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7/05 15:46:28
Name   [익명]
Subject   MBTI 성격유형(INTP)
초6~ 중1때인가 MBTI를 인터넷에서 했는데 ESFP가 나왔었습니다.
고1 때인가 학교에서 MBTI 검사를 했었는데 INTP가 나왔었습니다. 고3때도 했는데 INTP가 나왔던것같네요. 기억상 둘다 정식검사였던것같습니다.

그 이후로 인터넷에서 한번 더 했던거같은데 ISFJ였나 나왔던 것 같고요..

성격이 환경에 따라 변할 수는 있지만 MBTI는 사람의 선천적인 성향을 판가름 하는 검사로 알고있는데
이렇게 급격하게 결과가 바뀔 수 있나요?

중~고 거치면서 질풍노도의 시기를 심하게 겪고, 우울증도 겪어본지라 개인적으로는 급격하게 변할 수도 있다고는 생각이 되는데..
선천적인 성향을 판단하는 검사에서 검사결과가 저렇게 편차가 심하다는건 감정적 변인이 너무 과하게 작용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고..

그리고 MBTI성격유형에 따라 진로를 탐색하는게 유의미한 결정이 될 수 있을까요?
저는 제 스스로 INTP가 그나마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데
이공계/컴퓨터 개발자 쪽 직군이 가장 잘 맞는다고 하더군요 ;;
제가 생각하는 제 성향과 INTP성향으로 미루어보면 컴퓨터쪽이 가장 잘맞아보이기는 하는데.. 저도 그쪽에 흥미가 꽤 있기도 하고
문제는 나이도 20대 중반에 문과인지라 그쪽으로 진로를 틀기에는 포기해야 하는 기회비용이 너무나 커서 좀 망설여지기도 하네요..

다른 INTP 유형 분들 계신가요? 어떤 직군에서 일하고 있는지, 현재 직업에 만족하는지, 만족도와 별개로 직업에서 자신의 능력을 유의미하게 발휘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리하자면
1. MBTI 검사결과가 일관성을 띄지 않고 급격하게 변할 수 있는가?
2. MBTI 성격 유형과 진로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까? (MBTI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는게 합리적인 선택일까?)
3. 홍차넷의 INTP분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신의 성격유형과 현재 직업이 서로 적합도를 갖는지,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지 등등이 궁금

감사합니다

--[추가]
2번 고민을 하게 된 이유를 좀 더 부연설명하자면,
나이먹어가면서 삶의 궤적을 돌아보고, 그냥 별 대수롭지 않게 스쳐지나갔던 것들이 다 지나고 돌아봤을때 퍼즐처럼 짜맞춰보면
공통적으로 가리키는 나 자신만의 어떤 특징, 경향성을 발견하게 되는 경험 있으실 겁니다.
저 같은 경우 그 발견하게 된 특징 중 하나가 INTP로 나왔던 고등학생때의 MBTI검사결과였어요. 그 때 당시에는 별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살아오면서 느낀 '나는 이런 사람이구나' 라는게 돌아보니 INTP랑 묘하게 잘 들어맞더라고요.
최근에도 진로 고민을 하면서 INTP에게 으레 적합하다고 말해지는 연구직이나 개발직군, 독립적이고 수평적인 업무환경, 높은 수준의 논리력이나 분석력을 요구하는 직군들이 나에게 잘 맞고, 내가 추구하는 직군이라고 느꼈는데, INTP가 그것과 부합했고요.. 지금 준비하고 있는 진로가 이쪽과는 살짝 핀트가 다른 것도 있어서 고민이 되기도 했고..

내가 INTP니까 이런 쪽의 진로를 알아볼까? 가 아니라,  
그 쪽의 진로가 왠지 관심이 가고 나랑 맞는거같은데, 어라? INTP유형에게 추천되는 진로도 이쪽이네? 내가 INTP인것같은데, 마침 내가 고민하는거랑 비슷하잖아?
그럼 MBTI 성격유형과 직업진로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걸까? 그리고, 진로유형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한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걸까? 라는 고민이었습니다.



0


토오끼코오끼리
제가 이걸 다 답변드릴 수 있는 지혜나 지식은 전혀 없습니다만, 고1 때 처음 mbti 검사를 학교에서 했었는데 진로선생님께서 "이건 빠르면 6개월에 한번씩도 충분히 바뀔 수 있는 검사니까 너무 맹목적으로 믿지는 말아라" 라고 하셨었습니다. 저도 요즘엔 ENFJ 나 ENTJ 가 나오곤 하는데 처음 검사했을땐 이게 아니었습니다. I 뭐시기 였던걸로 기억해요.

