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2/16 11:14:32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정초부터 우울한 경제뉴스들
간만에(?) 올리는 티타임 게시판 글은 매우 우울한 소식을 전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할 듯 합니다.

예전에 매일경제의 기업발 경제위기론 기사를 링크하며 소개한 적 있는데요

https://new.redtea.kr/pb/pb.php?id=free&no=1145&divpage=1&sn=on&ss=on&sc=on&keyword=%EB%82%9C%EC%BB%A4%ED%94%BC%EA%B0%80%EB%8D%94%EC%A2%8B%EC%95%84


이번엔 조선일보가 한국 주력기업 65%가 매출이 줄었다는 소식을 1면에 내걸었습니다.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IMF 위기 직후에는 IT와 조선이 재부흥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IT, 자동차, 중공업이 성장을 다시 견인했지만, 이젠 말 그대로 다 망했고, 새로운 성장견인차는 없다는 얘깁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16/2016021600289.html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16/2016021600347.html

주력업종 대부분이 침체된 건 50년만에 처음이고, 200조원은 가뿐하게 넘겨주던 삼성전자도 4년안에 매출이 100조원대로 회귀할 것이라는 내용이 써 있습니다.

작년부터 제가 '올해 총선 끝나면 진짜 암울한 시기가 올 것이고 9월부터는 진짜 문제'라고 몇 번 강조했는데, 사실은 self-denying prophecy 가 되길 바랐습니다만, 왠지 그 예측이 그대로 맞는 것 같아서 더 우울합니다.

시장영역, 민간기업 영역은 그렇다 치고 그렇다면 정책적인 카드는 뭔가 있을 것인가? 가능한 카드는 있을 것인가? 매경의 2월 16일 기사는 이 역시 힘들다고 지적하네요.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122960

재정정책은 이미 국가부채가 높아 더 이상 확대정책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고, 통화정책은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의 혼란으로 인하효과 자체가 있을 지 의문시 되며, 금융정책은 부동산 경기가 꺾이고 한계기업에 들어가는 돈이 많이 여력이 없다는, 일종의 '정책절벽'에 있다는 내용입니다.

뭔가 굉장히 우울한 소식만 전했습니다만, 홍차넷 분들 다들 맘 단디 하시고 한번 헤쳐나가 봅시다!



1


    NF140416
    전에 다니던 회사에 사직서를 어제 쓰고 올라와서 보는 뉴스들이...
    빨리 새 일을 찾아야 되는데 아직도 미묘하기만 합니다.
    다른건 몰라도 모친의 십일조 이야기만 없으면 그나마 좋을텐데...
    난커피가더좋아
    원하시는 좋은 곳으로 잘 이직하시리라 믿습니다. 화이팅입니다!
    NF140416
    다른 것은 몰라도 딱 두가지만 바라고 있습니다.
    1)포괄임금제는 아니었으면
    2)연장근무나 주말근무가 있을때 적어도 퇴근 임박했을때 알려주지 말고 미리 알려주었으면
    Beer Inside
    통화정책은 할 필요가 없지요. - 달러가 1200원인데..... 여기서 더 어떻게 통화정책을....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갈아넣을 인구가 없다는 것 입니다.

    국민전체적으로 갈아넣을 인구가 없으니 이제는 우리끼리 소박하게 살아보자라는 합의를 해야하는데.....

    실제로는 갈아넣을 인구가 없으면 수입하면 되지, 이 노예들아 애들을 낳아...! 같은 소리를 하는 정치인과 그들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으니....
    난커피가더좋아
    맞는 말씀입니다. 매경에서는 어쨌든, 재정/통화/금융 세 가지를 똑 떨어지게 만들어 기사를 쓰느라고 다 다룬거 같기는 합니다.

    갈리기 싫은 사람들은 해외로들 떠나기도 하지요. 저 역시 어디로 탈출할까 늘 고민중입니다. 허허....

