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7/04 09:18:36 |
Name | [익명] |
Subject | 노력해서 독서습관을 만드신 분 계신가요? |
한살 두살 먹어갈 수록 책읽는게 중요하다는게 점점 느껴지고 있습니다. 사회생활 하면서 확실히 책을 가까이 한 사람들의 다른 면모가 보여지고, 교양적인 측면에서도 확연히 다르더군요. 늦게나마 책을 읽으려는 습관을 익히려고 합니다. 그래서 여러 책이나 조언을 들어보니 처음에는 '다독' 하는 습관을 들이라고 하더군요. 유치원생, 초등학생한테 처음부터 어려운 책을 읽게 할 수 없으니 그 수준에 맞는 동화책 수준의 책부터 읽도록 하라고 합니다. 하루에 1~2시간, 한달에 10~20권의 책을 읽으라고 하더군요. 이렇게 3개월 가량 꾸준히 습관을 들인 후에 좀 난이도가 있는 책들을 읽으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올 한해 동안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독서습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보려고 하는데, 괜찮은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또 한가지 어려운 점은.. 전공 과목이나 관심분야, 정보전달이나 자기계발 분야의 책들은 그래도 막히지 않고 잘 읽는 편이었습니다. 그런데 유독 소설은 못읽겠습니다. 읽다보면 앞에 읽었던 내용이 뭔지 까먹기도 하고, 인물들의 이름을 자꾸 까먹어서 이게 무슨 내용이었더라 싶기도 하고.. 독서 습관을 갖게되면 어려운 소설들도 막힘없이 잘 읽게될 수 있을까요?? 0
|
진짜 동화책은 아니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91130611853
이런 류의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부터 읽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ㅋㅋㅋ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91130611853
이런 류의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부터 읽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ㅋㅋㅋ
그냥 뭐든지 읽으시는 게 중요하고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더 보기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더 보기
그냥 뭐든지 읽으시는 게 중요하고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넘 오버페이스하면 쉽게 질리기도 하구요
자기 전이나 멍때릴때 그 내용을 복기?한다고 해야하나
머리 속으로 스토리 라인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같은걸 생각해보세요.
이 인물은 이때 왜 이랬을까? 이 정도.
그리고 모든 책을 여러번 읽을 필요는 없지만 좋아하는 책 (그 중에서 명작이라고 하는거)은 꼭 여러번 보세요.
남편은 10권이 넘는 걸 수십번씩 보더라구요
책 읽는 속도가 좀 빠르기도 하지만 같은 책을 읽어도 저랑은 깊이가 좀 다르달까 ㅎㅎ
대신 한달에 20권씩 읽으시려고 부담갖진 마세요.
그냥 편하게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넘 오버페이스하면 쉽게 질리기도 하구요
저는 책에 대한 생각이 좀 다릅니다. 이런 방법도 있다 정도로 참고만...
책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해야 합니다. 무조건 다 읽겠다 이런 생각을 버리시면 독서가 쉬워집니다. 어떤 책을 읽고 한 토막이라도 기억에 남으면 돈값을 한 겁니다. 책을 1페이지부터 끝장까지 읽는거다 이런 식으로도 접근하지 마시고, 아무 페이지나 펼치고 읽고 싶은 대로 읽으세요. 거꾸로 읽든, 중간 중간 읽든... 그 순간 재미만 있으면 되는겁니다. 소설 인과관계 좀 빼먹으면 어때요. 지금 읽고 있는 파트에 대한 서사 구조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더라도 재미있으면 장땡인 거죠.
책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해야 합니다. 무조건 다 읽겠다 이런 생각을 버리시면 독서가 쉬워집니다. 어떤 책을 읽고 한 토막이라도 기억에 남으면 돈값을 한 겁니다. 책을 1페이지부터 끝장까지 읽는거다 이런 식으로도 접근하지 마시고, 아무 페이지나 펼치고 읽고 싶은 대로 읽으세요. 거꾸로 읽든, 중간 중간 읽든... 그 순간 재미만 있으면 되는겁니다. 소설 인과관계 좀 빼먹으면 어때요. 지금 읽고 있는 파트에 대한 서사 구조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더라도 재미있으면 장땡인 거죠.
목표달성을 하기 위한 행동을 하면 쉽게 지치고 피로해집니다.
학창시절 책을 많이 읽은 편이었던 저의 독서 방법은 읽을 때 재미있게 읽고 까먹고 다시보면서 또 재미를 느끼고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억지로 뭘 머리에 담으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러다보니 한 너댓번 읽으면 책의 내용이나 스토리가 머리에서 연결이 되더군요.
억지로 뭔가를 하면 제일 힘들고 쉽게 지칩니다. 이건 확실해요.
학창시절 책을 많이 읽은 편이었던 저의 독서 방법은 읽을 때 재미있게 읽고 까먹고 다시보면서 또 재미를 느끼고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억지로 뭘 머리에 담으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러다보니 한 너댓번 읽으면 책의 내용이나 스토리가 머리에서 연결이 되더군요.
억지로 뭔가를 하면 제일 힘들고 쉽게 지칩니다. 이건 확실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