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10 12:32:58
Name   이젠늙었어
Subject   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 문화충격
저는 캐나다에 이사와서 살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사 와서 많은 문화 충격을 겪어오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기름값이 무척 싸다거나, 자동차에 겨울철 엔진 예열을 위한 전기 코드가 있다거나, 차보다는 사람을 우선하는 운전 문화라던가, 99.99% 셀프 주유 시스템 같은 것이죠. 특히 대부분의 비보호 좌회전 시스템은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미국을 자동차로 여행했었는데요, 거긴 또 캐나다와 다른 문화가 있더군요.

먼저 계량 시스템. 미터법을 쓰는 캐나다와 달리 미국은 자신만의 계량법을 씁니다.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을 때도 갑자기 리터에서 갤런 단위로 바뀌고 속도 단위 또한 순식간에 뒤죽박죽이 됩니다.


이미지 출처 : 구글 이미지

캐나다와 미국에서 공히 볼 수 있는 최고속도 표지판인데요, 넋 놓고 다니다 보면 저는 시속 65 킬로미터로 달리게 됩니다. 갑자기 뒤에서 맹렬한 속도로 – 시속 100 킬로 이상 – 다른 차가 제 똥침을 놓으면 아차 하게 되죠. 그래도 한 일주일 지나니 적응이 되더군요.


이미지 출처 : 구글 이미지

문제는 캐나다에 돌아와선 그 반대의 경험을 하게 됩니다. 제한 속도가 50 이어서 시속 80 킬로로 달리다가 굼벵이처럼 기어가는 앞차를 만나게 되면 아, 여긴 캐나다지! 하고 깨닫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부지불식간에 과속을 하게 되는 미국인 방문자를 위해 위 사진과 같은 경고판이 국경에 서있고는 합니다.

오레건주에 도착해서 주유소에 들렸을 때 입니다. 언제나처럼 주유를 하려고 차문을 열고 나섰는데요, 히피풍의 젊은이가
– 헤이, 여기선 그런 식이 아냐. 앉아 계셔. 뭘 원해?
하는 겁니다. 그래서 전 단순히 이 주유소는 풀 서비스인가보다 생각했죠. 그래서 전
- 레귤러, 가득 채워주라.
했죠. 그랬더니 주유구를 제 차에 걸고선 열심히 뒷 유리를 닦아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황당한 시츄에이션이 다른 주유소에서도 계속 이어졌죠. 알고 봤더니 미국의 오레건주는 셀프 주유가 불법이었던 것입니다. 참 재밌죠?

미국에서의 주유는 현금가가 대부분 카드가보다 싸다는 겁니다. 그래서 한 푼이라도 아낄려고 현금 주유를 주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100% 선불 결재가 원칙이더군요. 이게 은근 귀찮습니다. 주유펌프와 주유소 매점은 보통 멀리 떨어져 있는데요, 먼저 매점에 들어가 캐셔에게 돈을 주며
- 펌프 몇 번, 20불 부탁해.
하는 식으로 선불결재를 합니다. 다시 돌아와 펌프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경우 지불한 돈 이전에 기름통이 가득 차게 됩니다. 그러면 또다시 먼 거리의 매점에 들러 거스름돈을 돌려받아야 하죠.

캐나다에서도 간혹 현금으로 기름을 넣는데요, 저는 아직까진 선불 거래를 경험한 적이 없습니다. 그냥 펌프를 쓰고 매점에 들러
- 안녕, 나 펌프 몇 번 썼어.
하면 캐셔가
- 응, 오늘 어때? 근데 뭘로 결재할건데? 현금? 카드?
이런 식으로 합니다. 약간 정감 있죠?

그런데 한국이 일본의 트랜드를 뒤쫓듯이 캐나다도 미국의 시스템을 쫓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캐나다의 주유소도 미국처럼 현금의 경우는 점점 선불 결재 방향으로 간다는 군요. 불경기의 여파인지 기름 넣고 도망가는 경우가 증가하기 때문이겠지요. 지금은 과도기인지 저는 아직 직접 경험한 바는 없습니다만.

변화에는 항상 마찰이 따르죠. 변화가 못마땅했던 한 다혈질 캐나다인이 벌인 흉악한 짓좀 보세요.

http://alweekly.ca/bbs/board.php?bo_table=groupA_3&wr_id=221&page=9



2
  • 바다건너 이야기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 바다건너고 재밌는 이야기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7 정치'우리 라인이라 씹기가 좀 그래' <드라마 송곳> 3 nickyo 15/10/26 8872 4
198 기타잘 지내요?.. 15 박초롱 15/06/04 8867 0
615 기타DNA를 사용해서 범인을 검거한 최초의 사례... 10 Neandertal 15/07/18 8862 0
285 기타옆동네에서 나오는 개신교 이야기에 대한 단상. 31 세인트 15/06/10 8861 0
1457 기타뉴욕의 간지나는 홈리스 16 눈부심 15/11/04 8857 0
7803 방송/연예[불판] 프로듀스48 4회 300 Toby 18/07/06 8856 0
208 기타[뉴스] 중국 양쯔강 둥팡즈싱 호 침몰사고 16 마로니에 15/06/04 8856 0
8939 의료/건강버닝썬 사건에서 언급된 물뽕, 그리고 마약 이야기 9 모모스 19/03/06 8851 11
10880 일상/생각타임라인에서 공부한 의료파업에 대한 생각정리 40 거소 20/08/25 8845 77
477 생활체육간합의 변화로 본 mma 발전 양상 17 레지엔 15/06/30 8845 0
5529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8841 8
242 기타업로더 16 김치찌개 15/06/07 8838 0
1913 기타소라넷을 100만명이 해? 9 절름발이이리 16/01/01 8836 0
3705 기타어떤 밈 19 눈부심 16/09/14 8834 2
3387 도서/문학히틀러 <나의 투쟁>을 읽고 6 DrCuddy 16/07/28 8832 11
1239 창작너는 나의 컨디션 (스압주의) 10 nickyo 15/10/12 8832 5
1153 일상/생각일욕심과 편하고 싶은 마음의 딜레마 35 레지엔 15/10/01 8831 3
1251 음악Prince - Rock and Roll Hall Of Fame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1 김치찌개 15/10/14 8827 0
1492 음악Αστέρι μου Φεγγάρι μου 6 새의선물 15/11/08 8824 1
3487 일상/생각미국과 캐나다의 자동차 문화충격 9 이젠늙었어 16/08/10 8820 2
1283 기타이력서 사진보고 뽑으시나요? 26 까페레인 15/10/18 8820 1
7885 스포츠[사이클] 알프 듀에즈, 프랑스를 대표하는 업힐 5 Under Pressure 18/07/19 8819 4
6725 IT/컴퓨터'옵션 열기'의 정체 16 Toby 17/12/07 8819 34
295 기타천이백년전 불발로 끝난 일본의 대한반도 침공작전 3 개평3냥 15/06/10 8816 0
860 댓글잠금 기타못생긴 사람은 여성도 아닌가? 외모 따라 차별하는 메갈리안 27 피아니시모 15/08/28 881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