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7/04 09:18:36
Name   [익명]
Subject   노력해서 독서습관을 만드신 분 계신가요?
한살 두살 먹어갈 수록 책읽는게 중요하다는게 점점 느껴지고 있습니다.
사회생활 하면서 확실히 책을 가까이 한 사람들의 다른 면모가 보여지고, 교양적인 측면에서도 확연히 다르더군요.

늦게나마 책을 읽으려는 습관을 익히려고 합니다.
그래서 여러 책이나 조언을 들어보니 처음에는 '다독' 하는 습관을 들이라고 하더군요.
유치원생, 초등학생한테 처음부터 어려운 책을 읽게 할 수 없으니 그 수준에 맞는 동화책 수준의 책부터 읽도록 하라고 합니다.
하루에 1~2시간, 한달에 10~20권의 책을 읽으라고 하더군요.
이렇게 3개월 가량 꾸준히 습관을 들인 후에 좀 난이도가 있는 책들을 읽으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올 한해 동안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독서습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보려고 하는데, 괜찮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또 한가지 어려운 점은..
전공 과목이나 관심분야, 정보전달이나 자기계발 분야의 책들은 그래도 막히지 않고 잘 읽는 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유독 소설은 못읽겠습니다. 읽다보면 앞에 읽었던 내용이 뭔지 까먹기도 하고, 인물들의 이름을 자꾸 까먹어서 이게 무슨 내용이었더라 싶기도 하고..

독서 습관을 갖게되면 어려운 소설들도 막힘없이 잘 읽게될 수 있을까요??



0


파란아게하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꼭 계획 잘 지키셔서 습관 잘 들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책 잘 읽으시는데
소설만 그런거면 님의 독서가 이상한 게 아니라
그 소설이 안 맞는 거니깐
또다른 재밌는 책들 읽으세용
[글쓴이]
처음부터 제가 너무 어려운 소설책을 선택했었나 보군요.
감사합니다 다른 책들을 찾아봐야겠어요
한달에 10권 쉽지 않아요... 넉넉하게 일주일에 한두 권 정도로 시작해보시죠.
아 동화책으로 10권이구나ㅎㅎㅎ 숙제처럼 억지로 읽는다 해도 너무 쉬우면 재미 붙이기 어렵지 않을까요?
[글쓴이]
진짜 동화책은 아니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91130611853
이런 류의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부터 읽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ㅋㅋㅋ
표지가 귀엽네요ㅋㅋㅋㅋㅋㅋ 가볍게 읽을 만한 소설로 배명훈 <타워> 추천합니당!
[글쓴이]
오... 바구니에 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엄마곰도 귀엽다
그냥 뭐든지 읽으시는 게 중요하고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더 보기
그냥 뭐든지 읽으시는 게 중요하고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넘 오버페이스하면 쉽게 질리기도 하구요
1
[글쓴이]
음악이나 영화나 운동은 좋아하게 되면 반복해서 보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책은 전혀 그런적 없었던 것 같아요. 공부 위한 목적이 아니면 복기해본 적도 적었고..
이번 기회에 좋아하는 책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다람쥐
혹시 한번에 책을 읽을 때 얼마나 길게 읽으세요? 자기계발서나 실용서는 30분 1시간 이렇게 챕터 단위로 끊어 읽어도 이해가 잘 되는데 소설은 2,3시간정도 긴 흐름으로 읽어야 되더라고요 안그러면 말씀하신대로 인물 까먹고 흐름이 잊혀짐.앉은자리에서 한번에 다 읽는게 제일 좋고 적어도 소설에서도 특정 스토리라인은 한번에읽어야 좋은거같아요
[글쓴이]
생각해보니... 자기계발서나 실용서는 금방금방 읽고 잠깐 쉬었다 읽고 할 수 있어서 편했습니다.
근데 다람쥐 님 말대로 소설은 2,3시간 꾸준이 집중해서 읽어야 흐름이 이해가 가더라구요.
근데 제가 소설책을 붙들고 30분 정도 읽고있으면 저도 모르는 사이에 졸고 있습니다.
안되겠다 싶어서 잠깐 자고 읽으려고 하면 2,3시간 숙면을 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점점 소설과 거리가 멀어졌었습니다...
졸지 않도록 연습도 해봐야겠습니다!!
Under Pressure
저는 책에 대한 생각이 좀 다릅니다. 이런 방법도 있다 정도로 참고만...

