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4/22 15:46:45
Name   카르스
Subject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 시민들이 선택했다
연금개혁 공론화 최종 결과는 '소득보장론'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2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도 40%(2028년 기준)에서 50%로 높이는 방안(1안)이 시민대표단 492명 중 56.0%의 선택을 받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보험료율만 12%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유지하는 방안(2안)은 42.6%가 선택해 1안 대비 13.4%포인트 차이로 뒤쳐졌다.

앞서 공론화위는 지난달 8∼10일 사용자, 노동자, 지역가입자, 청년, 수급자 5개 그룹 36명으로 구성된 의제숙의단과 2박3일 워크숍을 진행해 시민 대표단 토론회에서 논의할 의제를 결정했다. 의제는 △소득대체율 및 연금보험료율 조정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관계 조정 △의무가입연령 및 수급개시연령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형평성 제고방안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방안 △공적연금 세대 간 형평성 제고방안 등 모두 6개다. 가장 핵심 의제인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은 노후소득 보장을 고려한 1안과 기금 재정안정을 중시한 2안으로 좁혀졌다. 이후 인구비율을 고려해 구성된 시민대표단 500명(최종 투표 492명)이 이달 13, 14, 20, 21일 네 차례 토론을 거친 뒤 전날 최종 투표를 실시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시민대표단 상당수는 학습과 네 차례 토론을 거치며 소득보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마음을 바꿨다. 시민대표단이 막 꾸려진 후 실시됐던 1차 조사(3월22∼25일)에선 1안이 36.9%, 2안이 44.8%, ‘잘 모르겠다’가 18.3%로 2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연금에 대한 3주간의 학습 후 토론 직전에 실시했던 2차 조사(4월13일)에선 1안이 50.8%로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았고, 2안에 대한 지지는 38.8%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3%였다. 3차(최종) 조사에서는 1안과 2안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1.3%로 크게 줄었다. 언론 등을 통해 국민연금 재정 고갈에 대한 우려를 많이 접해 불안감이 컸던 시민들이 토론을 거치면서 소득보장의 필요성에 대해 더 크게 공감한 결과로 풀이된다.

토론회에서 소득보장을 주장한 남찬섭 동아대 교수(사회복지학)는 “국민들이 중요한 기로에서 노후 소득보장 강화와 재정 안정화를 조화있게 선택했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일상에서 연금에 대해 접하는 정보는 거의 기금 고갈밖에 없다. 이번 토론 과정에서 처음으로 소득보장에 대한 정보도 듣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재정안정을 강조한 석재은 한림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일단 소득보장 논리가 국민들에게 더 와닿았나란 생각이 든다”며 “민의를 받아들이더라도 재정적인 안정성을 고려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설정했으면 좋겠다”고 결과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계속) 

==================================================================================
국민연금을 시민 숙의로 공론화하려는 시도에 회의적이었고, 
재정안정론과 기초연금 축소론이 맞다고 보는 저에겐 아쉽긴 합니다.

초반에 재정안정론이 좀 더 많았지만 나중에 소득보장론으로 넘어간 건 
보수계의 연금 고갈론 공포가 과장되었음이 드러났고, 재정안정론자들이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을 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봅니다.

재정안정론/기초연금 축소론을 제외한 나머지는 합리적으로 판단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시민들이 숙의 끝에 결론을 냈으니, 절대 "국민이 반대하기에 연금개혁 못한다"는 핑계는 대지 맙시다.
소득보장론 재정안정론 모두 40% 이상의 득표를 받은 박빙이니
소득대체율을 50%까지 높이는 대신, 보험료율을 13%가 아닌 원 목표인 15%까지 단번에 높이는 정도로 합의를 볼 순 있겠네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498 정치조원진 우리공화당 대선 후보 "비만환자 건강보험 적용" 공약 발표 11 22/01/11 2417 0
37226 정치지역구 투표, 국힘 43.2% 대 민주 41.7%…49주 만 역전 43 매뉴물있뉴 24/02/20 2417 0
12908 사회‘전라도 출신 채용 안한다’던 편의점… 논란에 “죄송하다” 사과 6 tannenbaum 18/10/05 2417 0
14704 사회616억 금괴 '항문 밀수' 50대 남녀 '실형'..추징금만 1370억 7 월화수목김사왈아 19/02/24 2417 1
26485 사회"내가 지금 뭘 본거지"…달리는車 천장에서 키스한 '진상 커플' 2 swear 21/11/09 2417 0
26744 정치‘의원 간 불륜’ 퇴출당한 김제시의원 제명처분 불복 승소 주식하는 제로스 21/11/30 2417 0
35198 경제정부, 방만 전세대출 손질 16 구밀복검 23/06/25 2417 0
32140 정치'서해 피격' 서욱 석방‥구속적부심 인용 2 매뉴물있뉴 22/11/08 2417 0
33164 스포츠'사자왕' 즐라탄, 41세 나이로 은퇴한다...AC밀란 엠버서더 예정 3 danielbard 23/01/24 2417 1
12944 사회풍등 날린 스리랑카인 석방 6 제로스 18/10/10 2417 0
21651 사회전광훈, 보석 취소로 140일만에 재수감..보증금 3천만원 몰수 2 The xian 20/09/07 2417 2
37780 경제“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 시민들이 선택했다 20 카르스 24/04/22 2417 0
14998 국제미국, 이스라엘 골란고원 영토 주권 인정 선언문에 서명 3 오호라 19/03/27 2417 0
33430 정치제주 4·3 사건, 北김일성 지시?…태영호 발언 논란 36 Picard 23/02/14 2417 2
36249 문화/예술“세레스는 고대 신라”… 서양 매혹시킨 실크는 고대 신라 제품 2 Beer Inside 23/09/30 2417 1
10665 정치홍준표 "미북회담, 종전선언 결단코 반대..한반도 최악 재앙" 15 알겠슘돠 18/06/07 2417 0
37052 정치단통법 10년 만에 폐지…대형마트 의무휴업 없애기로 7 the 24/01/22 2417 0
26306 사회"프락치 요구 거부 뒤 자해사망"…3번째 조사만에 밝혀진 진실 2 다군 21/10/26 2417 2
17092 사회관세청, 대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리얼돌 통관불허 10 DX루카포드 19/10/11 2417 12
27592 사회"할아버지 안 죽으니 훈련 끝나고 가라"..폭언 軍 간부 '직무 정지' 3 Regenbogen 22/01/15 2417 1
36552 정치"조국은 다시 그를 부른다"...박정희 동상, 대구에 세운다 22 곰곰이 23/11/09 2417 0
21450 정치차명진 "'광화문 코로나'는 우파를 선호해" 9 The xian 20/08/22 2417 0
25290 사회8월 14일은 '택배 쉬는 날'…국토부 "종사자 3일간 휴식 지원" 1 다군 21/08/11 2417 1
18392 사회"진천·아산이나 천안이나...충청도가 만만하냐" 30 CONTAXND 20/01/29 2417 0
28121 사회감옥서 온 소름돋은 편지…"내 주민번호 들이밀며 협박" swear 22/02/12 2417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