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9 15:03:59
Name   moira
Subject   의료 언론 질문입니다
의알못입니다.
올해 메르스 사태 당시에 이것저것 읽어보다가 새로 알게 된 언론이 둘 있는데요.
하나는 라포르시안(www.rapportian.com) 이고 하나는 청년의사(www.docdocdoc.co.kr)입니다.
라포르시안은 페이스북 친구들 중에서 좀 빨강빨강~한 분들이 인용하는 링크를 따라가 보고 알게 되었고
청년의사는 박재영이라는 분이 쓴 <개념의료>라는 책 리뷰(강양구, 프레시안)를 보다가 알게 되었습니다.
둘 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인지요?

물론 모든 언론에는 당파성이 있겠습니다만
어떤 쟁점이 터졌을 때(예를 들어 이번 영리병원 허용 문제라든지)
평소 관련 뉴스를 챙겨보지 않던 문외한이 건전한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다른 매체가 있다면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조중동 한경대 등등 각종 일간지들에서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의학전문기자가 있다면, 혹은 이 사람은 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있다면 누구일지도 궁금합니다.





0


라포르시안은 기본적으론 진보/좌파 스탠스이긴 합니다만 생긴 지가 얼마 안되서 아직 내공이 좀 떨어진다고나 할까요. 컬럼과 기사와의 괴리가 좀 있습니다. 가끔 전문성이 떨어지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러나 의료 문제를 \'구조적\'으로 바라보는 꾸준한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 저도 자주 보는 편입니다. 청년의사는 상당히 오래된 언론이고 발행인이 구 NL의 거목이었던 이왕준씨여서 처음엔 역시 꽤 참신한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오너의 성향변화 만큼이나 보수적인 스탠스를 주로 보입니다. 그래도 전문성은 꽤 높아서 저도 비교적 찾아보고 있습니다. ... 더 보기
라포르시안은 기본적으론 진보/좌파 스탠스이긴 합니다만 생긴 지가 얼마 안되서 아직 내공이 좀 떨어진다고나 할까요. 컬럼과 기사와의 괴리가 좀 있습니다. 가끔 전문성이 떨어지는 모습도 보입니다. 그러나 의료 문제를 \'구조적\'으로 바라보는 꾸준한 자세를 가지고 있어서 저도 자주 보는 편입니다. 청년의사는 상당히 오래된 언론이고 발행인이 구 NL의 거목이었던 이왕준씨여서 처음엔 역시 꽤 참신한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오너의 성향변화 만큼이나 보수적인 스탠스를 주로 보입니다. 그래도 전문성은 꽤 높아서 저도 비교적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 외 의협/병협 기관지들도 있고 잡다한 언론이 있지만 크게 찾아보지는 않습니다.

