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1/06 10:21:34
Name   모모스
Subject   과부제조기 V-22 오스프리
지난 번 "세월호와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글에서 언급된 "본험리처드" 호에도 장비된 "V-22 오스프리" 이야기입니다.

V-22 Osprey



"V-22 오스프리" 는 영화 (레지던트 이블 4편 V-22와 비슷한 다수의 틸트로터기들이 인상 깊게 나오더군요.) 에도 자주 등장하는 기체로 1989년 3월 19일 첫 비행을 한 뒤 무려 18년 뒤인 2007년 6월 13일 처음 도입된 현재까지 미군만 보유하고 있는 ‘틸트로터’ 기입니다.


틸트로터기는 헬기처럼 수직이착륙을 하고 이동 중에는 프로펠러의 방향을 전환하여 일반 고정익 비행기처럼 순항 비행할 수 있습니다. 즉 헬기의 수직이착륙과 고정익기 속도의 장점을 모두 가진 획기적인 비행기라고 할 수 있죠. 미 해병대와 특수전 부대용으로 수백대가 생산되어 운용되고 있습니다. 해병대용은 MV-22라고 부릅니다.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정식 도입되는데 18년이 걸린 사연이 많았던 기체입니다. 심지어 대당 가격이 1억달러 (1100억) 가 넘습니다. 꼴랑 수송기 치곤 매우 비싼 편이죠. 워낙 비싼 장비고 쉽게 추락할 수 있어서 최전선에 잘 투입하지 못하고 있고 원래 예민하고 섬세한 기체라 무장도 쉽게 추가할 수 없습니다. 고정익기에 비해 헬기 등이 운용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편이지만 V-22는 그 중 가장 심합니다. Cost per flight hour 로 표현하는데 V-22 70,000 달러로 다른 헬기 (보통 10,000달러 미만이고 CH-53E 만 20,000 달러 수준) 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심지어 최신 전투기인 F-22 (44,000 달러), F-35 (35,000 달러) 보다 훨씬 높고 스텔스 전략폭격기 B-2 (135,000 달러, 이 기체는 레이더파를 흡수하는 외장재가 쉽게 녹아버려서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고 에어컨이 나오는 시설에 저 큰 비행기를 보관해야 합니다.) 의 절반 수준입니다.



한때 연이은 추락사고로 "과부 제조기(WidowMaker) "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비행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어 한동안 비행금지 명령을 받기도 했으나 현재 안전성을 크게 보완한 것으로 알려있습니다. 그럼에도 비행 안정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는데 특히 V-22는 비전투 손실이 많기로 유명합니다. 추락사고로 현재까지 70여명의 인명손실을 내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안그래도 비싸서 아끼느라고 최전선에도 보내기 힘들고 주로 후방에서 운용하는데도 쉽게 추락하는지라 많은 비난을 받는 비행기죠. 하지만 틸트로터기로의 뛰어난 속도와 장점은 대체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륙전 중심인 해병대의 강력한 요구로 계속 전력화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근래에는 작년 말 (2016.12.13.)  일본 오키나와 근방에서 해병대소속 MV-22 1기가 추락하여 2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나기도 했습니다.  





V-22보다 먼저 "과부제조기"라는 별명을 가진 미군의 전투기가 있었으니...

F-104 Starfighter



미공군이 무려 1958년도부터 배치한 기체로 속도 위주로 개발된 세계 최초 마하2급 실전 배치된 전투기입니다. 당시 소련의 초음속 전투기와 고고도의 대형 폭격기를 압도하기 위해 기동성은 희생하고 상승력과 속도에만 치중하여 개발한 요격전투기입니다. 20mm M61 발칸포도 장비한 나름 화력도 좋은 전투기입니다. F-104전투기는 동체의 길이가 16.66m, 날개 폭은 6.36m 으로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태입니다. 근래의 전투기들과 비교해보면 폭이 극단적으로 좁은데 이는 속도에서 이득을 볼 수 있을지 몰라도 스핀에 빠지기도 쉽고 비행기의 양력에서 큰 손해여서 실속시 추락하기 쉽습니다.

