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5/28 17:01:28
Name   Beer Inside
Subject   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동아시아의 어느나라 시골병원에 배가 아픈 아기가 도착했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를 보고 장중첩증을 의심하여서 검사를 하고 싶은데,

주말이어서 영상의학과 의사가 병원에 없습니다.

거기에 병원 전산망이 멈춰있어서 일의 진행도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병원에 가서  초음파 검사를 해 보자고 합니다.

문제는 가까운 병원이 시골병원보다 작은 병원이였던 것이지요.

그래서 부모는 병원의 말을 믿지 않고 다른 시골병원으로 갑니다.

다른 시골병원에 가려고 전화를 해 보니 소아외과의사가 없다고 진료를 볼 수 없다는 겁니다.

아기의 부모는 다른 병원에 가면 소아외과 의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다른 병원 또 다른 병원을 찾아 다닙니다.

그리고 결국 아기는 장이 썩어서 사망했습니다.

수술이 아니라 잘하면 간단한 시술로도 치료할 수 있는 병인데,

영상의학과가 없다 소아외과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아이는 병원을 돌아다니다가 사망한 것입니다.

시골은 대도시보다 저소득층이 많기 때문에 비율만 보았을 때는 선천성 기형아가 많이 태어납니다.

그래서 소아외과가 수술할 기회도 적지 않은 편이고 실력도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하지만 선천성기형인 아이들은 사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수술을 하면 위험은 높은 반면,

돈벌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나 선천성 기형인 아이들을 위해서 기부도 받고 기금을 모집하고 하지요.

하지만, 이 시골병원에서는 그런 것이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수술이 실패했을 때 환자의 부모들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소송을 걸었고,

소송에 패소하면 병원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서 남들보다 많은 월급도 아닌데,

월급을 차압당하는 신세가 된 것이지요.

그래서 그 소아외과 의사는 소아외과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그 동네의 다른 소아외과 의사는 간단한 수술만 하고,

시간이 촉박하거나 위험한 수술은 대도시로 가서 수술받으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사건이 발생한 것이지요.

그 국가에서는 응급환자를 제대로 관리를 못한  시골병원을 처벌하고 싶었지만,

그 병원을 처벌하면 그 지역에서 그 시골병원이 하던 적자만 발생하는 응급센터의 역할을

대신하겠다고 하는  병원이 없었기 때문에 처벌할 수가 없었습니다.

대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는 것으로 그쳤습니다.

그리고, 위 사건으로 처벌받은 사람도 없었습니다.

위험한 환자를 보지 않으면 처벌받을일도 없으니까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6-06 15:5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굉장히 슬픈 팩션이군요.
  • 많이들 읽으시라고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5 일상/생각타임라인과 속마음 나누기 36 Toby 17/01/13 7626 34
209 일상/생각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35 Beer Inside 16/05/28 7639 12
1087 일상/생각어느 개발자의 현타 26 거소 21/05/04 7642 35
742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7655 50
626 문화/예술북유럽 신화 한토막 - 블랙기업 아스갈드 편 12 제로스 18/05/04 7660 10
980 일상/생각40대 부부의 9급 공무원 도전기 36 4월이야기 20/07/08 7660 51
544 일상/생각무죄 판결 21 烏鳳 17/11/14 7661 31
586 일상/생각조카들과 어느 삼촌 이야기. 9 tannenbaum 18/02/02 7673 33
176 IT/컴퓨터최초의 웹브라우저 Mosaic 이야기 22 블랙자몽 16/03/30 7678 4
688 문학책 읽기의 장점 2 化神 18/08/27 7679 13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7683 19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7685 23
1005 일상/생각어른들 말씀 잘 듣고 공부 열심히 하는 착한 사람 되지 마세요. 27 Schweigen 20/09/07 7688 70
722 여행이름부터가 북쪽의 땅 - 노르웨이 16 호타루 18/10/28 7690 18
478 일상/생각... 37 켈로그김 17/07/21 7696 21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701 24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7743 38
320 일상/생각면접으로 학부신입생 뽑은 이야기 47 기아트윈스 16/12/10 7751 22
386 일상/생각치킨값에 대한 단상.. 76 Zel 17/03/14 7755 10
571 일상/생각고3담임이 느낀 올해 입시 20 당당 18/01/04 7757 26
500 정치/사회노 키즈 존. 24 tannenbaum 17/08/22 7764 18
354 기타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7770 11
611 체육/스포츠산 속에서 안 써본 근육을 쓰다가 5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8/04/04 7770 23
393 문학채식주의자 - 90년대 이후 국내 여성 문학 속 일련의 작품군에 대한 단상 48 팟저 17/03/21 7778 14
30 과학쥬라기 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3)-모든걸 새로쓰게한 공룡 9 개평3냥 15/06/20 7792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