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9/27 11:44:28수정됨
Name   맥주만땅
File #1   450.jpg (8.8 KB), Download : 32
Subject   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미국에서는 알약이 500개가 들어있는 아스피린을 약국에서 일반인에게 팔고 있습니다.)

아스피린은 처음에는 해열/진통제로 개발되었지만,
미국의 시골이나 저개발국가를 제외하고는 아스피린을 해열/진통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대신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경색을 예방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지요.

이 경우 저용량 아스피린을 사용합니다.

20세기 말부터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사용할 경우,

고형암을 예방하거나 고형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논문들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아스피린을 건강식품처럼 먹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그동안 연구에서 복용을 통한 위험도 높지 않고,
심혈관 질환자들을 검사해서 위험이 있는 사람만 주는 것은 검사비용이 발생하니
그냥 심혈관질환 발생이 높은 고령의 환자들은 무조건 아스피린을 주면 심혈관질환도 예방하고
부수적으로 암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805819

그래서 약 2만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약 4.7년간 임상시험을 시행하여 보니,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이 아스피린 대신 위약을 복용을 한 군과 비교하여
심혈관질환은 의미있게 감소하지 못하였고, 아스피린의 부작용인 위장관출혈과 같은 출혈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803955

그리고 같은 저자들이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군이 사망률이 높았고,
암으로 인한 사망이 주 원인이어서 아스피린이 암을 억제한다는 그간의 속설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주의 : 이 글은 월도를 통해서 작성하였으므로 논문의 분석에 대해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족 : NEJM에 연구자료를 잘라서 발표하다니, 연구 하나가지고 잘라서 논문 쓰지 말라고 한 사람들은 반성해야.
        이 연구하나로 impact factor를 몇점을 획득했는지....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0-10 01:1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 월도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4 의료/건강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4 맥주만땅 18/09/27 6608 4
703 일상/생각레쓰비 한 캔 9 nickyo 18/09/17 6173 44
702 문학[서평] 세대 게임 - 전상진, 2018 3 化神 18/09/17 6183 10
701 일상/생각버스에서의 반추 4 nickyo 18/09/16 5247 10
700 기타냉동실의 개미 4 우분투 18/09/16 5680 15
699 창작고백합니다 44 파란아게하 18/09/09 8992 96
698 꿀팁/강좌알쓸재수: 자연수는 무한할까? 27 기쁨평안 18/09/10 7029 16
697 일상/생각글을 쓰는 습관 4 호타루 18/09/15 6099 8
696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2) 3 기쁨평안 18/09/13 7616 9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020 85
694 정치/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9 rknight 18/09/08 8221 23
693 일상/생각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2 nickyo 18/09/02 5547 11
692 IT/컴퓨터Gmail 내용으로 구글캘린더 이벤트 자동생성하기 8 CIMPLE 18/09/06 6591 6
691 경제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28 Danial Plainview 18/08/30 8507 14
690 의료/건강의느님 홍차클러님들을 위한 TMI글 - 아나필락시스 사망사건과 민사소송 22 烏鳳 18/08/28 7430 10
689 일상/생각입방뇨를 허하기로 했다 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8/08/31 5752 9
688 문학책 읽기의 장점 2 化神 18/08/27 7680 13
687 꿀팁/강좌의사소통 능력 (Communicative Competence) 2 DarkcircleX 18/08/21 8328 7
686 문학시집 책갈피 10 새벽유성 18/08/20 6369 16
685 기타못살 것 같으면 직접 만들어보자. 핸드백제작기 22 Weinheimer 18/08/19 6218 18
684 여행관심 못 받는 유럽의 변방 아닌 변방 - 에스토니아 6 호타루 18/08/15 8214 16
683 문화/예술트로피의 종말 6 구밀복검 18/08/16 7430 1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8863 9
681 일상/생각나는 술이 싫다 6 nickyo 18/08/18 6217 28
680 문화/예술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스포츠 광고 Top 8 14 Danial Plainview 18/08/10 6952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