    이럴땐, 의사 변호사 같은 \'자격증\' 직종이 부럽기도 한데, 주변 변호사분들이나 홍차넷 의느님들 얘기 들으면...흠....허허.
    에밀리
    이번에 저희 학과 졸업생 가운데 취업한 사람이 스물이 안 된다더군요. 전체 90명은 넘을 건데, 5년째 매년 역대 최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ㅠㅠ
    에밀리
    그러니까 70명 이상의 실험실 노예+청년 백수가 사회에 추가됐다는 거죠. 핳핳핳... 이 사람들도 다음에 다시 취업 시장에 나올 것이고, 그 때는 그 때의 졸업생이 또 있을 것이니 헤헤헤... 충격적인 건 공대입니...
    난커피가더좋아
    헉...
    대학졸업생들의 취업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는 것을 많이 느끼게 됩니다.
    원래는 1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입장에선 못느껴야 정상이거든요.
    이제 \'개인 생존 역량\'이 중요해지는 세상이 오는군요..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무너지고 쓰러져야 다시 회복세가 올런지..
    차기 성장동력은 발견이 안된건지,아예 없는건지 모르겠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옛 것은 사라졌으나 새로운 건 나타나지 않은 상태인데, 세계경제까지 나쁜 형국이지요. 우리는 몇 번의 기회를 놓치기도 했습니다 사실.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경제 방향 자체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었는데, 당장의 실적을 위해 그걸 안했던게 문제였던 거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한 번 따로 글을 파보겠습니다.
    Beer Inside
    안했다기 보다 땅에 파 묻어 버렸지요.
    난커피가더좋아
    풉. ㅎㅎㅎㅎ 표현 제대로네요 ㅋㅋㅋㅋㅋ
    Beer Inside
    지나고 보면 그 돈으로 로봇산업에 투자했으면......

    그 당시 우리는 신재생에너지에 미쳐 있었기는 했지만....
    전체를 보는 시야를 가진 사람들이 총괄하는 시대는 영영 안올까요..흑흑
    난커피가더좋아
    그런 사람이 있어도 국민들이 알아봐야 할텐데요..흑흑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이제 남은건 로또뿐이야..!
    난커피가더좋아
    \"내 차례는 절대로 돌아오지 않는 4천만의 계\" 물론 저도 매주 하나씩은 삽니다. ㅎㅎ
    Realise
    개인적으론 관치(이 표현도 사실 한국에서 관료집단이 헤게모니를 쥔 적이 없어서 애매하긴 한데)의 한계점이 온 것 같다고 생각은 합니다. 한국에서 시장주의자들, 사회주의자들 모두 각각의 불판을 표출하는 이유도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자유시장도, 사회보장도 아니고 철저히 정부주도로 모든 게 이루어졌거든요. 결국 이 정부주도라는 게 사회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 하는 게 당연한데, 여전히 기존의 방식, 기존의 체제만 어떻게든 유지하려고 했죠. 그러니 기존의 산업이 몰락하고 새로운 산업이 떠오르는 게 지극히 당연한 시장변화였다면 한국은 기... 더 보기
    개인적으론 관치(이 표현도 사실 한국에서 관료집단이 헤게모니를 쥔 적이 없어서 애매하긴 한데)의 한계점이 온 것 같다고 생각은 합니다. 한국에서 시장주의자들, 사회주의자들 모두 각각의 불판을 표출하는 이유도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자유시장도, 사회보장도 아니고 철저히 정부주도로 모든 게 이루어졌거든요. 결국 이 정부주도라는 게 사회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 하는 게 당연한데, 여전히 기존의 방식, 기존의 체제만 어떻게든 유지하려고 했죠. 그러니 기존의 산업이 몰락하고 새로운 산업이 떠오르는 게 지극히 당연한 시장변화였다면 한국은 기존의 산업이 쇠퇴 하지 못 하게 도와주고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는 걸 막은 꼴이니...
    물론 미래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건 당연한 소리겠습니다만, 한국의 미래는 어떻게 봐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가 없는 것 같네요 -0-... 부정적인 요소는 넘쳐나는데 좋은 요소는 거의 없는듯. 솔직히 침몰하는 배에 탄 기분이 딱 이런 기분일까요. 기적적으로 육지라도 나와줘야 ㅋㅋㅋ
    난커피가더좋아
    대한민국을 세월호에 비유하는 게 꼭 오버라는 생각이 안드는 요즘이지요.

