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6/29 16:54:11
Name   [익명]
Subject   큰 돈이 생겼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400만원 정도의 돈이 생겼습니다.

이 돈을 어떻게 운용해야할지 고민입니다.

혹시 조언에 도움이 될 까 해서 익명의 힘을 빌어 상세하게 경제적인 상태를 작성하겠습니다.

26세, 남성, 취준생 입니다. 대학은 아직 졸업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취준준비기간을 포함하여 앞으로 3년쯤 후에 졸업할 것 같습니다. 등록금은 다행히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
꾸준한 소득이 현재 존재하지 않고 아르바이트를 뛰거나 부모님께 월마다 용돈을 받거나 해서 수입이 불규칙합니다. 따라서 고정적인 수입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소득이 있더라도 월 60만원보다 많은 적은 없었습니다.

제 명의의 자산은 현재 이 400만원이 다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원래 있었으나 작년에 갑자기 큰 돈을 써야할 일이 있어 어쩔수 없이 해지한 이후로, 현재까지도 미가입상태입니다.

집은 부모님과 동거중이기에 주거비 지출은 없습니다.
지병이 있어 꾸준히 1주 간격으로 동네 의원에 내원하는 편입니다. 병원비로는 월 15만원쯤 나오는 것 같습니다.


당장 큰 지출이 예상되는 항목은 없고,
고정적인 꾸준한 지출로는 교통비로 월 10만원, 통신비로 월 4만원 정도입니다.
그 외 월 단위 식비와 술값 정도로 35만원 정도 쓰는 것 같네요. 편차가 좀 있지만 평균은 저정도입니다.
술자리를 자주갖는 편은 아닌데 한 번 지출시 1회당 금액이 좀 큰편이고 (3만원이상), 식비는 점심과 저녁을 밖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른 아침에 나가 밤늦게들어오는 생활을 항상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미용실은 1달에 1~2번정도로 갈때마다 3만원 정도 쓰고, 3달에 1번 정도로 펌이나 염색을 해서 10만원정도씩 쓸때가 있습니다.
화장품은 스킨로션썬크림만 쓰고 주로 두달주기 정도로 교체해주는것같네요 이것도 살때마다 5만원정도는 쓰는거같습니다.
취미생활로 웹소설을 읽거나 pc방에서 게임을 하는 편인데 여기에도 웹소설 편당결제, 게임팩 결제, pc방비 결제 등으로 월 15만원 정도 지출되는거 같습니다.
연애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차량도 미보유상태이며 대중교통 이용합니다.
옷에는 별로 관심없고 살때는 몰아서 사는 편입니다. 옷은 주로 비싼거사기보단 그냥 무신사에서 적당히 무난한거 위주로삽니다.

써놓고 지출내역을 다 더해보니 위에 언급한 수입금액인 60만원을 넘네요 ㅡ.ㅡ;; 근데 이상하게 항상 적자는 안났었습니다. 없을때는 없는대로 그냥 자연스럽게 지출을 줄여서 쪼들리는 기분을 느낀 적은 없었던거같네요. 글을 쓰는 지금 제 지출내역이 생각보다 많다는걸 새삼 자각하면서 놀랄정도로 그동안 무심했을정도로요;;

적자가 없었던 이유가 월마다 지출이 꾸준한게 아니라 변동성이 좀 크고 편차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달은 식비나 술값이 적게 들었다던가 어떤 달은 스팀게임을 구매하지 않았다던가 pc방을 거의 가지 않았다던가 아니면 돈이 없으니 그냥 꼭 필요한거 이외에는 아꼈다 이런 이유로요. 하지만 지출을 계획적으로 하는 타입은 아닙니다.

어찌됐던간에 제가생각하는 평균적인, 넉넉한 고정수입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발생하리라 추측되는 지출내역은 위와 같습니다.....


질문으로 다시 돌아와서, 400만원을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입니다.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입장에서 400만원은 제게 정말 큰 돈으로 느껴집니다.
최소 목표는 인플레이션으로 손해보지않게끔 자산가치의 유지,
최대 목표는 높은 수익률로 자산 증식입니다.

