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3/19 11:54:51
Name   카르스
Subject   왜 ‘건국전쟁’을 보는가, 그 답은 ‘자연화’
<건국전쟁>을 둘러싼 이야기는 분명 일말의, 혹은 적잖은 진실을 담고 있다. 그럼에도 이런 이야기에 아쉬움을 느끼는 건, 이른바 ‘왜?’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건국전쟁>은 단지 보수 기독교도와 노인들을 ‘동원해서’ 흥행한 영화인가? 이들이 이승만을 지지하는 이유는 그저 역사를 잘 모르기 때문인가? 다시 말해, ‘왜’ 하필 이승만인가? 역사학자 후지이 다케시의 칼럼집 <무명의 말들>은 그 실마리를 제공한다. 박사 과정을 끝마칠 무렵인 2005년 뉴라이트운동의 발흥을 목도했고, 그 영향으로 논문 역시 해방 8년 동안의 정치사로 쓴 후지이는 이들의 심리를 한 단어로 요약한다. 바로 ‘자연화’다.

이승만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격동의 해방 공간에서 그가 내린 선택을 어쩔 수 없는 것, 원래 그러했던 것으로 치부한다. 이승만이 남한 단독정부를 지지하고, 친일파를 등용했으며, 자국민을 빨갱이로 몰아 학살했다는 ‘팩트’를 아무리 강조해봤자, 이들에겐 그다지 치명적인 공격이 아니다. 이들은 이 사실을 모두 알고 있음에도, 혹은 모두 알고 있기에 이승만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마치 자연이 그러하듯, 이승만의 선택은 필연적이며 당연한 것으로 둔갑한다.

아이러니한, 혹은 안타까운 사실은 심지어 이들의 주장이 어느 정도 ‘타당하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이제는 좌우 모두 대한민국의 ‘성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그 원동력으로 자유민주주의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이후의 ‘신냉전’ 시대에, 사람들은 너무나도 쉽게 자유민주주의를 선으로, 그 반대편을 악으로 치부하곤 한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 이승만을 겹쳐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요컨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물신화’와 역사에 대한 ‘자연화’는 이승만 신화를 떠받치는 두 축이다. 얼핏 상반돼 보이는 두 태도는 서로 맞물린다. 자유민주주의야말로 보편이요 진리라는 사실이 대한민국 역사로 증명됐고, 그렇기에 우리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그 무언가를 상상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는 식이다. 어쩌면 역사가의 임무란 <건국전쟁>이 얼마나 ‘틀려먹은’ 영화인지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 견고한 고리를 끊어내고 그 안에 갇혀 있던 수많은 가능성을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고정된 ‘이름’을 떼어내고 역사를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명’의 상태로 되돌리는 일, 후지이가 자신의 박사논문을 저본 삼은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를 통해 보여준 것이기도 하다.

출처: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5219.html

구구절절 동의합니다.
이승만 재평가는 단순히 극성 보수세력에 통할 코드를 넘어섰다고 봐요.

건국전쟁 감독은 굉장히 극성으로 보이고(예: 양민학살 없었다, 파묘 반일영화 발언 등)
이승만 정부의 여러 과오(친일청산 미흡, 보도연맹 학살, 국민방위군 사건, 사사오입 개헌, 조봉암 처형, 3.15 부정선거 등)들을 인정하지 않거나 합리화하려 건 극성 보수나 하는 행동하지만
과오들을 인정함에도 보편교육, 농지개혁, 한미동맹 같은 공을 간과하면 안된다는 정서가 보수 전반에 유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위상의 향상과 국제 정세의 변화가 이런 흐름을 가속화하고 있고

이런 트렌드가 못마땅한 분들은 칼럼 말미에 적혔듯이 "<건국전쟁>이 얼마나 ‘틀려먹은’ 영화인지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 견고한 고리를 끊어내고 그 안에 갇혀 있던 수많은 가능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하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092 사회관세청, 대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리얼돌 통관불허 10 DX루카포드 19/10/11 2380 12
28121 사회감옥서 온 소름돋은 편지…"내 주민번호 들이밀며 협박" swear 22/02/12 2380 1
35550 사회"교권 추락, 금쪽이 탓" 전쟁터로 변한 오은영 SNS 16 퓨질리어 23/07/25 2380 0
15857 정치누구 말이?.. 강효상 "트럼프, DMZ서 金과 전화"·박지원 "남북미 정상회동" 2 The xian 19/06/30 2380 1
13060 국제"브렉시트 찬반투표 다시 해라" 런던서 70만 시위 11 벤쟈민 18/10/21 2379 0
21257 사회물살 거센데 출동, 왜?..춘천시 측 요청으로 '수초 고정작업' 13 Schweigen 20/08/06 2379 3
14609 정치미 하원 의장 "난 북한을 믿지 않는다" 18 듣보잡3 19/02/14 2379 0
10265 정치“트럼프, 문 대통령 장담과 북한 얘기 왜 다르냐 물었다” 16 뒷장 18/05/22 2379 0
29992 스포츠카타르 월드컵 “혼외정사 안 돼”…“원나잇 스탠드=징역 7년” 10 swear 22/06/21 2379 0
27448 사회“소액주주들 피눈물 흘릴 때 우린 랍스터” 조롱한 오스템직원 17 구박이 22/01/07 2379 1
19521 사회대구 황금네거리서 신변비관 50대 분신 시도 4 The xian 20/03/28 2379 3
37452 정치왜 ‘건국전쟁’을 보는가, 그 답은 ‘자연화’ 36 카르스 24/03/19 2379 0
10323 의료/건강대법원 "병원 있는 건물과 같은 부지에도 약국 개설 가능" 1 알겠슘돠 18/05/24 2379 0
362 기타청량음료보다 알콜이 비만 주범.. 한국 알콜 섭취 1위 9 NF140416 16/10/17 2379 0
37226 정치지역구 투표, 국힘 43.2% 대 민주 41.7%…49주 만 역전 43 매뉴물있뉴 24/02/20 2379 0
29295 정치박지현, ‘온라인 성희롱 발언 논란’ 최강욱 징계 논의 착수 4 danielbard 22/05/02 2379 0
32882 정치계속 부인하더니… 軍 “北 무인기에 용산 뚫렸다” 뒤늦게 실토 26 매뉴물있뉴 23/01/05 2379 0
29812 정치조국, 가세연에 승소.."조 전 장관 일가에 5800만원 배상하라" 8 empier 22/06/10 2379 0
18038 사회언론 신뢰도 조사해보니…커지는 '유튜브 영향력' 2 atelier 20/01/02 2379 0
11645 국제정부 "폭우피해 일본에 100만 달러 인도적 지원" April_fool 18/07/20 2379 0
33164 스포츠'사자왕' 즐라탄, 41세 나이로 은퇴한다...AC밀란 엠버서더 예정 3 danielbard 23/01/24 2379 1
12947 스포츠이유있었던 여자배구 '고베 참사'…세계선수권 직전 성추행 사건 터져!! 2 알겠슘돠 18/10/11 2379 0
923 기타[단독] DJ DOC ‘수취인분명’ 음원공개 2 Credit 16/11/25 2379 0
5023 경제. 5 kpark 17/09/02 2379 0
16044 정치평화당, 사실상 분당 수순..非당권파 "제3지대 신당 창당" 4 The xian 19/07/17 237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