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1/14 17:44:02
Name   [익명]
Subject   국민연금 추가 납부 관련
안녕하세요.

국민연금 추가 납부에 대해서 홍차넷 선생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추납을 할 경우에 대한 계산을 해 보았는데 과연 이득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제 계산이 맞는지 살펴봐주시고 잘 못 된 부분을 집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현재 67개월정도 추납이 가능합니다.
그럴 경우 추납금액은 29,300,000원 정도입니다. 지금상태로 60세까지 납부한다면, 그 경우 65세 이후 매달 받을 연금액이 1194천원에서 1405천원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제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대략 139개월정도를 211,000원씩 받으면 추납한 원금과 같아지는 것 같습니다.

2. 거기에 추납금액에 대한 이자수익을 산정한다면 손익분기점은 더 뒤로 밀리게 될 겁니다.
(경우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게 될 수 있겠지만) 연 3% 복리 계산을 했을 때 52,000,000만원(15.4%일반세율계산)이 됩니다. 이건 대략 20년 이상을211,000원씩 수령해야하는 금액이 됩니다. 게다가 연금개시 후 (52,000,000 - (211,000 × 개월 수 ) ) × 이율(3%?) 에 대한 이자도 계산 되어야겠지요.

3. 그렇다면 제가 65세 연금개시 후 최소 85세이상 아니 92,3세정도 이상까지 받아야 제가 추납한 금액보다 이익이 난다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제 계산은 이러한데, 대부분 국민연급 추납이 유리하다고들 말씀하셔서 제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좀 복잡할 수도 있겠지만 한 번 살펴봐주시고 지적 및 의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니면 제가 연 3%복리 계산이 너무 높기 때문인가요? ^^;;;

답변 주시는 선생님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0


[글쓴이]
계산하다보니 느낀건데, 제가 수학을 참 못하나봅니다. 헷깔려요...으흐흐흐....ㅜㅜ
맥주만땅
요즘 평균적으로 80세 이상은 살고, 아마 선생님 때는 평균 수명이 90세가 될 겁니다.

일찍 죽는다고 생각하면 연금만큼 쓸모 없는 것이 없지요.

저희 아버지가 은퇴할 때 까지만 해도 연금 대신 퇴직금 일시불을 신청하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걸로 강남 아파트를 샀으면 부자가 되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지요.

저희 아버지도 아마 80세 넘어까지 자신이 연금 받고 살 줄 몰랐을 겁니다.
[글쓴이]
그르게요. 저도 그 생각을 해서 지금의 80세 정도의 평균수명이 90세 넘어서겠다고 생각했는데, 그렇다고하더라도 국민연금 추가납부가 그닥 이득이란 생각이 안들어서 그럽니다.

제 계산대로라면 92, 93세까지 살아봐야 내 돈 내가 받는 결과라서요. 뭐 100세까지 산다던가 한다면 당연히 국민연금 추납을 하는 게 낫다라고 결론을 내리겠지요.

혹시 국민연금 추납이 이득이라고 하시는 분들은 어떤 계산(?) 혹은 이유로 그렇게 말씀하시는지가 조금 더 자세히 궁금합니다.
봉다리소녀
제일 수혜자는 엑스세대인걸로알아요 그다음은 못받을확율이..엑스세대는 20대에 밀레니엄을 본세대죠
[글쓴이]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관련 기사가 있네요.
그런데 기사내용이 너무 단촐해서 잘 이해가 앙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58 경제차량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설치 vs 순정 배터리 교체 3 세나개 19/12/12 4085 0
8422 경제돌 선물 질문입니다 2 헬리제의우울 19/12/06 2868 0
8416 경제중국이 잘살게 된 이유가 뭔가요? 10 [익명] 19/12/05 2902 0
8400 경제청약저축 비과세한도로 인한 이체 지연 3 침묵의공처가 19/12/03 3919 0
8382 경제강남 오피스텔 전세에 관하여.... 3 [익명] 19/11/30 2507 0
8381 경제2탄) 집문제 질문드립니다 !!! 7 [익명] 19/11/29 2592 0
8343 경제집문제.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19 [익명] 19/11/25 3331 0
8331 경제적금을 잘 들어보려고 합니다!! 11 [익명] 19/11/23 2777 0
8268 경제국민연금 추가 납부 관련 5 [익명] 19/11/14 2487 0
8211 경제대출과 투자 질문좀 드려요 7 [익명] 19/11/07 2759 0
8167 경제수지구청역 vs 죽전역 아파트? 13 [익명] 19/11/01 5794 0
8162 경제종잣돈 굴리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익명] 19/10/31 2796 0
8132 경제전세계약 관련 질문.. 2 [익명] 19/10/28 2168 0
8130 경제전세대출로 집 계약하려고 하는 해당 집이 매매계약이 된다고 합니다 6 뒹굴이 19/10/28 2879 0
8129 경제주택 청약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5 [익명] 19/10/28 2641 0
8127 경제결혼하고 같이 살 집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34 [익명] 19/10/28 3592 0
8021 경제대학생 신분 부모동의 없이 대출 받을 경로 있을까요? 1 [익명] 19/10/12 2220 0
8020 경제대학생 신카쓰면 신용등급 도움되나요 13 [익명] 19/10/12 2538 0
8007 경제차량 다이렉트 보험 질문드립니다. 2 눈팅중 19/10/10 2721 0
7999 경제은행 OPT 발급관련 문의입니다. 12 켈로그김 19/10/08 4456 0
7978 경제우리나라가 일본 경제를 잡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59 원영사랑 19/10/04 4029 0
7965 경제개인은 디플레이션에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요? 5 고파파 19/10/01 3502 0
7964 경제이번 WTO 공기압밸브건은 어떻게 봐야하나요? CONTAXND 19/10/01 3346 0
7963 경제경알못이 디플레/인플레를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6 호타루 19/10/01 3991 0
7914 경제주택청약 질문드립니다. [익명] 19/09/24 219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