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3/19 11:54:51
Name   카르스
Subject   왜 ‘건국전쟁’을 보는가, 그 답은 ‘자연화’
<건국전쟁>을 둘러싼 이야기는 분명 일말의, 혹은 적잖은 진실을 담고 있다. 그럼에도 이런 이야기에 아쉬움을 느끼는 건, 이른바 ‘왜?’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건국전쟁>은 단지 보수 기독교도와 노인들을 ‘동원해서’ 흥행한 영화인가? 이들이 이승만을 지지하는 이유는 그저 역사를 잘 모르기 때문인가? 다시 말해, ‘왜’ 하필 이승만인가? 역사학자 후지이 다케시의 칼럼집 <무명의 말들>은 그 실마리를 제공한다. 박사 과정을 끝마칠 무렵인 2005년 뉴라이트운동의 발흥을 목도했고, 그 영향으로 논문 역시 해방 8년 동안의 정치사로 쓴 후지이는 이들의 심리를 한 단어로 요약한다. 바로 ‘자연화’다.

이승만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격동의 해방 공간에서 그가 내린 선택을 어쩔 수 없는 것, 원래 그러했던 것으로 치부한다. 이승만이 남한 단독정부를 지지하고, 친일파를 등용했으며, 자국민을 빨갱이로 몰아 학살했다는 ‘팩트’를 아무리 강조해봤자, 이들에겐 그다지 치명적인 공격이 아니다. 이들은 이 사실을 모두 알고 있음에도, 혹은 모두 알고 있기에 이승만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마치 자연이 그러하듯, 이승만의 선택은 필연적이며 당연한 것으로 둔갑한다.

아이러니한, 혹은 안타까운 사실은 심지어 이들의 주장이 어느 정도 ‘타당하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이제는 좌우 모두 대한민국의 ‘성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그 원동력으로 자유민주주의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이후의 ‘신냉전’ 시대에, 사람들은 너무나도 쉽게 자유민주주의를 선으로, 그 반대편을 악으로 치부하곤 한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 이승만을 겹쳐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요컨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물신화’와 역사에 대한 ‘자연화’는 이승만 신화를 떠받치는 두 축이다. 얼핏 상반돼 보이는 두 태도는 서로 맞물린다. 자유민주주의야말로 보편이요 진리라는 사실이 대한민국 역사로 증명됐고, 그렇기에 우리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그 무언가를 상상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는 식이다. 어쩌면 역사가의 임무란 <건국전쟁>이 얼마나 ‘틀려먹은’ 영화인지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 견고한 고리를 끊어내고 그 안에 갇혀 있던 수많은 가능성을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고정된 ‘이름’을 떼어내고 역사를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명’의 상태로 되돌리는 일, 후지이가 자신의 박사논문을 저본 삼은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를 통해 보여준 것이기도 하다.

출처: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5219.html

구구절절 동의합니다.
이승만 재평가는 단순히 극성 보수세력에 통할 코드를 넘어섰다고 봐요.

건국전쟁 감독은 굉장히 극성으로 보이고(예: 양민학살 없었다, 파묘 반일영화 발언 등)
이승만 정부의 여러 과오(친일청산 미흡, 보도연맹 학살, 국민방위군 사건, 사사오입 개헌, 조봉암 처형, 3.15 부정선거 등)들을 인정하지 않거나 합리화하려 건 극성 보수나 하는 행동하지만
과오들을 인정함에도 보편교육, 농지개혁, 한미동맹 같은 공을 간과하면 안된다는 정서가 보수 전반에 유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위상의 향상과 국제 정세의 변화가 이런 흐름을 가속화하고 있고

이런 트렌드가 못마땅한 분들은 칼럼 말미에 적혔듯이 "<건국전쟁>이 얼마나 ‘틀려먹은’ 영화인지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 견고한 고리를 끊어내고 그 안에 갇혀 있던 수많은 가능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932 국제이란 대통령 "日, 美제재 우회하는 새로운 방법 제안" 2 알겠슘돠 19/12/23 2413 0
31756 경제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최악은 아직…내년 침체처럼 느껴질 것" 2 다군 22/10/12 2413 0
34572 정치KTV 언론사 영상 제공 '돌연 중단' 이유가 대통령실 난리 때문? 6 오호라 23/05/09 2413 0
37135 경제안산서 '100억 전세사기' 터졌다…초대형 사고에 '발칵' 9 활활태워라 24/02/02 2413 0
19472 국제[외신] 스페인 요양원에 버려진 노인들...침대 위 시신 발견되기도 1 구밀복검 20/03/26 2413 1
14609 정치미 하원 의장 "난 북한을 믿지 않는다" 18 듣보잡3 19/02/14 2413 0
30481 경제증권거래세 내리고, 주식 양도세 강화는 2년 미뤄 Beer Inside 22/07/21 2413 1
28436 사회당진 현대제철서 대형 용기에 50대 근로자 빠져 숨져 5 구박이 22/03/02 2413 1
14614 스포츠아틀레티코, 시메오네 감독과 계약 연장...2022년까지 2 손금불산입 19/02/15 2413 1
36631 사회망한 이유 있네…'더 마블스' 주연 "영화 흥행, 신경 써서 뭐 하냐" 43 매뉴물있뉴 23/11/20 2413 0
15640 정치"김용장씨, 미 육군 방첩부대 501정보여단 재직 맞다" 3 CONTAXND 19/06/05 2413 0
31512 정치국제뉴스퍼레이드 美, 중국의 대만 침공 시 한국 역할 '우회적 시사' 12 야얌 22/09/27 2413 0
10265 정치“트럼프, 문 대통령 장담과 북한 얘기 왜 다르냐 물었다” 16 뒷장 18/05/22 2413 0
12315 정치유권자 72% 전화번호 빼내 불법선거…“구청서 통째로 받아” 2 벤쟈민 18/08/20 2413 0
31771 국제바이든 “OPEC+ 감산 주도한 사우디와 관계 재검토”…70년 우방 위기 6 주식못하는옴닉 22/10/12 2413 0
28958 사회가스공사 채희봉 일행, '렌트비만 3천만 원' 호주 출장 6 empier 22/04/07 2413 0
19237 사회신천지에 빠진 아내, 육적인 가족은 사치라며 떠났다 21 소원의항구 20/03/13 2413 0
33832 의료/건강'제로 슈거' 소주, 뭐가 다른가 했더니…몰랐던 진실 16 Beer Inside 23/03/20 2413 0
31017 국제"구글, 진료 위해 유아 아들 성기 촬영한 아빠 성범죄자로 몰아" 9 다군 22/08/22 2413 0
29484 경제버냉키 "연준의 뒤늦은 물가 대응은 실수"…스태그플레이션 경고 6 Beer Inside 22/05/17 2413 1
26925 사회약촌 오거리 살인사건 관련 검사의 사과 2 대법관 21/12/13 2413 0
14128 사회"네가 혼자 사니까 그렇지" 문제아 취급받는 싱글족 4 벤쟈민 19/01/03 2413 0
11057 국제"이란은 형제국"..터키 '이란 원유 수입중단' 미국 요구 거부 3 삼성갤팔지금못씀 18/06/28 2413 0
29233 사회"다음 정류장은 '지구대' 입니다"…버스 안 성추행, 종착지는 swear 22/04/28 2413 0
27448 사회“소액주주들 피눈물 흘릴 때 우린 랍스터” 조롱한 오스템직원 17 구박이 22/01/07 2413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