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01 09:17:20
Name   알탈
Subject   5월 무역수지 -21억달러…15개월 연속 적자 행진(상보)
https://v.daum.net/v/20230601091240388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5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우리나라 수출은 522억4000만달러, 수입은 543억4000만달러로, 무역수지는 21억달러 적자를 냈다.

수출은 전년 동월(616억달러)보다 15.2% 감소한 522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계속되는 IT업황 부진, 지난해 5월 수출이 역대 5월 중 기준 2위 실적을 기록한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24억달러대를 회복했다.]


킹달러와 중국 수출 감소의 여파로 15개월 째 무역 적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국내는 금리 인하로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보이는데, 무역적자 누적에도 그러한 처방이 유효할지는 걱정입니다. 당장 이쪽 업계에서도 상위권 제약사부터 구조조정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0


매뉴물있뉴
참... 이정도 적자가 나는데 이 정도로 안까이는 정부도 참 보기 힘든 듯...
박근혜 이명박도 이정도 실드를 받진 못했습니다. 진짜 언론이 역대급으로 피의 실드 쳐주는 중이라고 봐야하는거 아닌가..
23
취임하기 전부터 이미 무역적자 나있었고, 중국경제나 반도체사이클 등으로 이미 예견되어있었던거니까 그렇죠. 그래도 까려면 다들 까더만유
1
매뉴물있뉴수정됨
IMF 이후로는 08년 이후 처음 있는 적자입니다. 21세기 들어 한번도 보지못한 무능의 극치에요 이정도면.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시절에는 반도체 사이클이 없기라도 했단 말입니까? 역대급으로 본적도 없는 숫자를 찍어놓고도 저정도로 안까이는건 그냥 뭐...... 언론이 그냥 미친거에요. 이건 보수언론 기울어진 운동장 문제라고 할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언론 다 폐쇄했다고 봐도 안이상할 수준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전두환정도는 되야 비교가능할 수준이라고 봐야하는거 아닌가 생각해요.
3
처음 있는 적자라는게 15개월 연속이 처음이라는 건가요?
매뉴물있뉴

15개월이든 연도별이든 적자폭이든
아무거나 대충 골라잡아도 처음있는 거라고 대충 말하면 대충 맞을 정도입니다. 뭐하러 그런걸 구체적으로 특정하려고 하십니까 대충 찍어도 트루인데? (......)
8
솔직히 정부 무능하다고 하는거야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말할수 있을거 같은데, 왜 언론을 계속 운운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기울어진 운동장인지 잘 모르겠어요. 제가 뉴스타파 같은데 종종봐서 그런가..
노바로마
뉴스타파는 진짜 마이너 언론이니까요. 조중동 필두로 메이저 언론사들 정권 친화적인 경우가 많아서요.
듣보잡
언론 비판은 아무래도 메이저 언론을 중심으로 봐야죠. 어떻게 봐도 기울어진 건 맞지 싶읍니다.
과학상자
근데 뉴스타파를 본다고 왜 그런 생각이 안 들 수 있다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뉴스타파 기사를 보면 왜 이런 기사들이 다른 곳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을까 의문을 품을 법도 할 것 같거든요. 이런 기사들을 다루는 곳이 있기는 있으니까 별로 문제가 없는 것 같다는 의미일까요?
4
굵직굵직한 토픽들은 어차피 모든 언론사가 다루죠. 그 토픽에 대한 논조가 언론사마다 다양할텐데, 우리나라정도면 그 다양성을 잘 접할수 있지않냐는 뜻이었습니다. 대다수 메이저 언론사가 특정 토픽에서 보수 정권 보호를 위한 한목소리를 낸다고 윗댓 분들은 말하시는거 같지만요
과학상자
그런 의미셨군요. 제 생각에 언론지형이 기울어져 있다는 것은 그런 다양한 논조들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대중에 미치는 영향력에 현격한 차이가 있어서일 것 같습니다. 주요언론사가 어떤 주제를 주요의제로 삼는지부터 해서, 어느만큼의 보도분량을 들이는지, 포털을 통한 노출 정도 등 유통과정의 차이를 생각하면 대중에게 결과적으로 전달되는 정보에 있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을 거에요. 어딘가에서 접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만으로는 그런 기울기를 이길 수 없을 겁니다.
1
명상의시간
뭐... 어쩌겠읍니까 코로나 특수 다 끝나고 쳐 맞는 중이죠.
그분께서 이 대세 흐름을 역전 시킬 수 있을거라 아무도 기대하지 않읍니다...
3
곰곰이
코로나 끝나고 다른 나라들은 다 회복세인데 우리나라만 '혼자' 맞고 있으니까 큰 문제인 겁니다.
대세 흐름 역전이 아니라 그냥 대세에 편승하기만 하면 되는데 그걸 못 하니 비판하는 것이구요.

