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03 18:47:13
Name   뜻밖의
Link #1   https://femiwiki.com/w/%EB%A9%94%EA%B0%88%EB%A6%AC%EC%95%84
Link #2   https://librewiki.net/wiki/%EB%A9%94%EA%B0%88%EB%A6%AC%EC%95%84
Subject   메갈리아와 페미니즘
현재 한국에서 대다수의 남성과 여성 사이에 남녀차별에 대해 느끼는 정도는 매우 다릅니다.
또한 페미니즘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대중 사이의 관점 차이도 큽니다.

요 며칠간 올라왔던 안티 페미니즘적 사건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과 유수진씨 관련된 글을 보면서
페미니즘에 대해 얘기를 나눠보는 것도 괜찮겠다 싶어서 글을 씁니다.

_______________

현재 20대의 여성은 그 이전의 여성보다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와 공평함이 깔린 문화에 노출된 정도가 훨씬 큽니다.

그런데 한국은 아직 안티 페미니즘이 주류입니다.
메갈이란 단어가 유행하기 전까지 유행했던 단어들인 꼴페미, 페미나치는 일반적인 페미니즘 운동마저도 혐오하는 사회를 그대로 드러냅니다.
사회적으로 여성 비하나 혐오, 여성 대상 범죄가 만연함에도 여전히 이것을 문제시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러한 문제를 계속해서 지적하는 페미니스트들을 혐오하는 사회 분위기는 지속됩니다.

이러한 한국 사회에서 이미 머리는 커버린 20대 이하의 여성들의 불안과 불만은 상상 못할만큼 컸겠죠.
결국 안티 페미니즘적인 시류와 이 여성들의 불만으로 탄생한 것이 메갈리아라고 여겨집니다.

지금 인터넷에서 또는 사회에서 그들이 쉽게 웃고 넘기는 이야기들이 여성혐오인지, 여성비하인지 어떻게 보여줄까요?
이 비하와 혐오라는 것이 문화 속에서 이미 뿌리를 내렸을 때는 비하와 혐오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이야기의 등장 인물의 성별을 바꾸어 남성 혐오적인 이야기]임을 보여주면 어떨까?
그 이야기가 남성 혐오적이라면 인터넷에서 아무렇지 않게 떠도는 [원작 이야기가 실은 여성 혐오적]이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메갈리아의 활동 중 가장 인터넷에 흔히 회자되는 '미러링'이라는 기법입니다.

메갈리아는 이러한 미러링 외에도 페미니즘적인 역사에서 의미있는 활동들을 꾸준히 했었습니다. (https://femiwiki.com/w/%EB%A9%94%EA%B0%88%EB%A6%AC%EC%95%84)

2000년대 굉장히 유행했던 소라넷이나 지금까지도 있는 몰카 등에 대한 운동도 그랬으며
남성잡지 맥심의 표지에 항의하여 그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행동하는 페미니스트로 자리매김했었습니다.

물론 그들에게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들의 분노가 이러한 가시적인 성과로 드러날 정도로 행동하게 만들었다면, 그 분노는 쨈 뚜껑을 닫듯 쉽게 닫힐 수 있는 정도가 아닐 겁니다.
그러한 분노는 그들이 '혐오와 비하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면서 하는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고안한 방식인' 미러링이었던 것들 속에
스스로가 빠져들도록 만들었을 겁니다. (단, 여기서 짚고 넘어갈 것이, 인터넷에 회자되듯 그들이 실제로 원작 이야기처럼 특정 행동을 하고 그것을 이야기로 바꾼 것은 아닙니다. 즉 원작 이야기에서 실질적으로 자기 여동생을 성추행하는 것을 몰카로 인증샷을 올렸다면, 여기서는 이야기만 사실처럼 하는 것이지요.)

지금도 메갈리아 홈페이지를 가면 왼쪽에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나 혐오, 비하, 문제에 대한 기사 리스트가 있습니다.
제목만 봐도 이런 글만 읽고 있으면 제정신으로 살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이러한 운동에 대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스스로를 매몰시켜간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러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면 메갈리아는 엄연히 페미니즘 운동의 하나입니다.
어떠한 운동도 완벽할 수 없다는 것과 그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모두 같은 생각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메갈리아 운동은 그 자체가 문제점이라기보다는 그 운동을 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을 수정해나가면서 하는 것이 옳습니다.
실질적으로 메갈리아 사이트의 문제점을 수정하며 사람들은 다른 커뮤니티로 분화해 나갔습니다.
분화하면서 메갈리아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도 있죠.