그리고 저는 항상 직업관련 검사할때마다 3순위 안에 간호사가 꼭 들어가곤 했는데, 남들 도와주고 퍼주는걸 좋아하는 성격 때문에 그렇게 나왔구나 싶습니다. 물론 간호사는 전혀 고려하는 직업이 아닙니다. 내 성향이 대충 요러하구나 하는 참고용으로 봅니다 ㅎ
기쁨평안
저도 INTP가 맞는것 같은데 테스트를 할 때의 컨디션에 따라 왔다갔다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런 해설(?) 같은 것은 직업의 단편적인 부분만 기재를 하는 거라 완전히 적용하는 것도 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일단 엄청 INTP 성향이 강한 저의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대인(對人) 업무가 어렵습니다. 그러니까 새로운 사람들을 자주 만나야하는 업무가 어렵죠.
마음이 가장 편한 건 아무래도 모니터 뒤에 숨어(?) 있는 거고요.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개발직 이런건 아니에요. 왜냐면 IT 업종도 나중에 기술영업 ... 더 보기
저도 INTP가 맞는것 같은데 테스트를 할 때의 컨디션에 따라 왔다갔다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런 해설(?) 같은 것은 직업의 단편적인 부분만 기재를 하는 거라 완전히 적용하는 것도 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일단 엄청 INTP 성향이 강한 저의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대인(對人) 업무가 어렵습니다. 그러니까 새로운 사람들을 자주 만나야하는 업무가 어렵죠.
마음이 가장 편한 건 아무래도 모니터 뒤에 숨어(?) 있는 거고요.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개발직 이런건 아니에요. 왜냐면 IT 업종도 나중에 기술영업 이런거 해야하거든요.
그리고 문과라고 해서 무조건 사람 상대해야하는 것도 아니고요.
또 사회생활을 하려면 사람을 만나는 것을 피할 수도 없고요.

오히려 인사, 총무 쪽에 일을 하면서 엑셀 프로그램 짜서 돌리고 이런거 하는 걸 더 좋아하는 사람도 봤어요.
그리고 상대적으로 업무 역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쟁력도 있고요.

그러니 지나치게 신경쓰시지 마시고 차근차근 현재 하고 있는 분야 내에서 적합한 쪽을 찾아보세요.
[글쓴이]
INTP를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굉장히 드문 유형이지만 인터넷에 자주보이는 유형이라는 말이 사실인것같네요. ㅋㅋㅋ
저도 대인 업무를 싫어하고, 기피합니다. 정말 공감이 가는 댓글이네요.
이공계통이 아무래도 연구직/기술직이 많은데 비해, 문과계통은 연구직의 문도 좁고, 기술을 갖추기도 힘드니 아무래도 많은 고민이 되네요.

결국 어느 길로 가던 위치가 오르면 영업은 필수라는 건 변함이 없다는 건 마찬가지지만, 그거야 나중이고 당장 지금은 하기 싫은거니까요. ㅋㅋㅋ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몇개월에 한번씩 바뀔 수 있는 검사입니다.
1. 성장하면서 그리고 살아가면서 충분히 변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애초에 칼같이 정확한 테스트도 아니고(재현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다더군요. ), 실제로 성격이 변하기도 하고요. 네 지표의 강도(?)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고요. 저도 INTP 나왔는데 저는 I, N은 극단적으로 뚜렷한 성향인 반면 T, P는 비교적 애매하더라고요. 제가 다시 테스트를 진행하면 INFJ가 나올 수도 있다는 뜻이겠죠.

3. 전 지금 정치학 석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전공은 많이... 다르지만(천문학 ㅎㅎ) 하여튼 연구직을 꿈꾸긴... 더 보기
1. 성장하면서 그리고 살아가면서 충분히 변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애초에 칼같이 정확한 테스트도 아니고(재현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다더군요. ), 실제로 성격이 변하기도 하고요. 네 지표의 강도(?)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고요. 저도 INTP 나왔는데 저는 I, N은 극단적으로 뚜렷한 성향인 반면 T, P는 비교적 애매하더라고요. 제가 다시 테스트를 진행하면 INFJ가 나올 수도 있다는 뜻이겠죠.