종합일간지는 좀 오히려 들쑥날쑥하다고나 할까요. 개인적으론 조선일보의 김철중 기자를 가장 높이 평가합니다. 의학기자로서의 경력도 거의 제일 길고 기본 성향이 의사/보수 위주긴 해도 전문성과 아젠다 세팅이 뛰어납니다. 병원내 내부 인센티브에 문제제기를 한 기자는 이 양반밖에 아직 못봤습니다. 허수아비 같은 리베이트 문제만 앵무새처럼 때리지. 한겨레/경향은 너무 계급위주의 시각으로 의료계를 보다 보니 답정너도 많고 가끔은 기본 팩트에서 너무나 기가 막히는 기사들도 있어서 상당히 별로입니다. 공중파에서는 SBS 조동찬 기자가 조금 나은 것 같긴 합니다. 메르스 관련에선 동아일보 이진한 기자가 정리를 잘 하긴 했어요. 물론 최악은 페이스북에서 가끔 설화도 일으키고 꼰대의식이라고 비판 많이 받는 H모 전 기자입니다. 전 이런 스탠스의 문제보다 전문성의 결여를 제일 문제로 삼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의료는 너무 민간의료-전문의 체제로 돌아가는게 문제인 만큼 기자도 최소한 전문의는 되어야 문제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의사편을 너무 드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그래도 팩트에서 덜 틀리며, 최소한 병원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는 몸으로 체득하고 있어야 기본이라고 할까요. 의료사고가 났을때도 머리에서 바로 시나리오를 써 볼 수있는 수준은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심층 취재가 가능하거든요.
오 역시...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궁금하던 부분이 크게 해소되었습니다.
H모 씨는 누군지 알 것 같네요. 한겨레에 대해서는 저도 불만이 많았습니다. 경향은 의학전문기자 이름도 모르고요.
조중동은 아무래도 죽 보던 신문이 아니라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가야 할지 몰라 갑갑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문기자는 현장과 정책, 이론까지 두루 아는 사람이어야 할 텐데, 아무래도 현장에서 시작해서 지식 분야를 넓혀가는 사람에게 가장 탄탄한 전달력이 있겠지요. Zel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개인적으로 김철중 기자의 인민재판식 기사에 피해본 분들을 여럿 알아서 그렇게 좋게 보지는 않고 있습니다
(거의 오보에 가까운 내용을 사실인것마냥 적어놓고 나중에 잘못 인정이나 사과는 없으시더군요)
전문성에 대해서도 저는 조금 갸웃하지만... (특히 최신지견에 대해서는...) 뭐 그건 선생님과 저의 스탠스 차이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 제가 모르는 부분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전문성에 있어서도 반대쪽 언론이 물은 알고있다 수준의 기사를 진지하게 쓰다 보니 상대적으로 나아 보이긴 합니다. 본인도 의사보다는 기자의 아이덴티티가 더 세다고 하니 아마 그런 모습이 있기는 있을거에요. 저라고 그 양반의 모든 기사를 찾아본건 아니지만 가끔 읽어볼때 아주 삽질하는 기사는 못봐서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Beer Inside
이왕준씨의 변화는 이재오, 김문수씨의 변화만큼 크지요.
그렇군요. 지금 김철중 기자가 쓴 이왕준 인물탐구 기사를 읽어봤습니다. 청년의사의 \'청년\'이란 NL풍 단어의 연원을 알고 나서 읽으니 참 뭐랄까 싱숭생숭합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6/03/2011060301215.html?Dep0=twitter&d=2011060301215
문득 장명국 씨의 내일신문이 생각나네요.
근데 이 기사가 2011년 기사지요. 마침 김철중씨 글이긴 한데.. 상당히 미화됬다고 보는게 맞겠습니다. 일하는 사람들 이야길 한다리 건너 들으면 소위 \'악덕 병원 이사장\'의 모습을 답습 혹은 초월한다는 평이 많습니다. 이런쪽은 일 터지지기 전에 기사화가 안되는게 상례긴 하지만.
네 저도 물론 많이 미화된 기사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류의 인물탐방 기사들이 흔히 그렇듯이..
기자들도 어쩔 수 없이 자기가 속한 언론사 집단 또는 경험의 바운더리 내에 생각이 갇히는데 조선일보에서 송곳 같은 기자를 기대하기도 무리겠지요. 그래도 근래 박주신씨 MRI 사건 같은 경우엔 김철중 기자가 단호하게 선을 긋는 모습을 보여줬더군요. 전에 기자가 누군지 모르고 읽었을 때는 \'호오 조선일보에서 뜻밖이네\' 하고 넘어갔는데 Zel님이 가르쳐주신 정보를 가지고 돌이켜보니 뭔가 좀더 윤곽이 잘 잡히는 듯한? 그런 느낌적 느낌이네요 하하.
그 박주신 기사때문에 오히려 \'일반\' 의사 사회에서 욕하는 사람이 많아졌죠. 전 역시 할말 했구나 하고 이해했습니다만. 박주신 건은 사실 김철중기자 기사의 내용이 영상의학과 내에서 거의 정론으로 생각하는 내용입니다. 이쪽 정보 라인이 확고하게 있는거죠. 김기자 자체도 영상의학과 전문의기도 하고요. 박주신건은 박시장에 대한 미움에 눈이 멀어버린 사람들이 너무 많다 보니.. 인지부조화에 빠진 사람들이 목소리가 크죠.
Beer Inside
박주신건은 인지부조화도 있고, outlier에 대한 이해의 부족도 함께 하지요.

