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09/08 09:10:16 |
Name | Profit |
Subject | “국군 살해 장면 없다, 기준 따라 처리” 영등위의 중공군 영화 입장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38875?sid=001 영상물등급위원회가 6·25 전쟁 당시 중공군 영웅담을 그린 영화의 국내 유통을 허용한 것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영등위는 지난달 30일,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이 “한국군 5만여명을 섬멸했다”고 기록한 금성전투를 배경으로 중국에서 제작된 영화 ‘1953 금성대전투’(원제 ‘금강천’)를 ‘15세 이상 관람가’로 판정, 국내 유통을 허용했다. 이에 대해 영등위 등급분류부 측은 7일 ‘해당 영화의 국내 유통을 허용한 이유’를 묻는 조선닷컴 질의에 “저희는 ‘허가’ ‘불허’를 따지는 게 아니라 등급분류 밖에 할 수 없고, 기준에 따라 처리한 것”이라고 답했다. *** 개인적으로는 논란을 위한 논란, 쓸데없는 유통의 자유 제한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전물이든 뭐든 왜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중공군 미화 영화가 나오면 안 되는지 모르겠고... 듣보 영화 100개에 끼워 왔던데 이건 흥행몰이를 위한 유통사의 어그로가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국전을 다룬 영화들 중 중공군 시각 영화는 하나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궁금하기도 하구요. IPTV에 뜨면 살짝 맛보기는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예컨대 일본제국주의 위안소를 미화한 영화도 유통이 가능하냐’는 물음에, 영등위 측은 “그런 경우는 다를 수 있다”며 “’제한관람가’ 등급을 주면 된다”고 했다. 실제로 영등위는 비디오물에 ‘제한관람가’ 등급을 내림으로써 유통을 차단할 수 있다. 제한관람가 등급을 받은 비디오물은 지정된 제한관람가 비디오물 소극장에서의 시청제공만 가능하며, 판매나 유통은 일체 금지되기 때문이다. 제한관람가로 지정되는 조건은 ‘민주적 기본질서를 부정하여 국가 정체성을 현저히 훼손하거나 범죄 등 반인간적·반사회적 행위를 미화·조장하여 사회질서를 심각하게 문란하게 하는 경우’이다. *** 저는 일본 측에서 위안부를 다룬 영화도 유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는데 기자의 질문 자체가 '미화'한 영화도 가능하냐고 되어 있어 고의적인 함정이 아닌가 싶네요. 어쨌건 이 영화는 좋은 영화, 나쁜 영화 등을 나누는 접근은 좋지 않다고 봅니다.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Profit님의 최근 게시물
|
중국자본이 뒤에서 영화가 망하든 말든 개봉시키자... 라고 해봐야 봐주지 않으면 소용 없겠죠.
조선구마사도 결국 국민들이 안볼상황이니 망한거고..
조선구마사도 결국 국민들이 안볼상황이니 망한거고..
기본적으로 문화콘텐츠 검열에 찬성하는 편은 아니지만, 중공군 미화 영화가 일제 미화영화랑 다른 취급을 받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 합니다.
이 문제는 단순하게 친중행보라던가 그런 것으로 해석할만한 범위를 넘는군요. 국가의 개입 범위, 자유, 각종 이데올로기...
히틀러의 전쟁범죄와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내지 침략을 동등한 선에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나 저러나
중공군의 역사를 '미화'하였다면 국내 유통을 허가해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개인이 사적루트로 구해서 보든 유튭으로 보든그것까지 관여할 수는 없겠지만....다만 '미화'가 아니라 반성 혹은 건조한 다큐멘터리라면 이야기가 다르겠습니다만.
과거 금지도서로 지정된, 북한측이 발행한 도서 혹은 관련 찬양도... 더 보기
히틀러의 전쟁범죄와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내지 침략을 동등한 선에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나 저러나
중공군의 역사를 '미화'하였다면 국내 유통을 허가해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개인이 사적루트로 구해서 보든 유튭으로 보든그것까지 관여할 수는 없겠지만....다만 '미화'가 아니라 반성 혹은 건조한 다큐멘터리라면 이야기가 다르겠습니다만.
과거 금지도서로 지정된, 북한측이 발행한 도서 혹은 관련 찬양도... 더 보기
이 문제는 단순하게 친중행보라던가 그런 것으로 해석할만한 범위를 넘는군요. 국가의 개입 범위, 자유, 각종 이데올로기...
히틀러의 전쟁범죄와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내지 침략을 동등한 선에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나 저러나
중공군의 역사를 '미화'하였다면 국내 유통을 허가해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개인이 사적루트로 구해서 보든 유튭으로 보든그것까지 관여할 수는 없겠지만....다만 '미화'가 아니라 반성 혹은 건조한 다큐멘터리라면 이야기가 다르겠습니다만.
