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5/07 14:38:34
Name   르혼
Subject   용어의 재발견: 기갑, 장갑, 개갑
발단은 기계 번역을 그대로 갖다 쓴 외국 게임.
여기서 armor를 '기갑'이라고 번역한 데 있었죠.

사실 기갑은 기계화된 장갑 전투 장비, 즉 장갑차나 탱크, 또는 (미래의 물건이지만) 강화복 같은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그냥 armor가 아니라 mechanized armor, 또는 mobilized armor라는 뜻이죠.
이것을 그냥 방어용 부품 armor의 번역어로 채택했으므로 많이 거슬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번역을 해주겠다고 자원하고, 직접 번역을 하면서 어떤 말이 가장 어울릴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Armor를 번역하는 가장 흔한 말은 장갑 (裝甲)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손에 끼는 장갑과 헷갈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로 예전에 개발했던 로봇 게임에서, 기획서에 그냥 '장갑'이라고만 써 놨더니 아티스트가 벙어리 장갑을 그려온 적이 있을 정도죠. ('그리면서 이상하다고 생각 안 했어요?' '이상하긴 했는데 로봇도 손은 있으니까...')

거기다 장갑은 일본에서 armor를 번역하며 엉터리로 만든 말이라 개인적으로 마음에 안 드는 말입니다.
뜻 풀이를 해 보면 ‘갑옷을 걸치다’라는 동사여서, 명사인 armor에 대한 올바른 번역이라고 할 수 없거든요. 일본인들은 한자의 하나하나의 뜻은 잘 알지만 사용법(중국어 문법)은 잘 몰라서, 2글자 이상을 붙여 놓으면 말이 안 되는 단어를 만들어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서양 문물을 들여오던 개화기 때 이렇게 만들어낸 한자어가 많고, '장갑'도 그 가운데 하나죠.

그래서, 한자 종주국인 중국에서는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어 구글 번역기로 Armor를 중국어로 번역해 봤습니다. 회갑(盔甲), 갑(甲), 개(鎧), 철갑(鐵甲) 같은 여러 단어들이 나오지만 역시나 일본식 한자어 裝甲은 없네요.

한편 우리나라 고대 역사서에는 주로 개(鎧)라는 말을 쓰고 갑(甲)도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한 음절 단어는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쓰기 좀 그렇죠. 특히 '개'는... 패판(棑板)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것은 아이템 종류 말고 방어력이라는 스탯으로도 쓰이는 게임 속 용도와 맞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둘을 붙인 개갑(鎧甲)이라는 말을 쓰기로 했습니다. 거의 안 쓰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단어고, '장갑'처럼 다른 단어와 헷갈릴 일도 적으니까요. 농사 용어로 개갑 (開匣)이 있긴 한데 어차피 그쪽 분야에서만 쓰이는 전문 용어인데다, 군사 용어 개갑보다도 사용량이 적을 정도.

그렇게 번역해서 게임사에 넘긴 지 2년이 지난 결과, 지금은 완전히 정착해서 이 게임을 하는 모든 한국인들이 '개갑'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고 나니까 이 번역어가 좀 더 널리 퍼져나가서, 일본식 한자어 '장갑'을 완전히 대체했으면 좋겠다는 소박한 욕망이 생기네요.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01 영화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2007)_내가 용서를 안했는데 어떻게 먼저 용서 할 수가있어? 12 리니시아 16/01/11 4638 1
    1621 영화내부자들(2015) - 연기만 남았다 9 리니시아 15/11/24 8306 2
    2971 영화워크래프트 (2016) - IMAX 3D 시사회 후기 11 리니시아 16/06/08 4907 1
    887 영화굿바이 레닌 (2003) 8 리니시아 15/09/02 3431 0
    14861 일상/생각웹툰 <마리오네타> 5 르혼 24/08/22 1529 1
    12787 일상/생각용어의 재발견: 기갑, 장갑, 개갑 9 르혼 22/05/07 3072 5
    11087 일상/생각사랑과 성애의 관계 7 류아 20/10/24 5645 10
    11045 요리/음식을지로 차이 9 류아 20/10/13 5096 1
    11040 도서/문학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8 류아 20/10/11 4354 8
    11022 오프모임[마감] 10월 23일 금요일 19시 신도림 참족발 90 류아 20/10/04 5068 9
    10406 오프모임[급구] 아무말 오프모임 2명 선착순! 마감 33 류아 20/03/20 5240 4
    10361 정치이데올로기라는 종교 10 류아 20/03/08 4654 5
    10350 오프모임아무말 오프모임 45 류아 20/03/05 5924 6
    10349 오프모임3/5 당산역 6:30? 20 류아 20/03/05 5046 3
    1867 영화버드맨과 보르헤스 11 뤼야 15/12/25 6876 2
    1763 철학/종교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30 뤼야 15/12/13 8558 6
    1701 도서/문학인문학, 그리고 라캉 다시 읽기 85 뤼야 15/12/04 10282 8
    1638 도서/문학라캉과 들뢰즈를 읽어야 할까? 66 뤼야 15/11/26 10517 2
    1594 일상/생각아래 글에 이은 [더 랍스터]잡담 6 뤼야 15/11/19 5810 0
    1585 철학/종교사사키 아타루 [야전과 영원]이 출간되었습니다. 21 뤼야 15/11/18 9376 1
    1547 일상/생각오디오북과 셀프티칭 28 뤼야 15/11/13 9120 3
    1503 도서/문학D.H 로렌스로 읽어보는 실존의 여성과 나 29 뤼야 15/11/09 11965 1
    1450 일상/생각조성진 갈라콘서트 티켓예매... 실패... 멤버가 아니면 꿈도 꾸지마라 19 뤼야 15/11/04 11913 1
    1406 도서/문학모옌 [열세걸음]으로 생각해보는 세계문학 35 뤼야 15/11/01 10883 3
    1335 도서/문학내포저자 - 간절히, 아주 간절히 이야기하기 18 뤼야 15/10/25 1199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