정상인과 달리 환자는 outlier일 가능성이 높은데,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상하니까 박주신이 아니다..라는 논리를 가지고 있으니...
사실 현대 의학이란게 정상인을 정상인으로 라벨링 하는게 아니고 환자를 라벨링하는 것 부터 시작을 해서 그런 면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 아주 제한된 데이터로 동일인이니 아니니, bone marrow signal가지고 20대에 있니 없니 하는게 난센스지요. 사실 양승오씨가 근골격 전문가라고 볼 수도 없는데.. (커리어의 상당수를 PET CT 쪽일을 하셨죠.) 괜한 권위만 추총하다 진짜 권위자의 언급이 있으니 음모론이나 흘리고 말입니다. 사실 강용석 변호사가 처음 문제제기 했을때는 키/몸무게 데이터와 사진이 너무 맞지 않아서 저도 혹했던 기억이 있습니다만.. 지금 나오는 이야기는 딱 타진요의 문법으로 계속 미분적으로 짜르고 있으니.. 뭐 그것도 한물 간 것 같습니다만.
오 김철중 기자가 또 영상의학과 전문의였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어쩐지 기사 문체가 퍽 단호하더라니... 박주신건 관련해서 양승오 박사 등 몇몇 의사들이 보여준 혼돈의 카오스적인 행태라든가 이분들이 도대체 원하는 게 뭔가 궁금한 게 많습니다만 너무 시간을 뺏는 것 같아 죄송하네요. 언젠가 기회가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이것도 말하자면 긴데.. 많은 의사들이 박시장을 안좋아합니다. 저도 사실 안좋아하고요. 가까이는 메르스 사태 기자회견도 있고, 그 외 여러 서울시 정책에서 의사, 특히 개업의들 입장으로선 \'공상\'에 가까운 이야기들을 많이 했었습니다. 의료인 등록제로 응급 콜받는다던지.. 달빛 어린이 병원이라던지.. 그 외 서울시 의사회 임원들과의 만남에서도 속긁는 이야기들을 많이 해서 그런 이야기들이 많이 있죠. 제 생각에는 기본적 보건의료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우리 현실과 좀 동떨어지지만 대중적으로는 인기 있을만한 그런 시각이라고 봅니다. 게다가 보수적인 성향이 많은 의사집단이기도 하고. 뭐 그건 그거고 박주신건은 명확히 다른건데 말입니다.
하하 저도 의사라면 박시장 안 좋아할 것 같습니다. 사실 일반적으로 봐도 박시장의 약간 뜬구름 잡는 듯한 \'시민절대주의\'가 불쾌한 부분도 많고요. 그래도 박주신 케이스처럼 음모론에 가까운 행태에, 박시장에 대한 반감 때문에 몰입 또는 동조한다는 건 납득이 잘 안 갔습니다. 의사, 학자라면 100%란 있을 수 없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알 텐데요.
moira 님// 거기에 주로 반응을 많이 한게 개원의 그룹이 많습니다. 정작 학계 혹은 대학병원에서는 굉장히 몸사렸습니다. (사실 몸사렸다기 보단 뭐 판단할 자료가 아예 부족하니.) 그러다가 강흥식 교수 (국내 근골격계 영상의학 최고 권위자입니다)가 참다 참다 한마디 하신 후에 요즘 곤혹스러워 하고 계시지만 이분도 대가 쎄신분이라..
Zel 님// 아, 소위 자영업자 그룹들의 대중적 분노라고 해야 할까, 그런 것이군요. 학계 권위로 통제되지 않는. 그런데 양승오 박사는 왜 그런 짓을...ㅠㅠ
moira 님// 예 정확히 보셨습니다. 사실 이쪽 그룹이 또 대학교수와 사이가 안좋은 관계로.. 양박사는 이런말 하면 좀 뒤가 무섭지만 원래 이상한 사람이라는게 중평입니다^^
Beer Inside
거기에 세브란스가 잘 못되면 가장 기뻐하는 곳이 서울대인데 박주신이 아니라는 확신이 있었으면 서울대에서 가만히 있지 않았을 겁니다.

