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이야기를 자유롭게
- 코인이야기도 해도 됨
라이센스비 절약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지(피파가 1조를 불렀다는 이야기가) 오히려 하락장에서도 선방했네요.
참고로 EA는 선수, 리그, 팀에 대한 라이센스를 따로 맺고 있기 때문에 게임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점과 월드컵 라이센스 정도를 제외하면 큰 타격은 없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EA는 선수, 리그, 팀에 대한 라이센스를 따로 맺고 있기 때문에 게임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점과 월드컵 라이센스 정도를 제외하면 큰 타격은 없을 것 같습니다.
보통 섹터 ETF를 이야기하면 SPDR의 XL* 시리즈를 많이 언급합니다.
XLP는 가장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ETF입니다. 가장 거래량도 많고, AUM도 넉넉하고, 역사도 20년이 넘었을 정도로 검증된 ETF입니다. S&P500 내의 필수소비재 섹터 주식들을 시총 비율만큼 가중해서 담아놓았읍니다. 배당 재투자시 S&P500과 수익률이 엎치락뒤치... 더 보기
XLP는 가장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ETF입니다. 가장 거래량도 많고, AUM도 넉넉하고, 역사도 20년이 넘었을 정도로 검증된 ETF입니다. S&P500 내의 필수소비재 섹터 주식들을 시총 비율만큼 가중해서 담아놓았읍니다. 배당 재투자시 S&P500과 수익률이 엎치락뒤치... 더 보기
보통 섹터 ETF를 이야기하면 SPDR의 XL* 시리즈를 많이 언급합니다.
XLP는 가장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ETF입니다. 가장 거래량도 많고, AUM도 넉넉하고, 역사도 20년이 넘었을 정도로 검증된 ETF입니다. S&P500 내의 필수소비재 섹터 주식들을 시총 비율만큼 가중해서 담아놓았읍니다. 배당 재투자시 S&P500과 수익률이 엎치락뒤치락하는데, S&P500이 조오금 더 높을 겁니다. 다만 하방은 이쪽이 훨씬 안정적. 닷컴버블, 금융위기 당시 MDD가 20%대였나... 개인적으로 기름집에 손을 못 대겠다면 이쪽을 손대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도 조금.
아래는 컨셉은 같은데 시총 비율만큼 가중이 아니라, 동일 비율로 담은 ETF입니다. WMT, PG, KO, COST같은게 조금 거품이 껴있다고 판단된다면 이쪽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왜냐면 필수소비재 분야 회사들은 S&P500 안에 한번 들어오면 진짜 잘 안 바뀔 정도로 안정적이라... 시총 작은 회사도 불안하지 않다는 거죠. 실제로 수익률은 이쪽이 좀 나을 겁니다. 다만 AUM이 제 기준에서는 좀 낮고(17년차 ETF인데 600M따리...) 거래가 잘 안되는건 유의.. 수수료도 0.4%니 불만이 있을 수는 있읍니다. 다만 배당은 비슷하고 수익률이 괜찮은 편입니다.
대충 단단한 방패인데 장기투자하면 방패로 팰수 있는 차지딘...
XLP는 가장 대표적인 필수소비재 ETF입니다. 가장 거래량도 많고, AUM도 넉넉하고, 역사도 20년이 넘었을 정도로 검증된 ETF입니다. S&P500 내의 필수소비재 섹터 주식들을 시총 비율만큼 가중해서 담아놓았읍니다. 배당 재투자시 S&P500과 수익률이 엎치락뒤치락하는데, S&P500이 조오금 더 높을 겁니다. 다만 하방은 이쪽이 훨씬 안정적. 닷컴버블, 금융위기 당시 MDD가 20%대였나... 개인적으로 기름집에 손을 못 대겠다면 이쪽을 손대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도 조금.
아래는 컨셉은 같은데 시총 비율만큼 가중이 아니라, 동일 비율로 담은 ETF입니다. WMT, PG, KO, COST같은게 조금 거품이 껴있다고 판단된다면 이쪽도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왜냐면 필수소비재 분야 회사들은 S&P500 안에 한번 들어오면 진짜 잘 안 바뀔 정도로 안정적이라... 시총 작은 회사도 불안하지 않다는 거죠. 실제로 수익률은 이쪽이 좀 나을 겁니다. 다만 AUM이 제 기준에서는 좀 낮고(17년차 ETF인데 600M따리...) 거래가 잘 안되는건 유의.. 수수료도 0.4%니 불만이 있을 수는 있읍니다. 다만 배당은 비슷하고 수익률이 괜찮은 편입니다.
