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11/25 08:55:46
Name   realwealth
Subject   금리가 뭔지 궁금하신 분 계실까요??
전자과 출신 친구와 동네 산책 중 문득 금리가 뭐냐?

전혀 몰라서 물은 것은 아니겠지만,
가물가물 하지만, 대략 예전에 경제학 시간에 배웠던 거 생각나는대로 알려줬습니다.
나름 재밌어 하더라고요.

아무튼
아.. 금리가 뭔지 궁금할 수도 있겠구나…
해서 한 번 적어봅니다.

금리(金利)

쇠 금은 돈을 말합니다.
이로울 리는 이자를 말합니다.

돈에 붙는 이자
이자율입니다.
돈을 빌리는 가격입니다.

가격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가격결정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는 빌릴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가 되고, 공급은 빌려줄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가 됩니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기에는 빌릴 사람이 많고, 빌려줄 사람이 적으니 이자율이 높습니다.
반대로 선진국은 성장률이 낮고, 이자율도 낮습니다. 보통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돈을 빌려주죠.
요즘 같은 세상에는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금리는 환율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물론 투자, 인플레이션, 성장률 등등 에도 여러 경로로 직간접 영향을 줍니다.

기본적으로
수요 공급에 의해 시장에서 결정된다고 보지만,
정부는 여러 수단을 통해 시장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앙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시장에 풀어서 (국채를 사들여서) 돈의 공급을 늘리기도 하고 거두어 들여서 (국채를 팔아서) 줄이기도 합니다.
돈의 공급이 늘어나면 금리는 떨어지고, 줄어들면 올라가죠.

이런 수단들이 몇 가지 더 있는데,
어쨌든 중앙은행이 현재의 이자율이 너무 낮다고 생각하면 이자율을 올리고, 높다고 생각하면 이자율을 내립니다.  
이 때 관리의 목표 수준이 기준금리가 됩니다.
기준금리를 정해서 그 수준까지 맞추는 방법으로 돈을 풀고 조이고 하는 거죠.

참고로 중앙은행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잡는 겁니다.
물가상승이 높다고 판단(경기과열이라 판단)하면 이자율을 올리고, 반대면 내리는 방식이죠.

Fed, FRB, FOMC 등이 많이 언급되는데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의 일부입니다.
그냥 미국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정하는구나 봐도 됩니다.
사실 상 달러화가 세계의 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은 한국은행이고, 영국 중앙은행은 잉글랜드 은행, EU 중앙은행은 유럽중앙은행입니다.
이렇게 이름을 했으면 훨씬 이해가 쉬웠을텐데요.

BP는 0.01%p의 이자율을 말합니다. 100bp면 이자율 1%p이죠.
basis point, 금리 조절의 가장 기본 단위 입니다.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153 게임롤드컵 한국 기준 경기 시간 7 Leeka 22/09/15 2396 0
    13488 일상/생각글이 너무 깁니다. 티타임게시판에 쓸까요? 7 몸맘 23/01/17 2397 3
    13207 IT/컴퓨터애플페이가 11월 30일 (예정) 에 한국에 상륙합니다. 16 Leeka 22/10/06 2399 0
    14373 역사정말 소동파가 만들었나? 동파육 이야기. 12 joel 24/01/01 2401 24
    13603 일상/생각원래는 등산을 하려고 했어요 ㅎㅎ 8 큐리스 23/02/26 2402 13
    14142 오프모임9월 12일 화요일 (오늘) 7시 잠실새내에서 돼지갈비 드시죵 16 소맥왕승키 23/09/12 2402 5
    13097 IT/컴퓨터예전에 일기첫마디를 쓰던걸 마저 쓰라고 돌렸는데 ㅎㅎㅎ 3 큐리스 22/08/19 2404 0
    13975 일상/생각저는 스케일이 큰 판타지 세계관을 선호합니다. 10 컴퓨터청년 23/06/09 2404 0
    13932 문화/예술[홍보] 6월 2~3일(금/토) 노원맥주축제 즐기러 오세요!!! 25 비어-도슨트 23/05/31 2405 11
    13098 스포츠[MLB] 쓰쓰고 요시토모 토론토와 마이너계약 김치찌개 22/08/19 2406 0
    13349 일상/생각금리가 뭔지 궁금하신 분 계실까요?? realwealth 22/11/25 2406 5
    14001 일상/생각저는 사이시옷 '법칙'이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14 별길 23/06/25 2407 10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407 6
    13381 스포츠[MLB] 애런 저지 양키스와 9년 360M 계약 4 김치찌개 22/12/08 2409 1
    13216 문화/예술오무아무아 2 EisKaffee 22/10/10 2410 15
    14075 게임화성남자 금성여자 in 스타교육 - 2 - 5 알료사 23/07/30 2410 12
    12794 일상/생각헬요일 화이팅입니다^^ 5 곧점심시간 22/05/09 2411 1
    13703 도서/문학4월의 책 독서모임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6 풀잎 23/04/02 2412 1
    13784 오프모임마감) 미세먼지 심한데 낼 저녁(25일 화요일) 신천에서 삼겹살? 25 tannenbaum 23/04/24 2414 2
    13646 일상/생각저는 스케일이 큰 판타지 세계관을 선호합니다. 18 강세린 23/03/18 2416 0
    14165 일상/생각살아남기 위해 살아남는 자들과 솎아내기의 딜레마 12 골든햄스 23/10/01 2416 19
    15024 정치2024 미국 대선 불판 57 코리몬테아스 24/11/05 2417 6
    13730 일상/생각갑자기 필사가 땡겨서 시작했습니다. 1 큐리스 23/04/08 2420 5
    13221 도서/문학"모든 이들을 위한 모든 이들의 삶" - 일의 기쁨과 슬픔 by 알랭 드 보통 1 SCV 22/10/12 2424 7
    13722 일상/생각양곡관리법 거부권 행사를 보고 드는생각 10 바이엘 23/04/05 2425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