복지부장관이 되고 싶어하는 이들 중에서 몇몇은 공개적으로 공격을 했을 겁니다.
Beer Inside
이왕준씨도 사랑병원시절은 나름 인의협출신들이 일마치고 나면 술마시러가는 병원의 원장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는데,

대학병원의 무덤인 일산에서 듣보잡 대학병원인 명지병원을 인수했으니,
저라도 악덕병원 이사장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겁니다만,
나서기를 좋아하는 성향 때문인지 자신의 이름에 실패를 추가하고 싶지 않아서인지 악덕병원 이사장으로서 앞서가려고 하더군요.
감사합니다. 그랬군요. 그럼 그 다음 수순은 뱃지일까요? 사실 지금 의료계에서 정관계로 진출해서 정책결정에 관여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인 내부 평가도 궁금한데, 특히 김용익 의원이 그래요. 하지만 이런 질문 역시 댓글에서 갑자기 물어보기에는 죄송한 질문이라 죄송...기회가 있겠지요.
김용익의원은 의사 대중에게는 \'의약분업의 원흉\' 이라고 그냥 생각되지만 전 그나마 진보진영에서 합리적이고 한국적 현실을 도외시하지 않는 나름 균형잡힌 분이라고 봅니다. 그 외 의원들은 글쎄요. 문정림/신의진 같이 초선들은 그냥 씽크탱크+ 당내 전문가 수준이라고 보고요. 정의화/안홍준 의원은 이미 의사와는 백만광년 먼 분이고. 박인숙의원은 제가 잘 모르겠네요. 야권에는 김용익 의원빼곤 아예 없죠. 아 사실 신상진의원이 나름 중진이고 똑똑한 분이긴 합니다. 이왕준씨도 정치할 가능성이 없다곤 말 못하겠어요. 이력은 아주 좋죠. 서울대에 운동권 전력에 자본가로 변신해서 새누리당 가면 완벽 이력이니.. 야권이 외연을 넓힐려고 해도 좋은 카드긴 하지만 그 정도의 유연성이 없죠.
오, 감사합니다. 1대1로 과외교습 받는 기분이네요 하하. 김용익 의원은 일반인들에게 이미지는 좋은 편이고 특히 요새 트위터에서 활약이 눈에 띄더군요. 마음 편하게 지지해도 되겠네요. 전문성을 가진 정치인들 가운데 그저 당파적 이익의 꼭둑각시로 복무하지 않을 사람을 식별하기도 일반인에겐 어려워요.
그 외 김용익 선생 제자기도 한 제주대 이상이 교수 정도가 아마 야권에서 정치할만한 인물일거에요. 복지국가 소사이어티인가 해서 계속 하던걸 창당한다는 이야기가 있긴 있었는데.. 이 양반 성향은 김용익 선생보다 약간 더 진보 스탠스입니다. 한때 안철수 싱크탱크였다가 금방 결별했을꺼에요.
아, 아쉽게도 이제 나가봐야 해서 댓글을 더 달지 못하겠어요. 오늘 정말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의료넷에 가입한 보람이 ㅠㅠ
Beer Inside
김용익씨는 의료라기 보다는 보건전문가이지요.

문정림/신의진씨는 그냥 명예를 위해서 나온 느낌... 신의진씨는 \'아이심리백과\'라는 베스트셀러가 있어서 그것만 팔아도 이득이지요.

안홍준씨는 솔직히 의사인지 존재감이 없어서 그렇고,
정의화씨는 봉생병원이라는 종합병원의 이사장(?)이지요.
국회의원도 이번이 마지막이라서 요즘 더러운 꼴을 보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지요.
신상진씨는 최근 별다른 존재감이 없기는 한데, 성남에서의 지지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왕준씨는 명지병원이 더 망하면 국회의원으로 뛰쳐나... 더 보기
김용익씨는 의료라기 보다는 보건전문가이지요.

