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4/22 15:46:45
Name   카르스
Subject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 시민들이 선택했다
연금개혁 공론화 최종 결과는 '소득보장론'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2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도 40%(2028년 기준)에서 50%로 높이는 방안(1안)이 시민대표단 492명 중 56.0%의 선택을 받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보험료율만 12%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유지하는 방안(2안)은 42.6%가 선택해 1안 대비 13.4%포인트 차이로 뒤쳐졌다.

앞서 공론화위는 지난달 8∼10일 사용자, 노동자, 지역가입자, 청년, 수급자 5개 그룹 36명으로 구성된 의제숙의단과 2박3일 워크숍을 진행해 시민 대표단 토론회에서 논의할 의제를 결정했다. 의제는 △소득대체율 및 연금보험료율 조정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관계 조정 △의무가입연령 및 수급개시연령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형평성 제고방안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방안 △공적연금 세대 간 형평성 제고방안 등 모두 6개다. 가장 핵심 의제인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은 노후소득 보장을 고려한 1안과 기금 재정안정을 중시한 2안으로 좁혀졌다. 이후 인구비율을 고려해 구성된 시민대표단 500명(최종 투표 492명)이 이달 13, 14, 20, 21일 네 차례 토론을 거친 뒤 전날 최종 투표를 실시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시민대표단 상당수는 학습과 네 차례 토론을 거치며 소득보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마음을 바꿨다. 시민대표단이 막 꾸려진 후 실시됐던 1차 조사(3월22∼25일)에선 1안이 36.9%, 2안이 44.8%, ‘잘 모르겠다’가 18.3%로 2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연금에 대한 3주간의 학습 후 토론 직전에 실시했던 2차 조사(4월13일)에선 1안이 50.8%로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았고, 2안에 대한 지지는 38.8%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3%였다. 3차(최종) 조사에서는 1안과 2안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1.3%로 크게 줄었다. 언론 등을 통해 국민연금 재정 고갈에 대한 우려를 많이 접해 불안감이 컸던 시민들이 토론을 거치면서 소득보장의 필요성에 대해 더 크게 공감한 결과로 풀이된다.

토론회에서 소득보장을 주장한 남찬섭 동아대 교수(사회복지학)는 “국민들이 중요한 기로에서 노후 소득보장 강화와 재정 안정화를 조화있게 선택했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일상에서 연금에 대해 접하는 정보는 거의 기금 고갈밖에 없다. 이번 토론 과정에서 처음으로 소득보장에 대한 정보도 듣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재정안정을 강조한 석재은 한림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일단 소득보장 논리가 국민들에게 더 와닿았나란 생각이 든다”며 “민의를 받아들이더라도 재정적인 안정성을 고려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설정했으면 좋겠다”고 결과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계속) 

==================================================================================
국민연금을 시민 숙의로 공론화하려는 시도에 회의적이었고, 
재정안정론과 기초연금 축소론이 맞다고 보는 저에겐 아쉽긴 합니다.

초반에 재정안정론이 좀 더 많았지만 나중에 소득보장론으로 넘어간 건 
보수계의 연금 고갈론 공포가 과장되었음이 드러났고, 재정안정론자들이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을 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봅니다.

재정안정론/기초연금 축소론을 제외한 나머지는 합리적으로 판단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시민들이 숙의 끝에 결론을 냈으니, 절대 "국민이 반대하기에 연금개혁 못한다"는 핑계는 대지 맙시다.
소득보장론 재정안정론 모두 40% 이상의 득표를 받은 박빙이니
소득대체율을 50%까지 높이는 대신, 보험료율을 13%가 아닌 원 목표인 15%까지 단번에 높이는 정도로 합의를 볼 순 있겠네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295 정치‘베이스캠프 두 동강 날라’ 윤석열-이준석 TK 목장 결투 내막 8 Picard 22/09/14 2413 0
18241 스포츠박주호·안나 부부 셋째 출산 "안녕 베이비 박" 2 구박이 20/01/17 2413 0
19521 사회대구 황금네거리서 신변비관 50대 분신 시도 4 The xian 20/03/28 2413 3
22595 기타서울 아침 기온 영하 10도…남부지방 많은 눈 1 다군 20/12/13 2413 0
36421 국제미국 정부, 기업들에 우크라 재건 준비시켜 4 오호라 23/10/24 2413 0
19526 정치통합당 여상규·박맹우·백승주, 미래한국당 입당..'50억 짜리' 이적 12 다키스트서클 20/03/29 2413 1
28744 정치국힘 '지선' 내홍…이준석 "김재원,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려 해" 6 Picard 22/03/24 2413 1
36425 경제日 닛산 '사쿠라 EV'가 현대차 7개 전기차보다 더 팔린 이유 10 Beer Inside 23/10/25 2413 0
36427 사회'전신주 감전사' 고 김다운 씨‥검찰, '원청' 한국전력에 "무혐의" 야얌 23/10/25 2413 2
13644 정치靑 "민정수석실 소속 다른 직원 일부도 주말 골프 확인" 6 tannenbaum 18/12/02 2413 1
12881 스포츠두산, 6일 LG전 승리기원 시구 시타에 아이즈원 사나남편 18/10/02 2413 0
30804 정치‘윤핵관’ 이철규 “지지율 하락? 당대표·여론조사기관 성향 때문” 24 매뉴물있뉴 22/08/10 2413 0
37723 사회내 새끼는 왜 죽었나… 정치에 밀려난 과학, 아빠가 붙잡았다 18 카르스 24/04/16 2413 33
30812 정치韓, 한한령 풀어달랬더니…中, 3不 넘어 5不 요구 15 알탈 22/08/10 2413 0
32604 경제9억이하 보금자리론(DSR규제無), 다주택자·임대사업자 주담대 허용 추진 23 cummings 22/12/15 2413 0
28765 게임한국서 처음 열리는 MSI, 부산 벡스코서 개최 5 swear 22/03/25 2413 0
35677 사회"난 카이스트‥당신 어디까지 배웠어요?" 유치원 교사 통화 폭로에 '경악' 16 swear 23/08/06 2413 0
30814 사회하루 주운 '담배꽁초'…무려 3250개 23 Profit 22/08/10 2413 3
31330 사회포항제철, 98년 611㎜ 폭우도 견뎠는데…'냉천' 정비에 쏠린 의심 3 오호라 22/09/16 2413 0
16234 의료/건강"제산제 자주 먹으면 알레르기 위험↑" 1 메리메리 19/08/02 2413 1
27498 정치조원진 우리공화당 대선 후보 "비만환자 건강보험 적용" 공약 발표 11 22/01/11 2413 0
31596 정치대통령실 “尹, 비속어는 기억 어렵고 ‘바이든’은 없어…가짜뉴스 퇴치해야” 11 오호라 22/10/01 2413 0
31086 기타서울대, 베트남에 분교 낸다 3 토오끼코오끼리 22/08/26 2413 1
34926 경제전세의 치명적 단점...금리 제로땐 이론적으로 무한상승 10 구밀복검 23/06/04 2413 0
31857 사회파리바게뜨 공장 사망 사고.. SPC에 책임 묻기 어려울 듯 7 아비치 22/10/19 241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