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9/12/18 14:32:43 |
Name | Fate |
File #1 | E7AB1003_5BB9_447B_93FF_2D967E1F012B.png (99.9 KB), Download : 5 |
Subject | 10년간 1조 투자로 AI반도체 세계 1위 가능할까요? |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494117 AI 국가전략 발표로 100개 과제를 제시했는데 그 내용이 부실하다는 비판이 많은 모양입니다. 100개 과제라고 만든 순간 난잡해지는 건 피할 수 없는 것이기도 했지요.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10년간 1조는 뭐하자는 건지 모르겠네요. 언제나 저는 정책의지는 예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R&D예산에서 AI에 진지한 투자를 할 의지는 없는 것 같군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Fate님의 최근 게시물
|
1조 투자해서 목표대로 된다면 싸게 먹히는 거죠. 중요한 것은 얼마를 들이느냐가 아니라 올바른 방향으로 투자를 하느냐죠. 많은 분들이 지적해주셨지만 국내 연구개발 지원 정책은 문제가 많습니다.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정책으로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이 필요한 혁신이 나타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음 기사 자체만 보면 일반 회사용 r&d 예산에 비해서도 적다는 것이고, ai용 반도체가 있냐고 하면 물론 있습니다. 단순 디램만 해도 서버용, hbm등으로 따로 있고 팹리스 쪽은 설계부터 다 뜯어고치구요.
한국에서 나라가 돈 주는 연구과제는 실패하면 안돼요
애초에 대다수 국민은 연구를 하면 반드시 성과가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돈을 부었는데 성과가 안 나올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예산을 받아서 불성실하게 하는 어뷰저들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는 하지만
그 어뷰저 잡으려다가 연구과제 돌아가는 꼴이 이렇게 된거거든요. 저도 옛날엔 어뷰저들이 문제란 생각을 많이 했는데, 요즘엔 생각이 좀 달라졌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어뷰저들은 결국 제대로된 결과를 위해 퍼부어지는 돈에 일부일 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쪽으... 더 보기
애초에 대다수 국민은 연구를 하면 반드시 성과가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돈을 부었는데 성과가 안 나올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예산을 받아서 불성실하게 하는 어뷰저들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는 하지만
그 어뷰저 잡으려다가 연구과제 돌아가는 꼴이 이렇게 된거거든요. 저도 옛날엔 어뷰저들이 문제란 생각을 많이 했는데, 요즘엔 생각이 좀 달라졌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어뷰저들은 결국 제대로된 결과를 위해 퍼부어지는 돈에 일부일 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쪽으... 더 보기
한국에서 나라가 돈 주는 연구과제는 실패하면 안돼요
애초에 대다수 국민은 연구를 하면 반드시 성과가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돈을 부었는데 성과가 안 나올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예산을 받아서 불성실하게 하는 어뷰저들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는 하지만
그 어뷰저 잡으려다가 연구과제 돌아가는 꼴이 이렇게 된거거든요. 저도 옛날엔 어뷰저들이 문제란 생각을 많이 했는데, 요즘엔 생각이 좀 달라졌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어뷰저들은 결국 제대로된 결과를 위해 퍼부어지는 돈에 일부일 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쪽으로요.
적당한 수준과 진짜 때려 잡아야되는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는 제 식견이 짧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지금 돌아가는 연구과제들은 어뷰저 잡으려고 열심히 하려는 사람도 숨막히게 한다는건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국 미국이 연구를 잘 할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냥 돈이 많으니까... 연구는 심플하게 말하면 그냥 돈 퍼붓는 거고 가시거리에서의 손익계산을 디테일하게 하기 힘든 행위니까...
써놓고 보니 그냥 의식의 흐름이네요...... 그냥 퇴근전에 심심해서 주절거려봤습니다
애초에 대다수 국민은 연구를 하면 반드시 성과가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돈을 부었는데 성과가 안 나올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예산을 받아서 불성실하게 하는 어뷰저들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는 하지만
그 어뷰저 잡으려다가 연구과제 돌아가는 꼴이 이렇게 된거거든요. 저도 옛날엔 어뷰저들이 문제란 생각을 많이 했는데, 요즘엔 생각이 좀 달라졌습니다.
적당한 수준의 어뷰저들은 결국 제대로된 결과를 위해 퍼부어지는 돈에 일부일 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쪽으로요.
적당한 수준과 진짜 때려 잡아야되는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는 제 식견이 짧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지금 돌아가는 연구과제들은 어뷰저 잡으려고 열심히 하려는 사람도 숨막히게 한다는건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국 미국이 연구를 잘 할수밖에 없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냥 돈이 많으니까... 연구는 심플하게 말하면 그냥 돈 퍼붓는 거고 가시거리에서의 손익계산을 디테일하게 하기 힘든 행위니까...
써놓고 보니 그냥 의식의 흐름이네요...... 그냥 퇴근전에 심심해서 주절거려봤습니다
닥터앤써과제가 8개질환 3년에 300억인데.. 외국 기준으론 말도 안되는 소리.. 돌겠습니다.
이걸로 무슨 기지도 못하는 애들을 우샤인볼트 만든다는 소리하니..
이걸로 무슨 기지도 못하는 애들을 우샤인볼트 만든다는 소리하니..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