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1/15 11:10:26
Name   카르스
File #1   AKR20231114147400002_01_i_P4.jpg (222.9 KB), Download : 0
Subject   '그냥 쉬었다'는 청년 57%, 경력개발 준비 중인 이직자


조사 결과 '쉬었음' 청년은 직장경험 여부(취업준비/이직형), 적극적인 구직 의지가 있는지(소극/적극형) 등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이중 직장경험이 있고 구직 의욕도 높은 이직-적극형이 57%로 과반을 차지했다. 직장경험은 있지만 구직 의욕이 낮은 이직-소극형(21%)은 두 번째로 많았다.
직장경험이 없고 구직의욕도 낮은 취준-소극형은 14%, 직장 경험은 없지만 구직 의욕이 높은 취준-적극형은 8%를 차지했다.
심층 면접 대상은 아니었지만 질병·장애, 가족 돌봄 등으로 일자리를 갖지 못하는 취약형도 쉬었음 청년 유형 중 하나로 포함됐다.

청년 실업률이 높았던 과거에는 취업에 거듭 실패해 구직 활동을 중단하는 '쉬었음' 청년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직 과정의 '쉬었음'이 많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실제로 정부 분석에 따르면 지난 8월 '쉬었음' 청년 중 74.6%는 직장 경험이 있고 66.4%는 구체적인 구직 계획도 있었다.

'쉬었음' 청년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32.5%), '다음 일 준비를 위해'(23.9%) 쉰 비중이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23만5천명)이 여성(17만9천명)보다 더 많았고 올해 1∼9월에는 여성 중심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령은 20대 후반이 20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20대 초반(18만1천명), 10대 후반(3만1천명) 등 순이었다. 올해에는 20대 초반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학력은 고졸 이하(25만6천명)가 대졸 이상(9만7천명)보다 많았지만 올해 1∼9월에는 대졸 이상이 2만8천명 늘며 가장 많이 증가했다.

정부는 경력 개발을 위한 긍정적 '쉬었음'보다는 직장 내 갈등에 따른 퇴사자나 퇴사 이후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는 '쉬었음' 청년을 상대로 정책 지원을 할 계획이다.

(중략)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114147400002?input=1195m
==========================================================================
사실이라면 그나마 다행이로군요.
첫 일자리조차 구하지 못했거나, 아예 구직을 포기하는 부류가 쉬었음의 다수였다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겠지만, 
직장 경험도 있고 구직 의욕도 높은 부류가 다수라면야....

청년 고용률이 상승했는데(올해는 기저효과, 불경기 등으로 하락) 쉬었음이 많아지는 이상한 현상이라 이유가 궁금하긴 했습니다.
이직 증가도 쉬었음 증가 원인의 가설 중 하나였는데, 그 가설대로 가는군요.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632 정치여야 원구성 협상 결렬..통합당 본회의 불참, 민주당 본회의 강행 13 다키스트서클 20/06/12 2375 0
34458 사회출근길 본인 차 안에서 숨져있었다…유서도 없이 떠난 공무원 6 탈퇴 23/05/01 2375 0
672 기타2종보통 '장롱 7년 무사고' 1종보통 받기 어려워진다 1 April_fool 16/11/11 2375 0
25763 사회"사망자가 구직자로 둔갑" 취업 실적 부풀리기 7 조지 포먼 21/09/15 2375 0
173 기타무심코 뱉었다 한방에 '훅'.. 막말-실언의 치명적 부메랑 1 님니리님님 16/09/21 2375 0
30646 정치대통령 관저 공사, 김건희 여사 후원업체가 맡았다 19 곰곰이 22/08/02 2375 0
37068 국제“여권 안 챙겼는데”…겨울 폭풍에 英 국내선, 다른 나라 착륙 5 Beer Inside 24/01/24 2375 1
724 기타靑, '질서있는 퇴진론'에 부정적…"헌법 정신 맞지 않아" 14 jsclub 16/11/15 2375 0
14293 국제"시진핑 경제, 6·7·8 사수 못하면 심각한 위험 빠진다" 파이어 아벤트 19/01/15 2375 0
19671 기타전자팔찌 인권문제로 결론 못냈네요.. 1 알료사 20/04/07 2375 0
27096 사회'대장동 의혹' 김문기 성남도공 개발1처장 숨진채 발견 25 구박이 21/12/21 2375 0
27356 정치청. '집값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확신에 가까운 생각' 15 moqq 22/01/04 2375 0
15073 사회한솔제지 장항공장서 기계 끼임사고…20대 직원 숨져 1 고고루고고 19/04/04 2375 0
27364 의료/건강李 탈모약 공약 논의에 청년들 열광 “이재명 심는다” 8 Groot 22/01/04 2375 0
14567 정치한국당 "북미회담, '핵폐기 아닌 동결 회담' 안돼"…방미단 출국 7 CONTAXS2 19/02/10 2375 1
30476 사회인터넷 기사에 '지린다' 댓글…헌재 "모욕죄 아냐" 16 the 22/07/21 2374 2
26382 정치곽상도 "아들 퇴직금 50억 추징보전 풀어달라" 법원에 불복 항고 11 과학상자 21/11/01 2374 0
31766 국제머스크가 푸틴과 통화해 우크라전 논의?…진실공방 비화 5 다군 22/10/12 2374 0
35614 사회허벅지에 상처난 채 사망… ‘잠들면 돌로 허벅지 찍기’ 벌칙 때문이었다 5 swear 23/08/01 2374 0
37153 사회'허위 미투' 주장한 시인 박진성 징역 1년 8개월 확정 7 구밀복검 24/02/06 2374 0
27180 정치윤석열 40.4% 이재명 39.7%..격차 5.7%p→0.7%p[리얼미터] 22 Regenbogen 21/12/27 2374 0
20021 사회메리츠금융, 임직원 긴급재난지원금 자발적 기부 5 다군 20/04/29 2374 0
19769 정치통합당 선대위, '세월호 막말' 차명진 제명 추진 결정 19 다키스트서클 20/04/13 2374 0
13117 의료/건강심근경색 1222명 ‘응급실 뺑뺑이’ 6 메리메리 18/10/26 2374 0
30013 경제기아 내수용 전기차에 중국산 배터리 첫 장착 7 하우두유두 22/06/22 237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