2,578대가 생산되었는데 미공군은 200여대정도만 사용하고 나머진 저렴한 가격으로 동맹국에 많이 판매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의 강력한 우방인 당시 서독 (냉전시대로 독일 통일전) 에 많이 판매되었는데 서독공군에서 무려 915대나 도입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 무렵 서독공군은 교전을 치루지 않는 상황이었는데 훈련 중이나 비전투임무에서만도 무려 292대가 추락하고 115명의 조종사가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독일에서는 Witwenmacher (The Widowmaker) 로 불리웠죠.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미군은 초고도요격기로 개발하였는데 서독공군이 전천후 전투기 사용하다보니 저공에서 기동성과 안전성의 문제로 많은 F-104가 추락하고 말았습니다. 2차대전패전 후 50~70년대 새로운 전투기를 개발하지 못하고 미국에서 구입해서 쓰던 서독입장에서는 별로 대안이 없었습니다. 또 과거의 전투기 강국 독일로서는 자존심이 상했을지도 모르지만 어찌보면 2차대전 때 자신들을 패퇴시킨 미국의 전투기 (P-51머스탱, P-47 선더볼트) 들의 후손이라 당연히 최고라고 생각하고 요격기로도 쓰고 근접지상폭격기로도 쓰려다 보니 이런 큰 손실을 입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아무튼 그 후 F-4, 토네이도전폭기, F-16 등의 도입으로 퇴역하게 되었습니다.  



4
  • 기술적으로 안정성을 갖기 힘든 이유가 궁금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984 기타김정남 암살에 사용된 것으로 유력한 신경가스 - VX가스 16 모모스 17/02/24 9643 6
4548 기타과부제조기 V-22 오스프리 18 모모스 17/01/06 9598 4
4508 기타고양이와 톡소포자충 6 모모스 17/01/01 4455 2
4483 기타고양이와 DNA감식 7 모모스 16/12/30 5574 4
8939 의료/건강버닝썬 사건에서 언급된 물뽕, 그리고 마약 이야기 9 모모스 19/03/06 8880 11
4297 의료/건강탈모와 프로스카 8 모모스 16/12/05 8495 1
4253 의료/건강약물대사와 글루타치온-백옥주사 7 모모스 16/11/29 11959 0
4228 의료/건강불면증과 잠 못 드는 청와대 8 모모스 16/11/25 9190 2
4216 의료/건강청와대에서 구입한 리도카인은 뭐하는 물건인고? 17 모모스 16/11/23 13483 12
4191 역사제노사이드 (Genocide) 1 모모스 16/11/19 4610 3
4179 의료/건강줄기세포치료 (Stem Cell Theraphy) 와 빈부격차 3 모모스 16/11/18 9164 2
4174 의료/건강대마초, 마리화나 11 모모스 16/11/17 7802 1
4165 의료/건강불안과 향정신성의약품 1 모모스 16/11/16 8760 2
4154 의료/건강프로포폴과 IV infusion 6 모모스 16/11/15 9194 4
4143 의료/건강화병과 우울증 3 모모스 16/11/12 6738 8
4044 기타세월호와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6 모모스 16/10/31 7435 5
4024 과학/기술혈우병과 무당 라스푸틴 2 모모스 16/10/28 8912 6
4020 기타미르+K = 미륵? 11 모모스 16/10/27 4798 2
4012 역사링컨대통령과 파란알약 5 모모스 16/10/26 3244 5
4002 과학/기술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6 모모스 16/10/25 7905 15
3974 역사솔뤼트레인 (Solutrean) 와 말타 (Mal'ta) 의 소년 3 모모스 16/10/21 6762 5
3964 역사클로비스 화살촉과 발사무기 8 모모스 16/10/20 7210 8
3955 과학/기술나이아 (Naia) 의 소녀와 자연계의 덫 모모스 16/10/19 5618 4
3933 과학/기술아르마딜로와 한센병 1 모모스 16/10/17 13919 3
3916 영화자백약 (나바론 요새, 켈리의 영웅들) 7 모모스 16/10/15 7743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