    [기존의 산업이 몰락하고 새로운 산업이 떠오르는 게 지극히 당연한 시장변화였다면 한국은 기존의 산업이 쇠퇴 하지 못 하게 도와주고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는 걸 막은 꼴이니... ]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레지엔
    요새 다 같이 몸사리는게 피부로 느껴지긴 합니다. 의사 취직 시장도 자리가 안나와요. 심지어 누가 정년퇴임한 자리조차 그냥 그 자리 없애버리고 남은 사람 더 돌리는 형태로 가고 있죠. 아니면 이름만 거창한 비정규직만 늘리거나. 전국 종합병원이 다 그 모양입니다. 그 이하는 뭐... 진짜 폐업하는 곳들 계속 나오고요.
    Beer Inside
    10년전 PET을 구입해서 개업한 분이 생각이 납니다.
    레지엔
    몇 군데 계시는데 닫으시거나 의원으로 전환하시거나 그런 상황이 됐죠. 한 때는 저 의원이 보험 청구 기준 전국 1위 매출이기도 했지만 옛날 얘기...
    Beer Inside
    PET보험 될 줄 모르고 구입했는데, PET이 보험이 되어서 보험청구 1위를 했군요.

    한때 연예인들도 많이 왔다고 하던데.....
    레지엔
    보험될 줄은 알고 개원하신 걸로 압니다. 단지 그 뒤에 이렇게 될 줄은 아무도...
    난커피가더좋아
    아..심각하군요. ㅜㅡ
    세계구조
    생산 전망도 안 좋은데 소비력도 없고... 어쩌지요.
    난커피가더좋아
    세계를 구조(rescue)해주세요..ㅠㅠ엉엉. 일단 하루하루 충실히 살아갈밖에요...디플레이션도 걱정이 많이 되는데...휴
    눈부심
    레스큐 아니고 스트럭쳐라..
    난커피가더좋아
    이런 눈부신 개그라니..큭
    April_fool
    [세계구제]라는 닉은 본 적이 있군요.
    도라에몽
    공무원도 요즘 옷벗고 잘 안나가려고 그래요.. 예전같으면 많이들 나가셔서 민간으로 취업하셨는데...