3. 전 지금 정치학 석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전공은 많이... 다르지만(천문학 ㅎㅎ) 하여튼 연구직을 꿈꾸긴 했습니다. INTP 추천 진로 보니까 역시 연구직이 있더라고요. 개인적으로도 이거 말고 뭘 할 수 있을까 싶어요. 현재 진로에 대한 만족도도 높고, 다른 진로에 대한 미련도 거의 없습니다. 뭐 제 미래가 어떻게 풀릴지는 두고봐야겠습니다만 잘 선택한 것 같습니다. 주변인들 말을 들어봐도 그렇고요.

참고로 MBTI는 중고등학생 때 두어 번인가 해보긴 했지만 제 진로 선택에 참고하지는 않았습니다. 생각도 안 났어요. 지금 댓글 달 수 있는 것도 사실 지금 킹갓짱익 소양교육 중인데, 엊그제 수업중에 MBTI 검사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ㅎㅎㅎ 음 적고 보니 도움이 될 만한 답을 드리기엔 제가 너무 어린 것 같네요 ㅠㅠ 그래도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MBTI는 그 사람의 본성을 보여준다기 보다는 현재의 모습혹은 내가 지향하는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사람이라는게 적응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업무나 삶에서 요구되는 쪽으로 점점 개발된다고 합니다. 4개 항목 중에서 점수가 낮은 것이 있다면 나중에 환경에 따라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하네요. 만약 한쪽으로 매우 치우친 결과가 나왔다면 좀 더 본인의 자연스러운 모습에 가깝고, 환경에 따라 바뀌지 않는 부동의 특성으로 볼수 있다고 해요. 결과가 자주 바뀌는 것은 적응력이 좋은 것으로 볼수도 있고, 외부 자극에 스트레스가 많은 타입일수도 있겠네요.

MBTI는 제약이 많은 검사고 이거 하나로 평가하기 힘든점이 많아서, 다른 종류의 검사도 같이해보면 일단 재미는 있습니다
itstruelovedontfakeit
저도 INTP인데
성향과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MBTI는 검사전에 검사에 대한 이해를 잘 하고 넘어가는게 중요하다고 하지요.
전문가가 설명해줄 때는 "MBTI는 심리 선호도 검사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더 선호하는 답을 고르면 됩니다. 최근의 상태나 하고 있는 일 등과 무관하게 원래의 자신이 선호하는 답을 고르세요. 자기가 되고 싶거나 되어야 한다고 느끼는 이상향이 아닌 내가 편하게 느끼고 선호하는 답을 고르는 겁니다." 라고 말해줍니다.

또한 성인이 되지 않은 청소년기에는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있고 올바르게 답변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고등학생이 ... 더 보기
MBTI는 검사전에 검사에 대한 이해를 잘 하고 넘어가는게 중요하다고 하지요.
전문가가 설명해줄 때는 "MBTI는 심리 선호도 검사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더 선호하는 답을 고르면 됩니다. 최근의 상태나 하고 있는 일 등과 무관하게 원래의 자신이 선호하는 답을 고르세요. 자기가 되고 싶거나 되어야 한다고 느끼는 이상향이 아닌 내가 편하게 느끼고 선호하는 답을 고르는 겁니다." 라고 말해줍니다.

또한 성인이 되지 않은 청소년기에는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있고 올바르게 답변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고등학생이 되기 이전에는 시행하지 않는다는 원칙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하는 간이 검사와는 다르게 문제 자체도 좀 더 정밀하게 정돈되어있어요. 인터넷에서 하는 간이 검사는 조금 과장하면 "당신은 내향적인 사람입니까?" 수준의 직접적인 질문들이라서 검사 결과가 공식 검사와는 차이가 많습니다.

다만 MBTI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 분들도 많습니다.
공신력이 좀 떨어졌달까요.
그런면을 인정하고 동의하면서 본다면 '제대로 설명을 듣고 정식 검사지로 검사한다고 하더라도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가 아닌건 달라지지 않으니 결국 거기서 거기다.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다'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1
그래서 요약하면.