책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해야 합니다. 무조건 다 읽겠다 이런 생각을 버리시면 독서가 쉬워집니다. 어떤 책을 읽고 한 토막이라도 기억에 남으면 돈값을 한 겁니다. 책을 1페이지부터 끝장까지 읽는거다 이런 식으로도 접근하지 마시고, 아무 페이지나 펼치고 읽고 싶은 대로 읽으세요. 거꾸로 읽든, 중간 중간 읽든... 그 순간 재미만 있으면 되는겁니다. 소설 인과관계 좀 빼먹으면 어때요. 지금 읽고 있는 파트에 대한 서사 구조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더라도 재미있으면 장땡인 거죠.
2
[글쓴이]
아..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언더프레셔님과 비슷하게 생각 했었습니다. 근데 뭔가 다독에 대한 환상과 모습들이 저한테 꽤 크게 다가온것 같습니다.
다독 하더라도 권수 채우는 형식이 안되도록 노력해봐야겠습니다!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행동을 하면 쉽게 지치고 피로해집니다.
학창시절 책을 많이 읽은 편이었던 저의 독서 방법은 읽을 때 재미있게 읽고 까먹고 다시보면서 또 재미를 느끼고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억지로 뭘 머리에 담으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러다보니 한 너댓번 읽으면 책의 내용이나 스토리가 머리에서 연결이 되더군요.

억지로 뭔가를 하면 제일 힘들고 쉽게 지칩니다. 이건 확실해요.
1
[글쓴이]
역시 즐기는건 못따라 가는건가요 ㅋㅋ
재미있는 책 위주로 시작을 해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망고스틴
동화책 얘기가 나와서 그런데요
어른이 동화책을 읽는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중고생 타겟 교양서적도 은근히 수준이 있고요 (청소년 토지 읽어보세요)

이왕 입문하신다면
쉽고 재밌는것부터
책읽는사람들의 수준을 알아보는 수준도 대단한것이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940 기타제가 무조건 이해를 해야하는 부분인가요? (2) 10 [익명] 18/07/02 2627 0
4944 연애헤여진 여친에게 다시 고백하러 갑니다 9 [익명] 18/07/02 3135 0
4949 진로공학계열 석사->취업->박사 질문 9 [익명] 18/07/03 2955 0
4950 법률집앞에 흘린 지갑을 누가 주워갔는데요ㅠㅠ 4 [익명] 18/07/03 2469 0
6977 문화/예술중국에 서브컬쳐 즐기는 사람이 많나요? 5 [익명] 19/04/18 2317 0
6979 기타광명 프리미엄 아울렛에서 가장 추천해줄만한 식당?? 1 [익명] 19/04/18 2121 0
4961 기타노력해서 독서습관을 만드신 분 계신가요? 16 [익명] 18/07/04 2473 0
4963 법률민사소송을 진행하고 싶습니다. 9 [익명] 18/07/04 2381 0
4964 연애결혼생각 없는 연애 질문입니다 8 [익명] 18/07/04 5094 0
4965 기타제주도 서귀포쪽에 클래식 기타 강습을 해 주는 곳 아시나요? [익명] 18/07/04 2636 0
4967 여행9월 15일 ~ 19일 일본여행 질문입니다 6 [익명] 18/07/04 2021 0
4976 과학. 1 [익명] 18/07/05 2320 0
4972 경제재무재표 해석 부탁드립니다. 8 [익명] 18/07/05 2880 0
4974 진로MBTI 성격유형(INTP) 16 [익명] 18/07/05 6582 0
4977 의료/건강콜라색 소변이 나옵니다 11 [익명] 18/07/05 3637 0
4980 연애삶에 만성적인 무기력이 찾아왔어요 6 [익명] 18/07/06 2308 0
4982 기타이대, 신촌, 공덕, 마포 쪽에 초밥 먹을만한 곳? 2 [익명] 18/07/06 2059 0
4988 연애임신 가능성 질문입니다. 6 [익명] 18/07/07 3374 0
4990 여행7월말에 괌감 7 [익명] 18/07/07 2425 0
4993 기타재산세가 100이상 나오면 어느 정도 재산을 가진건가요? 5 [익명] 18/07/07 2613 0
4995 교육요즘 수능 대세(?) 문제집은 뭐가 있을까요? 21 [익명] 18/07/07 2974 0
4998 의료/건강성형외과 견적 받았는데 적절한지 봐주세요 4 [익명] 18/07/08 2606 0
5007 체육/스포츠페널티킥 관련 질문입니다. 12 [익명] 18/07/10 2553 0
5004 문화/예술도서 정가제는 없어질까요? 3 [익명] 18/07/09 2381 0
5013 가정/육아부부 사이에 돈 관리 49 - 18/07/10 562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