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9/27 11:44:28수정됨
Name   맥주만땅
File #1   450.jpg (8.8 KB), Download : 32
Subject   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미국에서는 알약이 500개가 들어있는 아스피린을 약국에서 일반인에게 팔고 있습니다.)

아스피린은 처음에는 해열/진통제로 개발되었지만,
미국의 시골이나 저개발국가를 제외하고는 아스피린을 해열/진통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대신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경색을 예방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지요.

이 경우 저용량 아스피린을 사용합니다.

20세기 말부터 아스피린 및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사용할 경우,

고형암을 예방하거나 고형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논문들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아스피린을 건강식품처럼 먹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그동안 연구에서 복용을 통한 위험도 높지 않고,
심혈관 질환자들을 검사해서 위험이 있는 사람만 주는 것은 검사비용이 발생하니
그냥 심혈관질환 발생이 높은 고령의 환자들은 무조건 아스피린을 주면 심혈관질환도 예방하고
부수적으로 암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805819

그래서 약 2만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약 4.7년간 임상시험을 시행하여 보니,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이 아스피린 대신 위약을 복용을 한 군과 비교하여
심혈관질환은 의미있게 감소하지 못하였고, 아스피린의 부작용인 위장관출혈과 같은 출혈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803955

그리고 같은 저자들이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군이 사망률이 높았고,
암으로 인한 사망이 주 원인이어서 아스피린이 암을 억제한다는 그간의 속설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했습니다.

주의 : 이 글은 월도를 통해서 작성하였으므로 논문의 분석에 대해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족 : NEJM에 연구자료를 잘라서 발표하다니, 연구 하나가지고 잘라서 논문 쓰지 말라고 한 사람들은 반성해야.
        이 연구하나로 impact factor를 몇점을 획득했는지....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0-10 01:1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 월도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6515 11
509 기타콜라테러 썰 15 OshiN 17/09/15 6518 10
255 정치/사회외국인 가사도우미와 가사 공간 내부의 협상 20 호라타래 16/08/26 6525 3
324 역사러일전쟁 - 펑톈 전투 4 눈시 16/12/16 6529 5
212 정치/사회새누리 측 노동법 개정안 간단 요약 정리. 11 당근매니아 16/05/31 6532 5
911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6 MANAGYST 20/01/19 6533 10
481 여행나의 호텔 기행기 - Intro & 국내편 (1) 16 Dr.Pepper 17/07/25 6541 6
916 창작나는 행복의 나라로 갈테야. 5 작고 둥근 좋은 날 20/01/29 6542 24
331 일상/생각나를 괴롭히는 것은, 나. 12 SCV 16/12/27 6548 10
658 일상/생각왜 펀치라인? 코메디의 구조적 논의 8 다시갑시다 18/07/06 6549 33
1013 일상/생각나는 순혈 오리지날 코리안인가? 50 사이시옷 20/10/05 6553 24
819 과학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30 다시갑시다 19/06/18 6561 37
1035 게임체스에 대해 배워봅시다! [행마와 규칙] 29 Velma Kelly 20/12/02 6567 20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582 23
692 IT/컴퓨터Gmail 내용으로 구글캘린더 이벤트 자동생성하기 8 CIMPLE 18/09/06 6586 6
624 기타예비 아빠들을 위한 경험담 공유를 해볼까 합니다. 19 쉬군 18/04/30 6591 17
210 기타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6592 25
545 일상/생각독일에서 들었던 수업들 4 droysen 17/11/16 6595 4
818 체육/스포츠심판 콜의 정확도와 스트라이크존 기계판정 4 손금불산입 19/06/15 6599 8
543 일상/생각홀로 견디는 당신에게 16 레이드 17/11/10 6606 30
704 의료/건강건강한 노인들에게 저용량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면 어떻게 될까. 4 맥주만땅 18/09/27 6607 4
438 음악Be human. 인간이기. 5 틸트 17/05/26 6610 11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614 3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6615 11
725 일상/생각대학원생 고민글을 올린 후 2년 21 Keepmining 18/11/09 6616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