1. 변할 수 있습니다만, 잘 변하지 않습니다. 인터넷으로 검사한건 검사라고 할 수 없을만큼 부정확합니다.
2.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3. 저도 INTP이지만 진로와 MBTI를 연관시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우주견공
중요한 지적이시네요. 간혹 내 mbti가 a니까 이 일에 잘어울림 같이 잘못된 결론으로 빠지기도해요. 요즘은 오히려 다양성과 시너지 측면의 팀구성을 위해 mbti를 하는 추세더라구요.
[글쓴이]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나' 자신의 성격은 무엇인지, 그 직업과 나의 성격, 내 성향이 얼마나 잘 들어맞는지를 알아보는건 꽤나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연봉이나 근무환경을 고려하는 것만큼이나요.
추상적인 개념인 '성격'을 측정하교 표식화하는 검사 중 대중적으로 보급된건 MBTI이기에, MBTI 검사 결과를 얼마나 유의미하게 신뢰할 수 있는가, 또 그것을 의사결정에 어디까지 활용할 수 있는가가 궁금했어요.


3번 답변에 대한 추가질문입니다.
IT 개발 쪽 직업이신 걸로 알고 있는데, 성격과 직... 더 보기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나' 자신의 성격은 무엇인지, 그 직업과 나의 성격, 내 성향이 얼마나 잘 들어맞는지를 알아보는건 꽤나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연봉이나 근무환경을 고려하는 것만큼이나요.
추상적인 개념인 '성격'을 측정하교 표식화하는 검사 중 대중적으로 보급된건 MBTI이기에, MBTI 검사 결과를 얼마나 유의미하게 신뢰할 수 있는가, 또 그것을 의사결정에 어디까지 활용할 수 있는가가 궁금했어요.


3번 답변에 대한 추가질문입니다.
IT 개발 쪽 직업이신 걸로 알고 있는데, 성격과 직업을 연관시켜 생각하지 않는다라는 말씀은,
Toby님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INTP 성향의 성격과 IT개발쪽 직업간의 업무적합도 상관관계가 그렇게 크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라고 봐도 될까요?
네.
적성과 어느정도 연관이 있기는 합니다만, 개발자 안에서도 MBTI를 검사하면 형별이 다양하게 나올테니까요.
INTP 개발자라고 모두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도 아닐테구요.

저는 MBTI를 인간 이해의 측면에서 활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나 자신에 대한 이해도 포함해서요.
그런면에서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나 자신을 좀 더 이해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질문하신 내용으로 봤을 때 글쓴이 님이 MBTI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이해는 깊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그런면에서 볼 때 MBTI의 결... 더 보기
네.
적성과 어느정도 연관이 있기는 합니다만, 개발자 안에서도 MBTI를 검사하면 형별이 다양하게 나올테니까요.
INTP 개발자라고 모두 자신의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도 아닐테구요.

저는 MBTI를 인간 이해의 측면에서 활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나 자신에 대한 이해도 포함해서요.
그런면에서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나 자신을 좀 더 이해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질문하신 내용으로 봤을 때 글쓴이 님이 MBTI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이해는 깊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그런면에서 볼 때 MBTI의 결과지만 읽고 자신의 적성을 결부시켜 진로를 결정하고자 하는 것은 연결고리가 많이 끊어져있는 부실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MBTI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시던지, 아니면 단순히 참고하시는 정도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진로와 적성에 대한 고민은 스스로 좀 더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과, 실제로 이런 저런 일들을 다양하게 경험해보면서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를 관찰하는 면이 더 좋습니다.
일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 정도의 간단한 체험은 얼마든지 할 수 있어요.
실제로 일을 해보시라는게 아니라, 일하게 되면 하는 일과 비슷한 활동을 스스로 체험해보시라는 겁니다.

물론 어느정도 진로를 정하면 그 이후에는 아르바이트, 인턴 등의 실제와 가까운 체험도 해보는 편이 더 좋구요.
*alchemist*
저는 INTP INFP 오락가락합니다 ㅎㅎ
살면서 좀 바뀌는 게 맞는게 아일까 싶습니다 ㅎㅎ
DarkcircleX
2번에 대해서만 조금 도움이 될까 싶어 남깁니다.

교육심리학에서는 학생분석을 위해 성격 유형에 대한 여러 검사 유형이나 기준을 제시하는데, MBTI는 그 중 하나로 언급되긴 하지만 그 뿐이며 공신력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영어교육에서는 MBTI를 학습전략을 짜는 데 참고하기 위해 사용하긴 합니다. (PLLT 5th ed. pp.176-9, Brown) 하지만 이 역시 하나의 참고자료로만 쓰이지 큰 비중을 두지 않습니다.

