니다. 시간과 돈만 쓰게 됩니다. 얻을게 있다는 말은 그만큼 거기에 쓰는 돈과 시간이 아깝지 않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말입니다.

낯선 환경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깨달음을 원하신다면, 지금 있는 곳 주변을 조금만 더 면밀하게 관찰해 보세요.
예를 들어, 자주 지나가는 지하철역 입구에 매일같이 나와서 이름모를 잡지를 팔고 있는 사람의 사연에 귀기울여보신 적 있습니까? 여행가서 새로운 사람 만날 필요가 없습니다.
추운 아침에 길가에 주차된 차량들 ... 더 보기
유럽에 살고있는 1인입니다. 아프리카 빼고 모든 대륙 가봤습니다. 해외여행 비추합니다. 시간과 돈만 쓰게 됩니다. 얻을게 있다는 말은 그만큼 거기에 쓰는 돈과 시간이 아깝지 않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말입니다.

낯선 환경으로부터 오는 새로운 깨달음을 원하신다면, 지금 있는 곳 주변을 조금만 더 면밀하게 관찰해 보세요.
예를 들어, 자주 지나가는 지하철역 입구에 매일같이 나와서 이름모를 잡지를 팔고 있는 사람의 사연에 귀기울여보신 적 있습니까? 여행가서 새로운 사람 만날 필요가 없습니다.
추운 아침에 길가에 주차된 차량들 유리에 서리가 끼면 그 모양이 프랙탈 구조를 이루면서 보면 볼수록 아름답다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여행가서 새로운 건축물 관람할 필요가 없습니다.
새로운 경험은 멀리 있는게 아닙니다. 바로 우리 옆에 새로운 것이 얼마나 많은지, 조금만 더 관심을 갖고 지켜볼수록 알 수 있습니다.
2
[글쓴이]
보통 대학생들이 방학때 여행을 가거나 유학을 하고 워홀을 갈때에 대부분 여유로워서 가는 것이 아니라 없는돈 모아 빠듯하게 떠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건 그저 20대 젊은 대학생들에게 해당하는 자유일까요? 저는 솔직히 말하면 나 여기여기 이렇게 돌아다녀봤다는 그런 경험자랑을 만들려는 것도 없지않아 있습니다. 누군가 넌 젊을 때에 뭐했어? 물어보면 적어도 아무런 얘기 못하는 것보다 여기저기 돌아다녀 봤다는 것이 더 나으니까요. 마치 군대에서 너 여친있냐? or 있었냐?하고 누군가 물었을 때 조금이나마 대답할 수 있는 그런 경험과... 더 보기
보통 대학생들이 방학때 여행을 가거나 유학을 하고 워홀을 갈때에 대부분 여유로워서 가는 것이 아니라 없는돈 모아 빠듯하게 떠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건 그저 20대 젊은 대학생들에게 해당하는 자유일까요? 저는 솔직히 말하면 나 여기여기 이렇게 돌아다녀봤다는 그런 경험자랑을 만들려는 것도 없지않아 있습니다. 누군가 넌 젊을 때에 뭐했어? 물어보면 적어도 아무런 얘기 못하는 것보다 여기저기 돌아다녀 봤다는 것이 더 나으니까요. 마치 군대에서 너 여친있냐? or 있었냐?하고 누군가 물었을 때 조금이나마 대답할 수 있는 그런 경험과 마찬가지로요.

적다보니 제가 자존감이 낮으니 이런 사소한 것에도 흔들리는구나 싶기도 하네요. 저의 20대엔 구멍이 나서 남들과는 다른 삶을 살았고 그것에 대한 열등감이 내제되어 있습니다. 이걸 여행으로 조금이나마 채우는 것이 어떤가 싶어서 글을 올렸던 것입니다. 말씀하신 조언은 잘 들었습니다. 한국에 살면서도 주변이 어떤지 어떤 사람들이 살아가는지 별 관심이 없었는데 눈여겨 봐야겠네요.
자크 라캉이 말하길, 인간은 원래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하죠? 진짜 자신의 욕망을 찾기 위해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고, 그래서 시간이 무기인 젊을때 경험치 늘리러 해외나가보는게 좋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가성비를 따져야하지 않나 라는게 핵심입니다. 아무래도 가성비를 제대로 따질수 있는건 글씈님 본인이시겠지요? 한번 결정을 내리셨다면 후회없도록 그 길에 본인의 의미를 부여하면 그만입니다. 정답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어차피 우리 모두 우주안에서 찰나의 순간을 살다가는 먼지보다 작은 인간일 뿐이지만, 그래도 내 인생의 의미는 내가 부여하기 나름이죠. 저도 말은 이렇게 하지만 제 인생의 의미를 찾는게 말처럼 쉽지가 않아서 그저 평생의 숙제로 안고 가려고 합니다. 힘내세요!
호로종
전 다른분들이랑 생각이 조금 다른데, 유럽여행 가시는거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직장 다니다가 너무 힘들어서 때려치고 유럽여행 45일 갔다왔습니다.