문정림/신의진씨는 그냥 명예를 위해서 나온 느낌... 신의진씨는 \'아이심리백과\'라는 베스트셀러가 있어서 그것만 팔아도 이득이지요.

안홍준씨는 솔직히 의사인지 존재감이 없어서 그렇고,
정의화씨는 봉생병원이라는 종합병원의 이사장(?)이지요.
국회의원도 이번이 마지막이라서 요즘 더러운 꼴을 보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지요.
신상진씨는 최근 별다른 존재감이 없기는 한데, 성남에서의 지지는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왕준씨는 명지병원이 더 망하면 국회의원으로 뛰쳐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나름 열심히 노력은 하겠지만, 일산에는 절대 망하지 않을 병원인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과 암센터가 있고,
원조 악덕이사장이 만든 일산백병원, 동국대의 최후의 보루 일산동국대병원이 있기 때문에
관동대라는 듣보잡이 운영하던 명지병원이 살아남기가 쉽지 않지요.
그렇군요. \'망하면\'이 관건이네요 하하. 보건, 의료, 약학은 저 같은 사람은 별 생각 없이 한꺼번에 묶어서 생각하는데 실은 제도적으로 좀더 복잡하게 얽히겠군요.
이제 집친구랑 놀아줘야 해서 아쉽게도 댓글을 더 달지 못하겠어요. 많이 배웠습니다. 다음 기회를 또 기약하면서.. 감사합니다!
Beer Inside
더 망하면 정치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득이니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9 의료/건강EB 바이러스에 대한 것이 알고 싶습니다. 5 西木野真姫 15/12/15 8856 0
610 IT/컴퓨터nod32 백신 질문 드립니다. 6 새벽 15/12/15 4668 0
611 기타저 어떡해요?..... 26 성의준 15/12/15 3595 0
612 IT/컴퓨터. 11 사나운나비 15/12/16 3792 0
613 기타신년회 모일 만한 장소를 찾습니다. 1 모선 15/12/16 3310 0
614 기타애견 장례 질문드립니다. 7 Raute 15/12/16 3729 0
615 IT/컴퓨터ssd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ㅠ_ㅠ 1 칸나바롱 15/12/16 3094 0
616 법률한국에 판매금지된 CD를 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8 뤼야 15/12/17 4205 0
617 문화/예술영어에도 야민정음 같은 게 있나요? 7 王天君 15/12/17 9882 0
618 기타아마존에서 중고 CD구매하기 10 뤼야 15/12/17 3803 0
619 IT/컴퓨터노트북 구매 질문 드립니다. 2 Nasty breaking B 15/12/17 3264 0
620 기타이 캐릭터가 어디 나오는 캐릭터인지 아시는 분..? 4 얼그레이 15/12/17 13045 0
621 여행홍콩에서 친구가 놀러왔는데 11 王天君 15/12/18 4518 0
622 IT/컴퓨터이 조건에 맞는 노트북CPU는 뭘까요? 4 전크리넥스만써요 15/12/18 3390 0
623 기타. 2 사나운나비 15/12/18 2904 0
624 과학인지과학, 뇌과학, 진화론과 철학에 대해 질문 23 ohmylove 15/12/18 6029 0
625 과학과학은 진보입니까? 19 ohmylove 15/12/18 4737 0
626 문화/예술앤디 워홀과 팝아트에 대해서 9 ohmylove 15/12/18 3983 0
627 교육역사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24 기기묘묘 15/12/18 3857 0
628 의료/건강의사의 '벌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35 kpark 15/12/18 5012 0
629 기타산소 대신 아르곤을 주입시킨 의료사고에 대해서.. 7 범준 15/12/19 4251 0
630 의료/건강대상포진 질문입니다. 3 솔구름 15/12/19 3858 0
631 의료/건강의료 언론 질문입니다 27 moira 15/12/19 4387 0
632 철학/종교신약의 역사적 가치? 7 Last of Us 15/12/19 4130 0
633 문화/예술전경, 혹은 군대의 부조리를 다룬 '한국현대문학' 작품 5 ramram 15/12/19 386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