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4/02 00:20:31 |
Name | [익명] |
Subject | 태양광 사업 잘 아시는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
아버지가 무슨바람이 드셨는지 시골에 있는 땅에 소규모로 태양광 사업을 하신다고 하네요 천여평 정도의 규모라 큰수익은 나지 않겠지만 리스크도 적다며 걱정하지 말라시는데 솔직히 매번 사업하신다고 해놓고 끝이 안좋던터라 이번에도 걱정이 됩니다. 아시는분 소개로 알게된거라 본인이 아시는건 없는것같고. 너무 좋은쪽 이야기만 듣고오셔서 더 걱정이네요. 태양광 사업 진행할때 유의할점이나 단점들,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아신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0
|
400평 1억6천 월210만원이 공식이더라고요.
솔직히 가장 리스크없는 사업으로 저는 저 400평과 1억 6천이 없어서 못합니다. ㅠ
원전이 줄고 엘엔지가 늘고 원유와 석탄 값이 오르면 수익은 더 날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솔직히 가장 리스크없는 사업으로 저는 저 400평과 1억 6천이 없어서 못합니다. ㅠ
원전이 줄고 엘엔지가 늘고 원유와 석탄 값이 오르면 수익은 더 날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질문이 너무 막연한데요.
1. 평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평당 효율이 중요합니다.
2. 태양광 패널 설치시 고정식, 이동식 (햇빛에 따라 패널이 이동) 이냐에 따라 초기 투입 비용이 달라집니다.
3. 부채를 안고 태양광사업을 할 경우 이자비용+@가 나오는지 계산이 되어야 합니다.
4. 태양광 패널 설치업체와의 계약 조건이 중요합니다. (장기 임대냐, 단순 설치냐 등)
5. 올 해 하반기에 태양광 패널 세대가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지금 세대보다 효율면에서 큰 개선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 평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평당 효율이 중요합니다.
2. 태양광 패널 설치시 고정식, 이동식 (햇빛에 따라 패널이 이동) 이냐에 따라 초기 투입 비용이 달라집니다.
3. 부채를 안고 태양광사업을 할 경우 이자비용+@가 나오는지 계산이 되어야 합니다.
4. 태양광 패널 설치업체와의 계약 조건이 중요합니다. (장기 임대냐, 단순 설치냐 등)
5. 올 해 하반기에 태양광 패널 세대가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지금 세대보다 효율면에서 큰 개선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단 발전사업허가를 받는 게 우선입니다.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 더 보기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 더 보기
일단 발전사업허가를 받는 게 우선입니다.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째로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3m이상 도로와 연결되어 있어야합니다. 제방도로나 비포장도로 이런 거 도로로 안 봅니다.
세번째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상 해당용지가 도시계획에서 어떤 것으로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개발제한구역이나 절대농지(=농업진흥지역, 보존녹지, 산림보호구역)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네번째로 개발행위허가 조건으로 문화재조사 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를 해야합니다. 5000m2부터 하기때문에 관계가 없으십니다.
다섯번째 전 답은 농지전용을 임는 산지전용을 받아야합니다.
농지전용을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전용면적이고 농지전용부담금(=공시지가의 30%)을 내셔야합니다.
산지전용은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경사도이고 (일반적으로 20%가 넘어가면 개발이 안 됩니다.) 대체산림조성비와 산지복구설계를 해서 일정비율의 금액을 예치 해야합니다.
면적이 넓다면 개발행위심의를 패스해야하지만 역시 관계 없으십니다.
개발행위허가는 지자체에 등록된 측량업 업체 측량한 현황실측도를 반드시 첨부해야하기때문에 개인이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여기에 산지를 전용하는 경우는 산림토목으로 등록된 업체가 발급한 경사도분석 표고분석 산림조사서와 산지복구설계가 끼기떄문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이렇게 개발행위허가를 받으셔야 착공이 가능하고..
착공과정에서 문제가 없도록 주변 마을 이장의 동의서를 받는 편입니다.
물론 이것도 다 돈입니다 ^^;
입지조건에 따라 전주를 연장해야한다거나 도로를 만들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만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과
발전효율을 위해서 경사면이 남향 남서향이 되도록 비스듬하게 부지를 조성하고
점검로를 만들고 변전소 창고시설을 만드는 정도로
공사는 매우 단순하기떄문에 크게 문제가 안 되는 편입니다.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째로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3m이상 도로와 연결되어 있어야합니다. 제방도로나 비포장도로 이런 거 도로로 안 봅니다.
세번째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상 해당용지가 도시계획에서 어떤 것으로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개발제한구역이나 절대농지(=농업진흥지역, 보존녹지, 산림보호구역)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네번째로 개발행위허가 조건으로 문화재조사 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를 해야합니다. 5000m2부터 하기때문에 관계가 없으십니다.
다섯번째 전 답은 농지전용을 임는 산지전용을 받아야합니다.
농지전용을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전용면적이고 농지전용부담금(=공시지가의 30%)을 내셔야합니다.
산지전용은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경사도이고 (일반적으로 20%가 넘어가면 개발이 안 됩니다.) 대체산림조성비와 산지복구설계를 해서 일정비율의 금액을 예치 해야합니다.
면적이 넓다면 개발행위심의를 패스해야하지만 역시 관계 없으십니다.
개발행위허가는 지자체에 등록된 측량업 업체 측량한 현황실측도를 반드시 첨부해야하기때문에 개인이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여기에 산지를 전용하는 경우는 산림토목으로 등록된 업체가 발급한 경사도분석 표고분석 산림조사서와 산지복구설계가 끼기떄문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이렇게 개발행위허가를 받으셔야 착공이 가능하고..
착공과정에서 문제가 없도록 주변 마을 이장의 동의서를 받는 편입니다.
물론 이것도 다 돈입니다 ^^;
입지조건에 따라 전주를 연장해야한다거나 도로를 만들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만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과
발전효율을 위해서 경사면이 남향 남서향이 되도록 비스듬하게 부지를 조성하고
점검로를 만들고 변전소 창고시설을 만드는 정도로
공사는 매우 단순하기떄문에 크게 문제가 안 되는 편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