MBTI는 한 개인을 분석하기 위한 여러가지 도구 중 하나이며 교육현장에서는 그리 큰 비중... 더 보기
2번에 대해서만 조금 도움이 될까 싶어 남깁니다.

교육심리학에서는 학생분석을 위해 성격 유형에 대한 여러 검사 유형이나 기준을 제시하는데, MBTI는 그 중 하나로 언급되긴 하지만 그 뿐이며 공신력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습니다. 영어교육에서는 MBTI를 학습전략을 짜는 데 참고하기 위해 사용하긴 합니다. (PLLT 5th ed. pp.176-9, Brown) 하지만 이 역시 하나의 참고자료로만 쓰이지 큰 비중을 두지 않습니다.

MBTI는 한 개인을 분석하기 위한 여러가지 도구 중 하나이며 교육현장에서는 그리 큰 비중을 두지 않습니다. 진로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검사라면 MBTI보다는 Holland 유형이 쓰이기도 합니다만, 이 역시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그냥 여러 도구 중 몇 가지들일 뿐입니다.

결론을 내자면... 진로지도를 위해 MBTI 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잘못하면 교사가 학생의 성장을 방해하고 억압하여 그의 삶을 망쳐버릴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저는 당일에 두번해도 바뀌더군요...
BibGourmand
학부 때 얻어들은 수준입니다. 정식 검사 기준으로 E/I (내향성/외향성) 측면은 꽤 일관성이 높다고 들었습니다만, 다른 측면들은 가끔 변하기도 하고, 정확성이 높지는 않은 수준이라 하시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44 진로당황하지 않는 능력은 얼마나 타고날까요? 7 [익명] 18/09/29 2654 0
5478 진로자소서를 제출했는데 지원마감 후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3 [익명] 18/09/18 2679 0
5459 진로직군이 다른 면접에서 준비해야할 대답들이 어떤게 있을까요? 2 인달 18/09/16 2717 0
5458 진로부산 송도에 괜찮은 호텔과 맛이집 있나요? 6 수박이 18/09/15 3887 0
5456 진로재직중 이직관련 질문입니다! 3 라면인건가 18/09/15 4811 0
5455 진로취업? 최종합격이후 합격수락 여부 답변 2 [익명] 18/09/15 3084 0
5445 진로회사 선택의 기준이 어떠셨나요? 57 Danial Plainview 18/09/13 9981 0
5397 진로약대 졸업 이후 진로가 궁금합니다. 12 Mellow Logic 18/09/06 6507 0
5383 진로이직고민(펑) 24 [익명] 18/09/04 2453 0
5369 진로공무원으로 이직이 맞는걸까요2 4 [익명] 18/09/02 2211 0
5366 진로뉴욕 살면 코베어가나요? 51 기아트윈스 18/09/01 5572 0
5362 진로머리를 확 20 지금여기 18/08/31 3370 0
5338 진로이력서(자조서+경력기술서)를 어떻게 써야 하나요? 3 damin 18/08/28 3360 0
5328 진로공무원으로 이직이 맞는걸까요 13 [익명] 18/08/26 4751 0
5272 진로직장 내 업무분배와 처우 문제 고민 7 [익명] 18/08/16 2366 0
5240 진로퇴직 후 경력 인정 기간 2 [익명] 18/08/12 3141 0
5220 진로알바로? 은행청원경찰 어떨까요? 11 활활태워라 18/08/08 4291 0
5218 진로초과 학기를 해서라도 교원자격증을 얻는다? 9 [익명] 18/08/08 2494 0
5203 진로영어를 계속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영어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14 [익명] 18/08/06 2635 0
5091 진로로스쿨 입시상담요! 6 선비 18/07/20 2395 0
5069 진로30대 초반이 진로고민을 합니다. 19 [익명] 18/07/17 3579 0
5063 진로기계과) 졸업 학점을 넘길 필요가 있나요? 4 집정관 18/07/17 4192 0
4974 진로MBTI 성격유형(INTP) 16 [익명] 18/07/05 6581 0
4949 진로공학계열 석사->취업->박사 질문 9 [익명] 18/07/03 2955 0
4738 진로삶의 목표가 무엇인가요? 19 [익명] 18/06/02 324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