올해 경제 성장률 낮아질까…IMF 한국 성장률 ‘하향’ 조정 - 이코노미스트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높이고 한국은 낮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39100... 더 보기
코로나 끝나고 다른 나라들은 다 회복세인데 우리나라만 '혼자' 맞고 있으니까 큰 문제인 겁니다.
대세 흐름 역전이 아니라 그냥 대세에 편승하기만 하면 되는데 그걸 못 하니 비판하는 것이구요.

올해 경제 성장률 낮아질까…IMF 한국 성장률 ‘하향’ 조정 - 이코노미스트
IMF,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높이고 한국은 낮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39100?sid=101

수출·내수 부진에 韓 성장률만 1.5% 제자리…동아시아서 '꼴찌' - 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75169?sid=101
2
명상의시간
중국도 빌빌기는데 방법이 별로 없는 것 같읍니다 ㅠ

중국 제조업PMI 2개월째 기준선 아래…경기수축 계속
https://www.nocutnews.co.kr/news/5952125
중국은 우리보다 먼저 부동산 버블팝이 시작되서...
형식적 공정 언론 시늉 하다가 박근혜 탄핵 맞아서 + 무서워서... 가 아닐까 싶습니다.
P의노예
기둘어진 언론 운운은 이해가 안되네요. 친야당 언론이 없나요? MBC는 뭐한답니까?
본문엔 언론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만
1
퓨질리어
MBC+한경오 vs 그 외 언론

러프하게 봐도 야당이 불리한 언론 지형인 것 같은데요?
1
P의노예
KBS도 빼먹음 안되죠. 그정도면 충분히 야당도 빵빵한데요? 그걸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하면 아예 야당이 장악해야지 정상이라 하는거랑 다를바 없죠.
퓨질리어
KBS가 야당에게 유리한 논조였나요?
글쎄요. 요소수 사태 때 난리 피우던 걸 생각하면 생각보다 조용해서 별로 와닿지는 않네요.
1
P의노예
KBS가 친여당인가요? YTN은요? 대충 봐도 충분히 또이또이 한데요? 말씀주신 네곳만 할말 다하고 살아도 충분히 여론 만들어지겠네요.
퓨질리어

출처: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634

2022년 종이신문 점유율을 봐도 조중동만 따져봐도 50%에 육박하고
네이버 포털 뉴스 기사 조회수만 봐도 보수 언론이 진보 언론보다 조회수가 훨 많죠.

