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3/29 21:54:33
Name   코리몬테아스
Subject   연방 대법관 청문회 - 관타나모와 전범
바이든 대통령이 푸틴을 전범이라고 부른 걸 두고 유럽 정상들의 반응이 엇깔리고 있어요. 유럽 입장에서는 전장이 유럽이니 바이든이 좀 닥쳐주길 바란다는 걸 외교적으로 말하는 중. 그 와중에 이번 신임 연방 대법관 커탄지 브라운 잭슨의 청문회에서 나온 '전범'논란이 인상적이어서 청문회 질의응답 중 일부를 번역해봅니다.

대답하는 커탄지는 민주당 픽으로 진보성향 판사고, 공격하는 톰 코튼으로 강성 보수. 제가 다이얼로그를 번역한 부분은 코튼 의원의 마지막 질문들이고, 영상의 초중반부는 청문회에서 공화당이 이슈화하고 있는 '아동 포르노 소지자'에 대한 후보자의 온건한 형량에 대한 거에요.

https://youtu.be/S-HHHOBTYMw?t=1069

톰 코튼 "지금까지 후보께서 변호한 사람들에 대해 많은 얘기를 했으니. 이제 후보가 피고들을 어떻게 다루었는 지에 대해 얘기해보죠. 그 피고들은 (부시)대통령,국방장관,복무 중인 장교였습니다. 그라함과 코닌 의원(둘 다 공화당)은 후보가 피고들을 '전범'이라 불렀다고 했습니다. 후보는 반박하셨고, 더빈 의원(민주당)도 부정했죠. 인정합니다. 후보는 정확하게 그 단어를 말하지는 않았습니다. 전범이란 말은 쓰지 않았죠.  하지만 후보께선 여러 법정 서류에서 피고들의 행동이 '전쟁범죄' 구성요건을 충족한다 했습니다. 죄송하지만 '이 사람은 전범이다.' 라고 하는 것과 '그 사람이 전쟁범죄를 구성하는 행동을 했다'고 말하는 것의 차이를 모르겠군요. 설명해주실 수 있으십니까?"

후보자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 차이를 설명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의 법에 따라 인신보호청원을 제출할 때, '미국'을 피고로 하여 제출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 법이 작동하는 방식과 주권면제(sovereign immunity) 때문이지요. 그래서 개개인 공직자의 공적 지위(Official capacity)에 대해 청원을 제출 해야 합니다. 그게 (관타나모 수감자를 위한)인신보호청원을 제출하는 방법이지요. 그래서 누구든지 간에 청원을 제출하는 시기에 결정권자인 사람은 청원에 이름이 쓰여지는 당사자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인신보호청원은 민사사건에서는 소장(complaint)같은 거죠. 수감된 사람을 위한 법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혐의들을 제기하는.."

톰 코튼 "알겠습니다 판사님, 공적 지위던 사적 지위던 전부 절차적인 뚱딴지 소리(gobbledygook)입니다. 이 사람들은 당신이 전쟁범죄를 구성하는 행동을 했다고 말한 사람들입니다."

후보자 "외람된 말씀이지만.."

톰 코튼 "전 그냥 누군가를 전범이라 부르는 것과 전쟁범죄 구성하는 행동을 했다는 것의 차이를 모르겠다는 겁니다."

후보자 "존경을 담아 말씀드립니다 의원님. 피고들은 사인으로서 고소당한 게 아닙니다. 저흰 그 개인들에게 혐의를 제기한 게 아니지요. 사실, 그 사건이 진행되면서 피고의 이름은 바뀌었습니다. (소송의) 후반부에는 인신보호청원의 피고는 오바마 대통령이었죠. 왜냐면 오바마가 인신보호청원의 당사자 되는 결정권자가 되어.."

톰 코튼 "그 이름들이 바뀌었다는 걸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마 밥 게이츠에서 도날드 럼즈펠드, 다시 밥 게이츠가 되었겠죠. 하지만 공직에 있던건 그 사람들이 아니었습니다. 정부를 감독하던 것도 아니었죠.[역:뭔 소린지 잘 모르겠음] 소송을 제기하셨을 때 후보께서는 그들이 전쟁범죄를 구성하는 행동을 했다고 했습니다. 그저 이해가 가지 않을 뿐입니다. 후보께서는 어떻게 이 위원회가 '누군가를 전범으로 부르는 것'과 '전쟁범죄를 구성하는 행동을 했다.'고 말하는 게 다르다는 걸 믿어주길 기대하십니까?