그런데 막상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네요.
자산배분을 어떻게 할 것이며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얼마를 소비를 위한 자금으로 따로 할당하고 또 얼마를 투자를 위한 자금으로 할당할 것인가?
20대 취준생 입장에서 미래를 대비할 목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방안들엔 뭐가있는가? (예를들어, 보험을 가입하여 꾸준히 납입을 한다던지?)

경제적인 조언 뿐 아니라 다른 여러 인생조언을 해주셔도 좋고, 본인의 자금 운용 사례를 소개해주셔도 좋습니다.
좋은 조언들 미리 감사드립니다.



0


공기반술이반
우량주 몰빵 후 10년후에 까보기??....;;;
[글쓴이]
삼전풀매수 가즈아?!
글 안에 답이 나와 있네요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월 10만원 납입 x 3년 = 360만원이죠

400으로 주식을 해서 두배 불려도 800입니다
운이 좋아서 두배로 불렸다고 치면 800이 적은 돈은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 과정에서 있을 험난함을 생각한다면 좀 수지가 안 맞죠

어차피 금리도 낮고 하니 청약 가점이라도 미리 모으는 게 나을 듯 합니다
2
[글쓴이]
주택청약에 대해서는 막연히 알아서 좀 더 자세히 찾아봐야겠습니다만.. 지금부터 납입한다면 납입기간에서 가점을 많이 못받기도 할테고 결혼에 큰 뜻도 없는 상태라.. 주택청약저축납입이 미래에 큰 의미를 갖거나 도움이 될까? 가점이 별로 안될게 뻔해보이는데..하는 회의적인 생각이 쫌 있습니다. 그럼에도 일단 없는것보단 있는게 나을까요?
Cascade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61300000088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다른 것에 비해 금리가 좀 더 높습니다. 다른 통장에 넣느니 500만원까지 비과세인 청년우대형에 넣으면 훨씬 좋죠. 통장에 넣는다면 이쪽에 넣는 게 무조건 유리합니다. 가점과 상관없이요.

투자를 하신다면 400만원으로는 좀 적습니다. 진짜 시급도 안 나올 가능성이 많음... 50시간 투자해서 400만원을 500으로 불려도 시급 2만원인데 리스크 감안하면 굳이....? 지금 주식 장도 전체적으로 올라서...
[글쓴이]
읽어보니 가입대상이 소득이 있는 무주택 세대주라 해서.. 일단 알바를 하면 소득은 해결이 될텐데 세대주여야 하니 부모님과 동거를 하는 저는 해당이 안될 것 같네요.. ㅠㅠ
Cascade
무주택가구의 세대원도 포함됩니다.
2020禁유튜브
저도 주택청약저축을 넣고 있는데 아파트 사려고 넣는 거 아닙니다.....ㅎㅎ
이율이 높아서 넣고 있어요. 저는 평생 돈 안쓰고 모아도 아파트 살까말까라서 말이죠. ㅎ

400이면 우리같은 사람에게는 큰 돈이지만 리스크를 걸고 투자해서 불려가지고
인생이 달라질만큼 이득을 볼수 있는 돈은 아니라서요...
저도 그냥 좀 이율이 높은 예적금 찾아서 은행에 맡기는 쪽으로 추천을 하고싶습니다.
ebling mis
서울은 그걸로 할게 없지만 다른곳은 없는 수준은 아닐거고, 무엇보다 400만원으로 소비가 아닌 생산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 쓸만한 곳이 없습니다. 학원 등록비같은게 아니면... 청약은 가입기간 보는 케이스도 있고 청약통장 잔액에 따라 응모할 수 있는 평수가 달라지니까 주식투자나 학원등록같은거 하실게 아니면 그냥 청약통장에 넣는게 가장 낫죠.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400만원 넣어서 예금 이자 받아봐야 얼마 되지도 않고.
맥주만땅
큰돈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삼전 사서 배당만 받아도 은행이자보다 나을 것이지만,

큰돈이라고 생각하면 주택청약저축이나 저축은행에 다시 적금으로 넣으세요.