    그러다보니 인사이동도 안되고...승진도 적체되고...
    난커피가더좋아
    헬조선에서 그나마 덜 뜨거운 불..거의 온돌 수준이라 다들 못나가시는 거겠지요. ㅎ
    외노자
    경제뉴스같은걸보면 확실히 국내로 들어가는건 버리고 해외에 뿌리를 박아야하나...라고 생각하는 요즘입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웬만하면 해외에 뿌리는 박으시는게...ㅎ
    단디쎄리라
    저는 아직 취준이고, 부모님이 대기업 가전 쪽 계열의 최하청 기업을 10년간 해오고 계시는데
    원래 단가 후려쳐서 아래기업 숨못쉬게 하는거야 늘 그래온 부분이지만
    무엇보다 요새는 2차 협력업체들을 많이 쳐내려고 하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감사 비슷하게도 많이 나오구요. 뭔가 기준도 까다로워져서..
    난커피가더좋아
    아 그렇군요. 참 이래저래...
    문제가 크긴하죠 저도 얼마전에 일 그만두고 다시 공부중이니 말이죠;; 실직에 대한 압박이 너무 큽니다. 임금이 오를 것이라는 생각도 아무도 안하고;;
    다들 이제 결혼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압박도 있는데 제 주위에 연애는 하는데 그 이상을 생각하는 사람은 없네요. 뭐 저야 대학생때부터 그랬지만.
    나름 산다고 사는 녀석들도 그러니... 학자금이나 기타 문제있는 사람은 어떨지 감도 안잡히네요. 직장 생활하는 몇명은 이민준비하고 있고...
    요새는 내가 끓은 물속에 들어있는 개구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삶아지는 개구리임을 알아도 나갈 방법을 찾기 어렵다는게...흠....ㅠㅠ
    듣보잡
    작년에야 완전히 확신한건데 과장이 아니라 기울어져가는 세월호가 우리나라 그 자체였습니다. 정치 경제 국외상황 언론 출산율 국민인식수준 등등 다방면에서 총체적난국이며 이미 분기점을 넘어간 것 같은데 이 나라는 이것들을 극복할 역량 뿐 아니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자체가 희박합니다. 근본적으로 국민의식 자체가 사회정의를 얘기하면 선비질이고 개인이익만 추구하는 것이 사람으로서 당연한 나라라 극복모멘텀이 보이지 않습니다. 어쨌든 개개인이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되 국가에 대해 헛된 기대를 하거나 혹시나 하는 희망을 갖기보다는 자기 앞가림에 최선을 다하고 냉혹한 미래에 대비하기를 저 스스로를 포함해 여러분들께도 진지하게 권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저와 답답한 지점이 거의 비슷하신 듯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08 경제한중 통상마찰은 '소통'의 문제 1 블라스트 17/03/08 3450 0
    5081 경제아주 쉽게 보는 AI 이야기(1) 21 난커피가더좋아 17/03/05 4411 7
    5018 경제백종원과 대패삼겹살, 동산회관 24 tannenbaum 17/02/27 6283 0
    4962 경제일본 예능에 나온 쇼핑하는 이야기 3 빠른포기 17/02/22 6218 3
    4838 경제최근에 구입한 아이템들 16 OshiN 17/02/11 5178 4
    4766 경제(팟캐스트) 주진형의 경제, 알아야 바꾼다 16 뜻밖의 17/02/04 6989 2
    4637 경제달걀 수입에 대해서 소비자의 입장에서... 13 Liebe 17/01/16 4692 0
    4296 경제인생의 두가지 방향, 그리고 기본소득. 23 Credit 16/12/05 4909 2
    3309 경제작년 근로자 연봉 %별 커트라인 13 Leeka 16/07/21 6506 0
    3101 경제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현장 로봇들 5 Toby 16/06/22 4151 1
    2987 경제베어링스 은행 파산사건과 금융에 관한 이야기. 7 줄리 16/06/10 8642 19
    2948 경제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8 이러사우호 16/06/04 4345 2
    2938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하) 8 난커피가더좋아 16/06/02 5360 4
    2892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STX법정관리에 부쳐(상) 25 난커피가더좋아 16/05/25 5565 8
    2737 경제달러에 투자하라? 27 Toby 16/05/03 5024 0
    2707 경제뭐? 양적완화? 23 난커피가더좋아 16/04/28 4689 1
    2706 경제암울해 보이는 우리 경제상황 9 하늘밑푸른초원 16/04/28 4967 0
    2699 경제한국 해운업 위기의 배경에 대한 브리핑 29 난커피가더좋아 16/04/27 5649 4
    2504 경제한국판 양적완화는 가능할까? 42 난커피가더좋아 16/03/31 5191 2
    2361 경제서구의 세대양극화 38 눈부심 16/03/09 6021 1
    2342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4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6601 4
    2236 경제정초부터 우울한 경제뉴스들 42 난커피가더좋아 16/02/16 5630 1
    2204 경제조지 소로스와 중국의 전쟁은 어떻게 흘러갈까 4 Toby 16/02/11 5239 0
    2073 경제행복과 행복에 관한 생각들 21 Moira 16/01/21 6522 5
    2040 경제GE 가전부문이 하이얼에 인수되었습니다. 11 Beer Inside 16/01/16 480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