대충 단단한 방패인데 장기투자하면 방패로 팰수 있는 차지딘...
2
https://news.v.daum.net/v/20220511102554696
반도체 공장 증설할 반도체가 없음..
DB.inc는 지주사가 되어 3년내
DB하이텍을 팔거나, 지분12%를 30%까지 올려야함.
지분 18%를 살 돈은 없을 테고 매각?
반도체 공장 증설할 반도체가 없음..
DB.inc는 지주사가 되어 3년내
DB하이텍을 팔거나, 지분12%를 30%까지 올려야함.
지분 18%를 살 돈은 없을 테고 매각?
1분기에 거래가 막힌 상황에서도 강남집값은 상승했다.
본디 매수가 없으면 집값은 빠지기 마련이다.
매수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없지만 매도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있기 때문.
(상속, 세금, 부도, 이주 등 여러 이유로)
근데 강남집값은 외려 올랐다.
솔직히 강남집값은 실사용가치보다는 프리미엄이지.
압구정현대, 대치은마 이런... 더 보기
본디 매수가 없으면 집값은 빠지기 마련이다.
매수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없지만 매도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있기 때문.
(상속, 세금, 부도, 이주 등 여러 이유로)
근데 강남집값은 외려 올랐다.
솔직히 강남집값은 실사용가치보다는 프리미엄이지.
압구정현대, 대치은마 이런... 더 보기
1분기에 거래가 막힌 상황에서도 강남집값은 상승했다.
본디 매수가 없으면 집값은 빠지기 마련이다.
매수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없지만 매도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있기 때문.
(상속, 세금, 부도, 이주 등 여러 이유로)
근데 강남집값은 외려 올랐다.
솔직히 강남집값은 실사용가치보다는 프리미엄이지.
압구정현대, 대치은마 이런 곳이 지방 신축보다 집으로서 가치가 높진 않으니까. 그럼 이 프리미엄은 얼마가 적절할까? 어디부터 버블일까? 공급을 많이 하면 빠질까?
프리미엄의 대명사 에르메스 핸드백이나 람보르기니랑 비교하면 어떨까?
어차피 가죽보자기인 건 똑같은데 프리미엄이 엄청나다. 만약 아반떼를 많이 만들면 람보르기니 가격이 빠질까? 심지어 자동차는 감가상각이 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가치가 떨어지는데도 사람들은 람보르기니에 프리미엄을 준다.
압구정현대는 감가상각이 진행되긴 하는걸까? 집의 가치는 낮아지지만 그 프리미엄은 시멘트 덩어리가 아니라 입지 자체에 부여되는 거라 시간이 지난다고 떨어지진 않을 것 같다. 오히려 최소 인플레만큼은 오르지 않을까?
-ㄲㅖ속-
본디 매수가 없으면 집값은 빠지기 마련이다.
매수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없지만 매도를 꼭 해야하는 사람은 있기 때문.
(상속, 세금, 부도, 이주 등 여러 이유로)
근데 강남집값은 외려 올랐다.
솔직히 강남집값은 실사용가치보다는 프리미엄이지.
압구정현대, 대치은마 이런 곳이 지방 신축보다 집으로서 가치가 높진 않으니까. 그럼 이 프리미엄은 얼마가 적절할까? 어디부터 버블일까? 공급을 많이 하면 빠질까?
프리미엄의 대명사 에르메스 핸드백이나 람보르기니랑 비교하면 어떨까?
어차피 가죽보자기인 건 똑같은데 프리미엄이 엄청나다. 만약 아반떼를 많이 만들면 람보르기니 가격이 빠질까? 심지어 자동차는 감가상각이 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 수록 가치가 떨어지는데도 사람들은 람보르기니에 프리미엄을 준다.
압구정현대는 감가상각이 진행되긴 하는걸까? 집의 가치는 낮아지지만 그 프리미엄은 시멘트 덩어리가 아니라 입지 자체에 부여되는 거라 시간이 지난다고 떨어지진 않을 것 같다. 오히려 최소 인플레만큼은 오르지 않을까?
-ㄲㅖ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