너무 좋은 기억이었고요, 여행 갔다오고나서 인생에서 꼭 해야 한다는 건 다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 제 업무에서 성공하는것만 유일한 목표 입니다.

자존감이 높아진 것 보다는 인생에서 좋았던 순간들이었습니다. 저녁에 프라하 성 밑에서 공연하던 분들의 라이온킹을 들었던 순간, 스위스 그린데발트 하이킹 하면서 봤던 장엄한 산들..아직도 그때 그 감정들이 기억 납니다.
... 더 보기
전 다른분들이랑 생각이 조금 다른데, 유럽여행 가시는거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직장 다니다가 너무 힘들어서 때려치고 유럽여행 45일 갔다왔습니다.

너무 좋은 기억이었고요, 여행 갔다오고나서 인생에서 꼭 해야 한다는 건 다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 제 업무에서 성공하는것만 유일한 목표 입니다.

자존감이 높아진 것 보다는 인생에서 좋았던 순간들이었습니다. 저녁에 프라하 성 밑에서 공연하던 분들의 라이온킹을 들었던 순간, 스위스 그린데발트 하이킹 하면서 봤던 장엄한 산들..아직도 그때 그 감정들이 기억 납니다.

이것저것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운동이라던지..
원하는 직장에 취직을 하시면 자존감이 갑자기 높아진다는 보장이 있나요?

아무쪼록 잘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아하스페르츠
준비하고 다녀오는데 돈과 시간 써도

내 인생 내가 책임지는데 문제 없고 자신있으면 나이 시간 경력 상관 없이 다녀와도 되는 거고

그런 자신 없으면 남들이 어쩌든 마음이 어쩌든 무책임한 도피성 행동입니다.

질문하시는 모습을 보니 후자로 보이니까 상대적 다수의 분들이 말리는 거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7 진로24살 진로?인생? 상담 좀 해주세요 8 NIKES 19/03/06 2586 0
6699 진로인문사과대 혐오? 62 벚문 19/03/04 3034 0
6659 진로친척이 사장인 회사 취직 2 [익명] 19/02/26 2964 0
6626 진로하고 있는 생각을 언제 어떻게 이야기할지 고민입니다. 7 kaestro 19/02/22 3402 0
6596 진로 공기업 직무PT면접 질문드립니다. 제피 19/02/19 3586 0
6595 진로돈 내고 적성검사와 같은 테스트 받을만한 곳 없을까요? 3 활활태워라 19/02/19 3677 0
6561 진로제 자신이 너무 한심합니다. 27 [익명] 19/02/15 4946 0
6496 진로30대초 알바생입니다. 지금 일하는게 괜찮은지 모르겠어요. 2 [익명] 19/02/09 2539 0
6489 진로로스쿨 진학과 관련된 문제 질문드립니다. 8 [익명] 19/02/08 2948 0
6488 진로N수생 이게 옳은 선택일까요? 28 [익명] 19/02/08 4762 0
6487 진로결혼에 대한 진지한 질문 드립니다. 103 지금여기 19/02/07 4787 5
6469 진로진로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2 활활태워라 19/02/05 3636 0
6445 진로모든 면에서 괜찮은 직장이지만, 비전이 없다고 생각될 때? 9 [익명] 19/02/01 2446 0
6414 진로제가 일하는게 남의 정당한 자리를 뺏는 것 같아 힘듭니다. 31 [익명] 19/01/29 2943 0
6408 진로계약직 계약 종료 관련 질문입니다. 4 [익명] 19/01/28 2051 0
6378 진로면접 후 2곳에서 출근의사를 물었는데, 여러분들 이라면 어디로?? 24 [익명] 19/01/23 2860 0
6275 진로개발자가 되고 싶은 학생입니다. 12 [익명] 19/01/10 2509 0
6243 진로IT 경력직 이직 5 [익명] 19/01/07 2234 0
6233 진로퍼포먼스 마케터 vs. 컨설턴트 vs.대기업 취준 13 [익명] 19/01/05 3024 0
6225 진로진로문제 고민 [댓글잠금] 11 곰돌이우유 19/01/04 3389 0
6223 진로인생 후반전 참이슬(진로) 설정 문의 6 [익명] 19/01/04 2361 0
6215 진로내년 상반기 소트프웨어 직군을 목표로 공부하려합니다. 38 kaestro 19/01/03 5183 0
6134 진로아고다로 비회원 예약을 했는데, 메일을 잘못 쓴 것 같습니다. 2 [익명] 18/12/21 3373 0
6111 진로초등학생 국제학교 진학 조언 4 집정관 18/12/19 4454 1
6103 진로이런 건 어떻게 못 고칠까요...? 6 [익명] 18/12/18 260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