MBC를 비롯한 현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들은 오늘도 가열차게 비판 여론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기사가 노출되는 커버리지가 다르기 때문에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게 아닐까요?
3
P의노예
우리나라의 여야 지지율이 저 조회수만큼 나뉘나요? 그냥 상대적으로 젊은 진보쪽이 소비하는 여론의 창이 다양한건 아니구요? 네이버 다 바꿔서 이제 자기가 보고싶은 언론만 보게 해놨잖아요? 실제로 저 기사도 대부분의 기사는 생활 IT에 조회수가 몰리네요. 그냥 비판하고자하는 언론에서 그쪽 분야에 양질의 기사를 내보낸다고 이해해야하지 않나요?
그럼에도 사람이 안찾아보는건 야당쪽 언론의 문제라 봐야하지 않나요? 그쪽 언론사에서 사람을 더 끌수있게 고민을 해야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노출되는 커버리지가 문제라는데, 그럼 강제로 배당해야한다 이건가요?
퓨질리어
글쎄요 그럼 선생님께서는 조중동을 위시한 보수언론의 영향력이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럼 조중동은 특출나게 양질의 기사를 써서 저만큼 조회수와 신문 열독률을 끌어모았나요?
2
P의노예
선생님이 링크하신 자료에 조회수가 정치뉴스만 나오는게 아니고, 조회수 트렌드를 보면 최소 온라인에서 뉴스기사를 클릭하는 사람이 보는 기사는 생활 IT 사회 순이며, 생각보다 정치 기사는 인기있는 기사 종류라 보기 힘드네요. 거기에 대해 별 코멘트가 없다면 저랑 하는 토론에는 별 의미가 없는 기사 같구요.

MBC, KBS, 그리고 김어준을 위시한 소위 진보 언론들과 한경오의 영향력은 없나요?
김어준은 뭐 대단한 질의 뉴스로 팬을 끌어모았을까요?

뭔 모든 언론이 다 장악당한 세상 이야기하는것도 아니고. 비교를 전두환 시대... 더 보기
선생님이 링크하신 자료에 조회수가 정치뉴스만 나오는게 아니고, 조회수 트렌드를 보면 최소 온라인에서 뉴스기사를 클릭하는 사람이 보는 기사는 생활 IT 사회 순이며, 생각보다 정치 기사는 인기있는 기사 종류라 보기 힘드네요. 거기에 대해 별 코멘트가 없다면 저랑 하는 토론에는 별 의미가 없는 기사 같구요.

MBC, KBS, 그리고 김어준을 위시한 소위 진보 언론들과 한경오의 영향력은 없나요?
김어준은 뭐 대단한 질의 뉴스로 팬을 끌어모았을까요?

뭔 모든 언론이 다 장악당한 세상 이야기하는것도 아니고. 비교를 전두환 시대랑 하는 덧글을 보니 말이 안나와서 덧글을 달긴했는데 사람이 안보는걸 어쩌란겁니까. 친야당에 가까운 언론들이 할말 못사는 세상도 아니구요. 충분히 뉴스 잘나오던데요. 사람들이 안보면 어쩔수 없죠.
퓨질리어
P의노예 님//
정치 기사 조회수를 분석한 자료가 없어서 궁한대로 가져왔긴 했는데 주장에 뒷받침이 안된다니 어쩔 수 없군요.

그러면 선생님께서도 왜 KBS, YTN 등이 친야당, 진보 언론으로 분류되는지 설명을 해주셔야죠. 저는 이 부분도 별로 납득이 안되는데요?
정권에 조금만 비판적이더라도 다 진보 언론에 범주로 넣어버리면 당연히 보수와 진보의 균형추가 점점 평형을 이루는 것 아닐까요?
1
P의노예
퓨질리어 님//
뭐 딱히 설명을 드려야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아 굳이 비유해서 설명드리자면.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중앙에서 서울시 오발령 비판하는 뉴스를 올렸으니 (34882 참고) 이제 친여 아니라 봐도 될까요? 동의는 못하시겠죠. 같은 이치라고 보시면 될거같네요.
1
퓨질리어
P의노예 님//
그런 말씀을 하시니 제가 더 말씀 드려도 논의가 공전될 것 같네요.