살다보면 급전 필요할 때가 생깁니다.
저도 청약 추천요
파란아게하
뭘 어떻게 하려는 뚜렷한 목표가 없고 잃고 싶지도 않으면
그냥 정기예금이 좋은 거 같아요

용돈 받으신다는 것보니 아니신 것 같지만, 혹시라도 해당이 된다면(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여야 합니다.), 소액이라도 최근 3개월 꾸준히 근로/사업소득이 있었고(;알바하는 대학생 가능) 앞으로도 계획이 있다면, 청년저축계좌 같은 것도 한 번 알아보세요. 2기가 7월 1일부터였던 것 같습니다.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1275510
마술사
당연히 주택청약!
살찐론도
자산투자보단 가치투자에 의의를두시고 하고싶은걸 하시는게 좋지않을까 싶긴합니다만, 글쓴이분이 원하시는 답은 아니군요.

개인적으론 원금손실이 있을수 있는 항목에는 두려움이 있어, 저도 주택청약을 추천드립니다.
월10만원씩 인정되니 1년치 빼두시고 나머진 정기예금넣고 1년후에 또 1년치 빼놓고 나머지 넣고 하시면 아주 미세하나마 효율적일 것 같읍니다.
[글쓴이]
말씀해주시는 내용들로 보아 주택청약 가입하는게 가장 좋은 선택인 것 같네요. 주택청약통장 만들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직 이벤트 하나 모르겠는데,
페이코 한화 CMA만들면 300만원 까지 1년동안 3.6% 줘요.

전 작년에 가입한지라 지금 저금리여서 사라진지 모르겠지만 요것도 찾아보세요.
저도 취업후 바로 청약들고 월 10만원씩 붓고있지만, 따로 독립해서 세금우대나 청년우대 혜택 받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모아서 집살 수도 없는지라... 솔직히 회의적이에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83 경제미국 노동절로 인한 예수금 출금가능일자? 2 [익명] 20/09/08 2822 0
10023 경제ISA 관련 질문입니다. 5 [익명] 20/08/29 2640 0
10008 경제무주택자로 갈아타야하나요? 13 [익명] 20/08/26 3271 0
10006 경제지금 대출하는게 맞나요? 7 [익명] 20/08/26 3018 0
9954 경제경제학 서적 추천좀요 6 [익명] 20/08/17 2874 0
9938 경제해외주식 할 때 수수료가 적은 곳은 어디인가요? 11 [익명] 20/08/14 2643 0
9907 경제원룸 건물에서 특정 호수만 매매 가능한가요? 7 [익명] 20/08/08 3918 0
9906 경제전세 또는 주택 구매에 관한 질문 4 [익명] 20/08/08 2790 0
9881 경제1~2억 화끈하게 쓰기 29 [익명] 20/08/04 3243 0
9858 경제재무제표 구조를 정리해봤는데 오류 수정을 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3 [익명] 20/07/31 3669 0
9854 경제돈 관리 질문입니다. 8 [익명] 20/07/30 2905 0
9816 경제처음해보는 재테크 수단으로 주식에 입문하려고 합니다. 6 [익명] 20/07/22 2537 0
9763 경제승용차 자전거 거치대 이런거 튼튼한가요? 3 DogSound-_-* 20/07/14 3415 0
9749 경제자격증이 주는 서명 가격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7 [익명] 20/07/11 2560 0
9703 경제휴대폰을 분실하였습니다 1 헬리제의우울 20/07/02 4904 0
9689 경제알바를 해보는게 인생에 도움이 될까요? 40 [익명] 20/06/30 7616 0
9682 경제큰 돈이 생겼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17 [익명] 20/06/29 3674 0
9640 경제목돈 1억 5천만원 정도가 있는데 어떻게 투자해야할까요? 11 [익명] 20/06/22 2980 0
9627 경제주식투자 고수분들, 특정 조건으로 종목 검색 가능한가요? 2 Brown&Cony 20/06/20 3437 1
9618 경제어머니 휴대폰 바꿔드리려 합니다 8 헬리제의우울 20/06/19 3501 0
9607 경제주식 투자 지금 같은 시기에 어디에 많이 하나요? 7 [익명] 20/06/17 2740 0
9565 경제월300을 투자할곳은...? 14 [익명] 20/06/10 3737 0
9550 경제카카오페이 투자 하시는분 [익명] 20/06/07 2301 0
9549 경제주식투자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6 방사능홍차 20/06/07 3288 0
9545 경제토스 수익률 결과 16 잘살자 20/06/06 410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