과거 금지도서로 지정된, 북한측이 발행한 도서 혹은 관련 찬양도서들이 지금은 풀리고 있는 것을 보면 남측의 이데올로기적 승리로 인해 더이상 그것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만한 것이 아닌 것이겠지요. 이제 그 범위가 한국전쟁에서 '중국 의 참전'까지로도 확대되는 지점에 놓인 것 같은데 많은 논의를 거칠 것 같습니다. 영등위가 기사처럼 '제한관람'을 걸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데, 영화를 보지 않은 입장에서 추측만으로 논의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네요.
뭐 이러나저러나, 듣보잡 영화 수준에서 마케팅엔 성공한 것 같네요.
히틀러의 전쟁범죄와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내지 침략을 동등한 선에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나 저러나
중공군의 역사를 '미화'하였다면 국내 유통을 허가해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개인이 사적루트로 구해서 보든 유튭으로 보든그것까지 관여할 수는 없겠지만....다만 '미화'가 아니라 반성 혹은 건조한 다큐멘터리라면 이야기가 다르겠습니다만.
과거 금지도서로 지정된, 북한측이 발행한 도서 혹은 관련 찬양도서들이 지금은 풀리고 있는 것을 보면 남측의 이데올로기적 승리로 인해 더이상 그것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만한 것이 아닌 것이겠지요. 이제 그 범위가 한국전쟁에서 '중국 의 참전'까지로도 확대되는 지점에 놓인 것 같은데 많은 논의를 거칠 것 같습니다. 영등위가 기사처럼 '제한관람'을 걸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데, 영화를 보지 않은 입장에서 추측만으로 논의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네요.
뭐 이러나저러나, 듣보잡 영화 수준에서 마케팅엔 성공한 것 같네요.
위안부는 전쟁범죄고 범죄를 미화하면 곤란하다는 함의가 있는데 전쟁은 전쟁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장진호, 고지전 찍을 자유가 있는 것처럼 저쪽도 있다고 생각하구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는 전쟁이라는 것이 남침으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피해국과 침략국으로 나뉜다 생각하는데, 침략국의 전투미화영상을 배급하고 유통할 이유는 없다 생각합니다. 특히, 역사적 맥락에서 어느정도 벗어날 수 있는 상태라면 모를까 아직까지 현존하는 대한민국의 가까운 과거라 생각해서요. 각자 다르게 생각할 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로남불의 문제지 이런 영화도 허용되는 것이 로맨스인 것은 사실이지요.
여러 입법과 입법시도를 보면 그들은 불륜도 아닌 패륜에 가깝지만.
여러 입법과 입법시도를 보면 그들은 불륜도 아닌 패륜에 가깝지만.
그렇죠.. 민주당과 영등위가 동일한 주체는 아닐테니까요.
다만 두가지 일에 대해 상반된 다른 평가를 하는, 일관성이 결여된 사람들은 있을 겁니다.
다만 두가지 일에 대해 상반된 다른 평가를 하는, 일관성이 결여된 사람들은 있을 겁니다.
그만해라라는 건 이미 기존 법리상 포함이 되고, 이건 형법의 영역에서 국가가 나서서 특정 역사행위에 대한 판단을 독점한다는 면에서 국보법 표현의 자유나 동일하다고 봅니다.
대충 보니 묶어서 계약한거라 이 영화를 별건으로 계약하거나 한 일은 아니라고 하고,
현 심의기준에 저촉되는 것도 아니라고 하니
들어오는거 자체를 막을 명분과 이유는 없지 싶읍니다.
소비자 집단에서 불매를 하는건 별개로 가능하지 싶고, 그럴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현 심의기준에 저촉되는 것도 아니라고 하니
들어오는거 자체를 막을 명분과 이유는 없지 싶읍니다.
소비자 집단에서 불매를 하는건 별개로 가능하지 싶고, 그럴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이런 문화컨텐츠가 저는 오히려 권장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입장차이와 관점차이를 이해하는데 제일 민낯의 컨텐츠부터 교류하는게 잡음은 있어도 효과는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이해하거나 공감할수는 없어도 알기는 해야하고 이런걸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게 자유국가의 강점인거 아닌가.. 평가나 판단이나 대응은 늘 그 다음에 와야하는게 아닌가 싶고요
'이 영화가 나쁜 영화이고, 사회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가 이 결정에 반대하는 쪽의 주장인 것 같습니다.. 이 결정을 방어하는 이들의 주된 입장은 아마 금지 방법이 꼭 국가의 통제여야 하냐는 것이겠죠. 만약 국민 정서에 반하는 영화라면, 시장에서 당연히 실패할 것입니다. 영향력을 갖지 못하고 막을 내리겠죠. 이게 자유사회에서 불건전한 사상을 다루는 방식입니다. 국민 개인이 이 영화를 보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불만을 갖는 것 자체가, 우리 사회가 그 정도의 역량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가 권위로 불건전한 사상을 지정하고 통제해주는 것을 지지한다면, 그것이 오히려 중국의 이데올로기에 찬동하는 것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정말 국가의 통제를 지지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국가가 사상을 통제하고 검열하는 일이 버젓이 벌어지고 있는 나라에서 중국 것에 대해서는 그 통제와 검열이 유독 무른 것을, 최소한 그렇게 느껴지는 상황을 성토하는 의견이 더 다수 아닐까 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