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25 10:59:08
Name   새의선물
Subject   \'떡\'보다 \'빵\' 좋아하는 사람이 대장암 발생 위험 높다
신문을 보다가 위와같은 제목의 기사가 보이더군요.

http://media.daum.net/culture/newsview?newsid=20150925083958284

기사에 보면...

빵을 좋아하는 사람이 떡을 좋아하는 사람에 비해 대장암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떡을 좋아하는 사람의 대장암 위험이 낮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로 평가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박효진 교수팀과 성신여대 식품영양학과 이승민 교수팀은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식이요인과 대장암 발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중략)

분석 결과, 연구 집단 중 빵을 자주 섭취하는 군이 적게 섭취하는 군보다 대장암 발생이 약 2.26배 높게 나온 반면(OR T3 vs T1 = 2.26, 95% CI: 0.96-5.33, p for trend = 0.031), 떡을 자주 섭취하는 군은 적게 섭취하는 군 보다 대장암 발생률이 약 0.35배로 오히려 위험률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에 대해 정확한 원인을 아직 규명할 순 없지만 ‘빵’과 ‘떡’의 선호도가 그 사람의 식이패턴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떡’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곡물과 야채(섬유질) 중심의 한국의 전통적인 식이패턴을, ‘빵’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붉은 육류 중심의 서구식 식이패턴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후략)

-------

사실 이 기사를 보고 먼저 생각난건 아래 그림입니다.

http://xkcd.com/882/



위의 그림이 가리키는게 뭐냐면, 실험을 할때 여러개의 군에 대해서 각각 p value를 구할때는 각각의 p value를 바로 쓰는게 아니라 그것을 보정을 해 줘야 한다는걸 가리킵니다. p value를 어떻게 계산하는가 하는건 딱히 알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보통 그 값이 0.05보다 작으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임의적으로 과학자들이 정해놓은 값입니다. 어째든 과학자들이 보통 multi testing correction이라고 하고, 가장 엄격하게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Bonferroni correction이라는게 있는데, 이것은 보통 p value가 나오면 이것을 몇 개의 군에서 실험했는지를 보고 그 군의 숫자를 곱한 값을 p value로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좀 궁금해서 저 기사에서 언급한 논문을 잠깐 뒤져봤는데, multi testing correction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없더군요. 개인적인 느낌이기는 한데, 아마 멀티 테스팅 코렉션은 하지 않은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코렉션을 해 준다면 p value가 0.031이 아니라 0.031x16=0.496이 됩니다. 전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사실 이 문제는 워낙에 생물.의학쪽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문제고, 이제는 상당수의 논문이 통계적으로 의미없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이것이 의미가 있다는 식으로 해서 발표가 되는데 그 정도가 학문 발전을 가로막을 정도에 이러렀다고 보고 있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뭐랄까 이런 신문기사에 실리면서 일반인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주는 경우도 많고요. 연구비 받아서 뭔가 했는데, 결론이 제대로 안나고 논문은 내야하고 하다보니 이런 일들이 생기는거 이해는 하지만... 뭐랄까 좀 씁쓸한 생각이 드는건 어쩔 수 없네요.

-----

홍차넷에 통계 전공하시는 분 계시던데, 잘못된거 있으면 수정해 주시리라고 믿습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04 기타어떤 똥휴지회사의 잔머리 16 눈부심 15/09/26 8964 0
    1099 기타일본방사능 - 사망의 진짜 원인 26 눈부심 15/09/25 15744 0
    1098 기타'떡'보다 '빵' 좋아하는 사람이 대장암 발생 위험 높다 18 새의선물 15/09/25 7392 0
    1095 기타홍차넷에 없는 것들, 없어도 되는 것글, 없어야 되는 것들 27 관대한 개장수 15/09/24 7931 0
    1087 기타보드카 이야기 18 마르코폴로 15/09/24 8411 4
    1078 기타오싹했던 기억.. 9 Yato_Kagura 15/09/23 5626 0
    1075 기타소주 이야기 15 모모스 15/09/23 9942 2
    1064 기타신뢰 회복을 위해 오류없는 장기 묘수풀이 (댓글에 해답있음) 22 위솝 15/09/22 7614 0
    1057 기타콜라 이야기 9 모모스 15/09/22 9646 1
    1055 기타영국 생활 이야기 (4): 영어 16 기아트윈스 15/09/22 6273 0
    1054 기타미국 입시 잡담 (2)... 학비... 4 새의선물 15/09/22 8797 0
    1052 기타중식이 - 야동을 보다가 18 눈부심 15/09/21 12031 3
    1051 기타커피 이야기 - Caffeine 11 모모스 15/09/21 9689 7
    1033 기타미국 입시 잡담 (1)... 6 새의선물 15/09/19 6119 0
    1030 기타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3개의 언어... 30 Neandertal 15/09/18 8750 0
    1020 기타IQ와 합리적 사고 18 눈부심 15/09/17 6599 1
    1012 기타LP와 나의 인연 - 부제 : 추억여행을 해보시겠습니까? 6 삼성그룹 15/09/16 6102 0
    1004 기타맨체스터에 흐르는 로마제국의 향기?... 7 Neandertal 15/09/16 5843 1
    1000 기타초급 문제 출시! 물량공세! 장기 묘수풀이 (댓글에 해답있음) 26 위솝 15/09/15 7654 0
    990 기타파란 비계의 산돼지(사진주의) 12 눈부심 15/09/14 5287 0
    954 기타오류 발견 시 한문제 더.. 장기 묘수풀이 (댓글에 해답있음) 13 위솝 15/09/08 4813 1
    944 기타다음팟의 미래는? -2차 개편- 5 어느 멋진 날 15/09/07 5743 0
    938 기타재미있는 무한대 16 눈부심 15/09/07 6422 0
    937 기타피시방 요금 설명과 흡연 신고 방법 11 하드코어 15/09/07 14725 0
    928 기타머릿 속에 이미지가 안 그려지는 사람 10 눈부심 15/09/06 700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