그래서 김자연 성우 사건 때도 수많은 지식인, 문화인들이 김자연 성우를 옹호한 것입니다.
유수진씨가 메갈 선언을 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 봅니다.

메갈리아 사이트나 운동에 문제점이 없거나 그것을 덮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갈리아 운동이 페미니즘 운동에 기여한 것은 인정해줘야 한다는 것이죠.


결국은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운동을 어떻게 볼 것이냐와 관련이 깊습니다.
문화속에 뿌리깊게 자리한 편견 속에서 약자가 기득권자에게 그것을 어떻게 알리며,
그 과정에서 생기는 분노는 어디까지 표출을 허용할 것인가,
그것을 보는 사회는 [그들이 가리키는 달을 봐야 할 것인가 아니면 그들의 더러운 손가락을 잘라내야 할 것인가]의 기로에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더러운 손가락을 잘라내자, 그래야 달도 볼 수 있을 것 아닌가가 대중의 우세한 의견인 것 같습니다.



3
  • 추천추천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62 오프모임내일, 일요일 소소한 벙 (feat. 바 틸트) 63 라떼 19/06/29 5587 3
8435 오프모임마감되었습니다 44 라떼 18/10/29 5096 7
8198 오프모임[번개]14일 금요일 저녁, 진주회관에서 콩국수를! 54 라떼 18/09/10 5246 10
7800 오프모임[급급급벙]오늘 저녁 7시, 강남, 고기 78 라떼 18/07/06 5801 13
8472 오프모임마감합니다 39 라떼 18/11/06 4384 6
5527 일상/생각젠더 이슈를 어떤 관점에서 이야기 하는가 11 뜻밖의 17/04/26 5164 4
5393 정치대선 후보 선택하기 24 뜻밖의 17/04/08 5166 0
5272 일상/생각누구를 위해 정치에 참여해야 하는가? 3 뜻밖의 17/03/23 4091 0
5150 정치탄핵 이후 대한민국, 어디로 갈까? (JTBC특집토론) 3 뜻밖의 17/03/11 4200 0
4900 과학/기술발렌타인데이를 맞아 뫼비우스띠 비디오 2 뜻밖의 17/02/17 4574 1
4766 경제(팟캐스트) 주진형의 경제, 알아야 바꾼다 16 뜻밖의 17/02/04 7014 2
4759 사회메갈리아와 페미니즘 170 뜻밖의 17/02/03 10649 3
4416 일상/생각어느 옛날 이야기 2 뜻밖의 16/12/20 3799 0
4825 과학/기술물리학/수학 포스터 9 뜻밖의 17/02/10 12948 1
9393 게임세키로에선 환영의 쵸가 가장 인상깊었죠. 뜨거운홍차 19/07/04 5625 0
9382 게임블소 궁사 OST 들어봤는데 괜찮군요. 뜨거운홍차 19/07/02 4731 0
9373 게임이 겜, 음악 프로듀서가 닼소 담당했던지라 기대되네요. 2 뜨거운홍차 19/07/01 4070 0
9359 게임세키로에서 이 장면은 언제 봐도 멋진 것 같아요. 4 뜨거운홍차 19/06/28 5142 0
9347 게임파판14 새 트레일러가 나왔었네요. 2 뜨거운홍차 19/06/26 5164 1
9345 게임생각해보면 기적의 분식집 주인공은 참 대단한 것 같습니다. 7 뜨거운홍차 19/06/25 4981 4
9351 게임어제자 블소 이벤트 던전 플레이 후기 2 뜨거운홍차 19/06/27 5220 0
14212 일상/생각아시안 게임도 보기 싫을 정도로 애국심이 없어요 21 뛰런 23/10/21 2321 0
13759 음악[세월호 추모곡] 치타x장성환 Yellow Ocean 뛰런 23/04/16 1955 1
13724 정치과연 한동훈 장관은 달변가일까? 괘변론자일까? 19 뛰런 23/04/06 2882 0
13704 방송/연예개인적으로 제가 인상 깊게 들었던 드라마 대사들 5 뛰런 23/04/03 2130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