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1/05 09:29:10
Name   구글 고랭이
File #1   1.jpg (124.9 KB), Download : 41
File #2   4.jpg (138.3 KB), Download : 38
Subject   마이데이터 오늘부터 전면 시행..무엇이 달라지나




https://news.v.daum.net/v/20220105060032318


한 플랫폼서 은행·증권·카드·보험 정보 한눈에 확인
규제 형평성, 기술적 문제로 정보의 질 하락 우려도
당국 "미반영된 정보, 협의 거쳐 지속적 개방 추진"


'내 손안의 금융비서'로 불리는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오늘(5일)부터 전면 시행된다. 소비자들은 은행·증권·카드·보험 등 분산된 개인정보를 한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업권 간 규제 형평성, 기술적 문제 등으로 인해 정보의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33개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이날 오후 4시부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방식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업자들은 제도권 금융회사 등 417개사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은행 24곳, 보험 40곳, 금융투자 44곳, 여전 51곳, 저축은행 79곳, 상호금융 5곳, 전금업 34곳, 통신 58곳, P2P·대부등 82곳 등이다.

마이데이터는 개별 기관·기업에 흩어져 있는 금융정보를 한데 모아 보여주고,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예·적금 계좌잔액, 주식 보유수량, 보험 정보, 카드 청구금액, 통신료 납부내역 등을 확인하려면 해당 기관의 앱(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켜 확인해야 했지만, 이제는 하나의 앱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본격적인 마이데이터 시대가 되면 소비자들은 하나의 앱을 통해 자신의 금융 업무 등을 처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만큼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의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마이데이터 시대 개막..금융소비자 체감 변화는
https://news.v.daum.net/v/20220105061201579


5일 오후 4시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지난해까지 마이데이터는 일종의 ‘시범운행’ 성격이 강했습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제기된 문제사항들과 우려를 받아 피드백을 진행 후 서비스 최종 확정일이 5일인 셈이죠. 이제야 비로소 ‘내 손안의 금융비서’를 만나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일단 ‘마이데이터’는 정보 주체인 ‘개인’이 본인 데이터에 대한 개방을 요청하면 해당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를 개인(요청자) 또는 개인이 지정한 제3자에게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다.

사실 이미 비슷한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들을 우리들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이데이터가 본격화되면 정말 개인에게 맞는 상품들을 더욱 ‘정교하게’ 찾아서 전달해 줄 수 있게 된다는 것이죠.

아울러 정보를 주고 받는 가운데 보안성이 상승합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금융사의 ‘스크래핑’이 금지됐기 때문이죠. 스크래핑은 개인정보를 광범위하게 긁어가는 것을 비유한 용어입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만 선택해 전송요구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죠. 이에 따라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낼 경우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물을 수 있게 됩니다.

이외에도 마이데이터 서비스 프로그램의 신용정보법령상 행위규칙 준수 여부, 표준API 규격 적합성 등을 서비스 출시 및 주요 기능 변경 전 금융보안원에서 사전심사하게 됩니다.






은행·증권·카드·보험 등 분산된 개인정보를 한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오늘부터 전면 시행됩니다.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보안성 강화가 기대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403 스포츠조코비치 “호주오픈 나간다” 6 맥주만땅 22/01/05 2433 0
27402 정치김종인 "윤핵관 3인방은 여전하다" 6 22/01/05 2569 0
27401 정치'만렙' 자처 안철수, 尹에 "잘되길 바라…정권교체는 내가" 17 22/01/05 3400 0
27400 정치KBS 새해 첫 여론조사, 이재명 39.1% vs. 윤석열 26.0% 18 구글 고랭이 22/01/05 2620 0
27399 경제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 주담대 1100억"만기연장 불가" 9 cummings 22/01/05 2745 0
27398 정치청년간담회 온다던 尹 스피커폰 인사…현장서 욕설나와 59 syzygii 22/01/05 3309 0
27397 정치국회 윤리심사자문위, 윤미향·이상직·박덕흠 제명 건의키로 6 empier 22/01/05 2513 0
27396 경제"승진? 가성비 떨어져… 그 노력을 차라리 재테크에 쏟겠다" [2022 신년기획] 16 하우두유두 22/01/05 3006 2
27395 사회마스크 한 장에 5만원 받는 약사…"대기업에 당한 대로 하는 것" 9 주식하는 제로스 22/01/05 2537 0
27394 경제조선업 8년 만에 최대실적 달성..친환경·고부가 선박 수주량 세계 1위 5 구글 고랭이 22/01/05 2473 0
27393 IT/컴퓨터‘무슨 원한 있나?’ 궁금증 자아낸 ‘PC사랑’의 ‘로지텍’ 보도 14 빅브라더_ 22/01/05 2855 1
27392 경제남편 사망 후 낙태한 아내, 7억 보험금 한 푼도 못 받는다 16 swear 22/01/05 2864 0
27391 정치떠나는 김종인, 10분간 작심비판 쏟아내다 "윤씨"→"윤 후보" 11 구글 고랭이 22/01/05 2372 1
27390 정치이재명, 임플란트 지원 정책 검토 26 22/01/05 2527 1
27389 정치靑 "부동산 고통 죄송하나 다른 정부에 공급 뒤지지 않아" 22 Profit 22/01/05 2922 2
27388 정치윤석열 "새시대준비위, 해체 안하고 계속해서 정권교체 위해 같은 길 걸을 것" 49 22/01/05 3243 0
27387 정치2030 표심은?..."이재명 33.4% 윤석열 18.4% 안철수 19.1%" 3 Regenbogen 22/01/05 2117 0
27386 기타기네스 맥주 당분간 못 마신다…출하 ‘일시 중단’ 12 캡틴아메리카 22/01/05 2266 0
27385 정치尹 '대장동 토론' 준비 착수···'李 아픈' 질문 50개 모은다 18 22/01/05 2300 0
27384 정치민주 "김건희, 수원여대 공채 임용..'공채 아냐' 尹주장 거짓" 7 구글 고랭이 22/01/05 2378 0
27383 사회정창욱 셰프 음주운전 적발돼 벌금 1천500만원 3 swear 22/01/05 2108 0
27382 경제버거킹 와퍼 단품 6400원 됐다...7일부터 가격 인상 4 swear 22/01/05 2421 0
27381 정치이준석 "사퇴는 없다" 외. 14 22/01/05 2414 0
27380 경제마이데이터 오늘부터 전면 시행..무엇이 달라지나 2 구글 고랭이 22/01/05 2297 0
27379 의료/건강나온지 24년만에야 대충 원래 목적에 맞게 사용된 약품이 있군요 8 T.Robin 22/01/05 243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