하다못해 KBS가 친노동, 친여성, 친성소수자의 논조를 보였다면 이해가 되었을 텐데 KBS가 진보라고 하시니 저도 잘 납득이 안되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1
cummings
반도체, 중국. 둘 다 죽쑤고 있으니 뭐... 답이 없죠

그래도 반도체 주가가 상승 전환 한 걸 보면 한 6개월~1년 뒤엔 괜찮아지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the hive
확실히 문재인 이재명이 이모양이였으면 이정도로 그러려니 하는 수준으로 넘어가지는 않았을거라 봅니다
3
안좋은 기사 썼다간 오른팔 동후니형이 압수수색 빔 쏠 수도 있어서 다들 쫄아있나…
닭장군
윤 증즐가 대평셩대
스티브잡스
이악물고 엄대엄이라고 우겨봐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105 경제‘바꿔치기’ 큰절 사과했던 어시장... 집에 와보니 또 ‘다리 잘린 게’ 17 swear 23/06/19 2278 0
35082 경제BOJ 대규모 완화정책 유지…원·엔 환율 800원대 코앞 4 danielbard 23/06/16 2158 2
35050 경제4대 시중은행 담합 증거 잡았나…공정위 2차 조사 2 Beer Inside 23/06/14 2061 1
35049 경제두달 만에 또 무더기 동시 하한가…거래소, 매매거래 정지(종합3보) 다군 23/06/14 2059 0
35040 경제5대은행 청년도약계좌 기본금리 4.5%로 올릴듯…당국 지침 전달 5 Groot 23/06/14 2060 0
35014 경제“셋째 낳으면 무조건 승진”...저출산 극복에 진심인 이 기업 swear 23/06/12 2034 0
34978 경제"70살까지 애 뒷바라지 못해요"…30대男마저 딩크 택한다 22 swear 23/06/08 2207 0
34975 경제車개소세 인하 5년만에 종료…7월부터 그랜저 세부담 36만원↑ 4 다군 23/06/08 2042 0
34973 경제대통령실은 "타격 없다" 했는데…현대차·기아, 글로벌 전기차 7위로 추락 8 명동의밤 23/06/08 2123 5
34961 경제"피를 섞자"더니 아이디어만 빼먹고 투자 철회한 교보문고…스타트업 탈취에 당정도 칼 빼든다 8 곰곰이 23/06/07 2031 0
34943 경제美·EU 부동산 붕괴 조짐에 기관투자가들 초긴장 모드…이미 '가치 제로' 평가도 6 기아트윈스 23/06/05 2068 0
34926 경제전세의 치명적 단점...금리 제로땐 이론적으로 무한상승 10 구밀복검 23/06/04 2209 0
34925 경제한은 “전세 절반 이상이 역전세 위험····1년내 절반이 만기도래” 8 구밀복검 23/06/04 2037 0
34921 경제“에티오피아를 울리다” 기적의 한국 기업 ‘인프레쉬’ swear 23/06/04 2119 3
34894 경제IRA 충격 현실로…현대차·기아 전기차 판매 급감 7 알탈 23/06/02 2060 0
34891 경제韓銀 총재 “구조적 장기 침체, 돈 풀어서 못 막는다” 1 여우아빠 23/06/01 2179 0
34876 경제5월 무역수지 -21억달러…15개월 연속 적자 행진(상보) 34 알탈 23/06/01 2060 0
34840 경제‘사람이 힘’이라더니 몽둥이로 폭행…노동부, ‘더케이텍’ 특별감독 2 tannenbaum 23/05/29 2031 1
34820 경제크루그먼 "美정부, 31조달러 부채 갚지 않아도 된다" 7 오호라 23/05/27 2270 0
34800 경제기준금리 3.5%로 3연속 동결…한미 금리차 1.75%p 그대로 4 Beer Inside 23/05/25 2032 0
34789 경제‘미국, 중국 반도체 제조 능력만 키울 것’ 엔비디아 CEO의 경고 1 뉴스테드 23/05/24 2059 0
34787 경제수입맥주부터 치킨까지…편의점도 줄줄이 가격 인상(종합) 5 다군 23/05/24 2038 0
34780 경제중기중앙회장 "日처럼 월 100시간·연 720시간 연장근로 해야" 4 야얌 23/05/24 1919 0
34778 경제관리재정수지? 대한민국만 쓰는 갈라파고스적 개념 1 오호라 23/05/24 2060 0
34772 경제이탈리아 파스타면 가격 급등…伊 정부, 긴급 대책회의 11 산타는옴닉 23/05/24 205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