후보자 "설명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원님. 관타나모에 있던 사람들에 대해 공식적으로 보고된 여러 혐의 중 하나에는 고문에 대한 혐의가 있었습니다. 법적 절차에 따라 그런 혐의를 제기할 때는 그 자체로 '전쟁범죄'를 구성하게 됩니다. 그게 법이 작동하는 방식이지요. 그래서 만약 여러분이 인신보호청원을 작성하는 중이고 '공개된 정보에 따라 알카타니 씨가 고문당했다고 믿어집니다.'라고 말한다면, 법에 따라 제기된 그 혐의는 '고문사용의 결과로 전쟁범죄가 있었다.'고 말하는 게 됩니다. 그리고 (실제로는)미국을 상대로 그런 혐의를 제기하는 것이지만 미국을 고소할 수는 없기 때문에, 청원서에는 국가 지도자들의 이름이 들어가는 것이죠. 그래서 그 이름들이 '부시 대통령'과 '도널드 럼즈펠드'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되는 것입니다. 개인에 대한 게 아닙니다. 구금 이후 뒤따른 알카타니 씨의 고문 혐의에 대한 것이죠."


대화를 보면 아시겠지만, 코튼 의원은 정치인 답게 토론 기법을 많이 씁니다. 말을 중간에 자르고, 후보자가 왜 대통령이나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그런 표현을 썼는 지에 대해 설명하니 그걸 절차적 헛소리라고 일축하는 게 대표적이죠. 코튼이 결국 전범이라 부른 것과 차이가 없지 않느냐는 자신의 요점으로 강조하는 와중에도 후보는 '법과 절차에 따라 구금자의 고문에 대한 혐의를 제기하려면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얘기를 길게 길게 설명함.

후보자가 답변하는 태도는 아주 성실했지만, 미디어에서는 이런 답변을 다 담을 수 없으니, 대충 'war criminal' 'constitute a war crime' 'gobbledygook' 정도로 압축편집 해버리면 톰 코튼의 의정활동 제물이 되진 않을 지 ㅋㅋ.. 후보 입장에서는 굉장히 원론적이고 또 방어적인 태도로 길게 길게 말하는 데. 당신을 응원하는 진보 미디어를 위한 편집점을 만들어주지 않은 게 쵸큼 아쉽네요. 방어적인 것도 지나치면 답답해 보이기도 하고요.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680 정치연방 대법관 청문회 - 관타나모와 전범 5 코리몬테아스 22/03/29 3188 9
    12667 정치정치의 영역이라는게 어디갔을까.. 13 매뉴물있뉴 22/03/23 3743 5
    12666 정치한은 총재 임명을 보고 생각하는.. 탄핵으로 시작된 이슈? 37 Leeka 22/03/23 4079 8
    12661 정치코로나19 위기 선방에서 정부의 공은 얼마나 되는가? 11 카르스 22/03/20 3610 4
    12644 정치2022년 시대/세대론 3 안목구름 22/03/18 3494 0
    12621 정치2022 대선의 2030세대 윤석열 득표율에 대한 선거전략적 단상 8 개랑이 22/03/13 3765 0
    12620 정치민주당 비대위와 지방 선거 4 Ye 22/03/13 3314 1
    12614 정치푸틴은 어쩌다 '푸틀러'가 되었나 12 귀여운무민 22/03/12 4695 1
    12612 댓글잠금 정치이번 선거에서 부동산 지분은 어느정도나 될까? 58 Leeka 22/03/11 5984 0
    12609 정치주관적으로 보는 인터넷 커뮤의 사회적 영향력 13 카르스 22/03/10 4477 7
    12605 정치'내일이 바뀐' 뒤에 있었으면 하는 것들 11 meson 22/03/10 3691 0
    12602 댓글잠금 정치20대 대선 간단한 소감과 예상 16 레게노 22/03/10 4654 2
    12601 정치시원하네요 허허... 55 매뉴물있뉴 22/03/10 5375 9
    12600 정치누가 이기든 반성하는 쪽을 주의깊게 바라보려 합니다. 27 파로돈탁스 22/03/09 4361 9
    12599 정치대선 불판 없나요? 예상및 잡담입니다. 110 MyNona 22/03/09 5216 1
    12594 정치박근혜의 남색 코트와 홍준표의 건강검진, 지방선거 등 32 Picard 22/03/08 4564 3
    12588 정치좋은 유튜브 소개시키러 왔습니다. 1 empier 22/03/07 3019 2
    12585 정치이재명 캠프조직 김만배 녹취록 여론조작 지시 내부고발 41 집에 가는 제로스 22/03/07 4581 4
    12581 정치징병제의 침략전쟁 방지기능? 10 私律 22/03/05 4100 1
    12580 정치안철수 라이브 사과(?) 방송을 보고 16 Picard 22/03/05 3946 2
    12574 정치윤통 당선후 이준석 입각 또는 청와대 갈 것 같습니다. 23 Picard 22/03/04 4178 0
    12573 정치내가 윤석열에게 투표하는 이유 36 Profit 22/03/03 5447 39
    12572 댓글잠금 정치대선에 대한 잡다한 생각들 21 괄하이드 22/03/03 4296 2
    12571 정치단일화 안할줄 알았는데... 실망입니다. 29 Picard 22/03/03 4673 1
    12568 정치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이 꺼려지는 이유. 44 파로돈탁스 22/03/03 5011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