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4/22 15:46:45
Name   카르스
Subject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 시민들이 선택했다
연금개혁 공론화 최종 결과는 '소득보장론'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2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도 40%(2028년 기준)에서 50%로 높이는 방안(1안)이 시민대표단 492명 중 56.0%의 선택을 받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보험료율만 12%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유지하는 방안(2안)은 42.6%가 선택해 1안 대비 13.4%포인트 차이로 뒤쳐졌다.

앞서 공론화위는 지난달 8∼10일 사용자, 노동자, 지역가입자, 청년, 수급자 5개 그룹 36명으로 구성된 의제숙의단과 2박3일 워크숍을 진행해 시민 대표단 토론회에서 논의할 의제를 결정했다. 의제는 △소득대체율 및 연금보험료율 조정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관계 조정 △의무가입연령 및 수급개시연령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형평성 제고방안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방안 △공적연금 세대 간 형평성 제고방안 등 모두 6개다. 가장 핵심 의제인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은 노후소득 보장을 고려한 1안과 기금 재정안정을 중시한 2안으로 좁혀졌다. 이후 인구비율을 고려해 구성된 시민대표단 500명(최종 투표 492명)이 이달 13, 14, 20, 21일 네 차례 토론을 거친 뒤 전날 최종 투표를 실시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시민대표단 상당수는 학습과 네 차례 토론을 거치며 소득보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마음을 바꿨다. 시민대표단이 막 꾸려진 후 실시됐던 1차 조사(3월22∼25일)에선 1안이 36.9%, 2안이 44.8%, ‘잘 모르겠다’가 18.3%로 2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연금에 대한 3주간의 학습 후 토론 직전에 실시했던 2차 조사(4월13일)에선 1안이 50.8%로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았고, 2안에 대한 지지는 38.8%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3%였다. 3차(최종) 조사에서는 1안과 2안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1.3%로 크게 줄었다. 언론 등을 통해 국민연금 재정 고갈에 대한 우려를 많이 접해 불안감이 컸던 시민들이 토론을 거치면서 소득보장의 필요성에 대해 더 크게 공감한 결과로 풀이된다.

토론회에서 소득보장을 주장한 남찬섭 동아대 교수(사회복지학)는 “국민들이 중요한 기로에서 노후 소득보장 강화와 재정 안정화를 조화있게 선택했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일상에서 연금에 대해 접하는 정보는 거의 기금 고갈밖에 없다. 이번 토론 과정에서 처음으로 소득보장에 대한 정보도 듣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재정안정을 강조한 석재은 한림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일단 소득보장 논리가 국민들에게 더 와닿았나란 생각이 든다”며 “민의를 받아들이더라도 재정적인 안정성을 고려한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설정했으면 좋겠다”고 결과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계속) 

==================================================================================
국민연금을 시민 숙의로 공론화하려는 시도에 회의적이었고, 
재정안정론과 기초연금 축소론이 맞다고 보는 저에겐 아쉽긴 합니다.

초반에 재정안정론이 좀 더 많았지만 나중에 소득보장론으로 넘어간 건 
보수계의 연금 고갈론 공포가 과장되었음이 드러났고, 재정안정론자들이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을 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봅니다.

재정안정론/기초연금 축소론을 제외한 나머지는 합리적으로 판단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시민들이 숙의 끝에 결론을 냈으니, 절대 "국민이 반대하기에 연금개혁 못한다"는 핑계는 대지 맙시다.
소득보장론 재정안정론 모두 40% 이상의 득표를 받은 박빙이니
소득대체율을 50%까지 높이는 대신, 보험료율을 13%가 아닌 원 목표인 15%까지 단번에 높이는 정도로 합의를 볼 순 있겠네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27 사회유튜브 "눈 가린 콘텐츠 금지"..버드박스 열풍 잠재우기 나서 3 파이어 아벤트 19/01/17 2385 0
19447 스포츠대구 홈구장 ‘대팍’, 전 세계 올해의 스타디움 16위 선정 3 swear 20/03/25 2385 0
26103 정치순복음교회 찾은 윤석열…주술 논란 의식했나 14 칼리스타 21/10/11 2385 1
16632 정치한국당 정갑윤, 조성욱 후보자에 "출산 의무부터 다하라" 13 The xian 19/09/02 2385 0
9978 정치출근시간 놓친 안철수 후보 13 소맥술사 18/05/08 2385 1
32002 IT/컴퓨터"수입 90% 줄고 카카오 보상 미지수" 티스토리 블로거들 호소 5 구밀복검 22/10/28 2384 0
31237 정치이상민 장관 “대기업 3~5곳, 명문대·특목고 묶어 지방이전 추진” 27 아비치 22/09/07 2384 0
14605 사회버닝썬, 조직적 성범죄 관여 의혹…"VIP고객에게 주기적으로 연락" 5 그저그런 19/02/14 2384 0
12304 국제美-터키관계 왜 악화됐나.."트럼프, 에르도안에 모욕 느껴" 2 벤쟈민 18/08/19 2384 0
13072 정치[정준희의 최강시사] 전원책 "촛불은 혁명이고, 태극기는 부대인가?" 4 벤쟈민 18/10/22 2384 0
35858 경제김영란법, 추석선물 30만원까지…“진작 바꿔주지” 화색 도는 업계 12 Picard 23/08/18 2384 2
28180 사회정책검증보도 가장 많이 한 신문은 4 구밀복검 22/02/15 2384 1
37908 IT/컴퓨터50% 지분 소프트뱅크 "라인야후는 자회사"…입지 좁아진 네이버 25 우스미 24/05/08 2384 0
1302 경제치솟는 장바구니 물가.."파티는 커녕 식탁도 썰렁" NF140416 16/12/23 2384 0
14614 스포츠아틀레티코, 시메오네 감독과 계약 연장...2022년까지 2 손금불산입 19/02/15 2384 1
31011 정치쌀은 풍년이 재앙…대체작물 심으면 쌀값·식량안보 둘다 잡아 4 야얌 22/08/21 2384 0
36900 기타“딸아, 네가 살아서 너무 기뻐”… 아빠는 하늘에서 웃을 것이다 3 swear 24/01/02 2384 5
7462 정치추미애 "자영업자 어려운 건 최저임금 아닌 높은 임대료 때문" 12 맥주만땅 18/01/12 2384 1
10793 사회노년층, SNS 가짜뉴스 맹신.. 정부·사회 향해 불신 폭발 8 퓨질리어 18/06/15 2384 0
32041 정치안철수 "모든 경험 쏟아부어 당과 나라 바로 서게 할 것"(종합) 10 Picard 22/10/31 2384 0
32568 사회20대 여성 성노예로 부리다 숨지게 한 '악마 유튜버'…성매매 男 "온 몸에 멍" 4 tannenbaum 22/12/13 2384 0
34617 사회어린이집 나간 2살, 700m 거리 도로서 발견...경찰 수사 14 swear 23/05/12 2384 0
20539 정치김종인 "통합당, 국민 관심 얻으려면 이념 집착 버려야" 5 토끼모자를쓴펭귄 20/06/05 2384 0
12349 정치한국당 초·재선 "아이 낳으면 국가가 1억원 지원" 제안 15 tannenbaum 18/08/21 2384 0
28225 사회거리두기 완화 vs 유지…일상회복지원위 분과별 입장차 팽팽(종합) 2 다군 22/02/17 238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