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0/30 14:34:25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 낡은 선진국 이탈리아 따라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7922?cds=news_media_pc

-한국 정치도 포퓰리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걸까.

“정당이 ‘먹고사는 문제’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내세울 수 있는 게 이데올로기 투쟁 같은 포퓰리즘적 요소뿐이다. 지금 보수가 정체성 논쟁을 벌이는 까닭은 그것밖에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재정, 사회, 복지, 노동시장, 이민 등 굵직한 과제를 해결할 역량도 의지도 없다. 대신 팟캐스트, 유튜브 등 인터넷 미디어에 기반한 포퓰리즘형 정치가 급격히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이전 정부에서 ‘토착왜구’ 등 역사 논쟁을 앞세웠던 것도 ‘먹고사는 문제’에서 내세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정치질서의 기원을 ‘노무현 질서’로 명명했다. ‘노무현 질서’란 무엇인가.

“지금 한국의 정치질서, 정당·정치인들의 경쟁방식, 지지자 구성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졌다. 정당이 플랫폼 또는 장터 역할을 하고 유력 정치인이 정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중을 끌어모으는 형태의 민주주의다. 결국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 ‘노무현 질서’라고 이름붙였다. 노무현 질서의 또 다른 한 축은 수출지향 경제의 질적 고도화다. 2000년대 들어 삼성,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이 질적 성장전략을 쓰면서 이들의 독주가 시작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성공에 기반한 상위 중산층 그룹이 형성됐고, 이들에게 맞는 생활양식도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대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집값 담합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됐다. 황지수 서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대졸자 부모와 고졸자 부모의 자녀 양육시간에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1980~1990년생 자녀를 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상위 중산층들에게 나타났던 ‘집약적 양육’이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 ‘노무현 질서’가 무너졌다고 했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과거에는 중산층들이 수혜를 볼 만한 복지의 영역이 꽤 있었다면, 지금은 이 또한 점점 포화상태가 됐고, 중산층이 증세를 꺼리면서 복지 정치도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지지연합을 유지하지 못했다.”

-지지연합이 점점 와해되면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5~10년 단위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구조적 스윙보터’가 됐다고 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결과를 단적인 예로 들었다.

“경기도 시·군·구 기초의회의 민주당 의석 점유율은 2006년 28.3%에서 2018년 64.6%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 선거에선 51.2%로 줄었다. 호남 출신 이주민과 서울에 거주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화이트칼라가 이탈했다. 경기도 선거 결과는 노무현 정부 시기 형성된 정치질서가 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산과 노동시장에서 확대된 불평등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구조 변화, 즉 선진국 진입에 따른 결과다. 민주당의 핵심인 상위 중산층이 이전과 달리 다른 사회계층의 지지를 얻기 힘들어진 건 두 집단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한가지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것이 일정부분 공감이 가는 시각이라면 더 쏠쏠하구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738 정치추 부총리 "임금 인상 자제해 달라" 20 moqq 22/06/05 2373 1
3888 경제닭값 폭락에도 3000억 시설 투자 나선 '닭고기 재벌' 하림 3 알겠슘돠 17/07/07 2373 0
20784 사회"밖에 보이는거 말해봐"..경찰 기지로 납치·감금 여성 구출 3 토끼모자를쓴펭귄 20/06/25 2373 6
36660 스포츠23년간 헌신한 베테랑인데…" 뜻밖의 김강민 한화행, SSG 영구결번+은퇴식 고민 어떻게 되나 3 활활태워라 23/11/23 2373 0
7754 문화/예술성남서 '신해철 거리' 준공식 8일 열린다 Credit 18/01/30 2373 0
4180 사회[여고·남고·공학론] 남학생 여학생, 살짝 어긋난 판타지 12 벤젠 C6H6 17/07/24 2373 0
1112 정치탄핵 표결 시간, 내일(9일) 오후 2시 예정… 민주당·국민의당 부결시 의원직 총사퇴 예고 7 하니n세이버 16/12/08 2373 0
5725 문화/예술전남 지자체 14곳 영화관 없다..전국 66곳 1 알겠슘돠 17/10/10 2373 0
8030 사회집필은 제자가 했는데 저자에 교수 이름만?..명의의 민낯 4 Credit 18/02/11 2373 0
863 기타[채널A단독]최태민, 주민등록엔 1912년..비석엔 1918년생 2 하니n세이버 16/11/22 2373 0
9828 경제'이건희→이재용' 삼성 동일인 변경..뭐가 달라지나 알겠슘돠 18/05/01 2373 0
28522 정치선관위원장 "사전투표 혼란에 책임 통감…투·개표 관리 최선" 7 사십대독신귀족 22/03/08 2373 0
9835 정치한국당 "김정은이 대한민국 차기 지도자 1순위 될 지경" 2 tannenbaum 18/05/01 2373 0
33390 경제가로수길의 몰락 11 구밀복검 23/02/10 2373 0
2935 정치[시사in] 대선 토론에서 다당제 정치의 예고편 봤다 13 moira 17/05/05 2373 6
120 기타MBC 예능 개편, '진짜사나이'·'능력자들' 폐지 Toby 16/09/13 2373 0
7554 스포츠'3년 자격정지' 안우진 이의신청 기각, 넥센도 징계 준비 알겠슘돠 18/01/19 2373 0
388 기타KBL 신인 드래프트 주긴완, 2번의 도전 끝에 ‘마지막 지명’ Toby 16/10/19 2373 0
3205 스포츠한화 김성근 감독 전격 경질, 이상군 대행체제 13 알겠슘돠 17/05/23 2373 0
397 기타최측근의 증언 "최순실, 대통령 연설문 고치기도" 2 NF140416 16/10/20 2373 0
410 기타'최순실·차은택 연결고리 역할'.. 키맨 떠오른 고영태 3 Credit 16/10/21 2373 0
2975 정치文대통령, 靑관저 시설 문제로 당분간 홍은동 사저 머물기로 6 Beer Inside 17/05/10 2373 0
14248 사회상사보다 무서운 너..육아휴직 아빠는 오늘도 '사랑과 전쟁' 2 grey 19/01/11 2373 0
943 경제20·30대, 돈 안 쓰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 아파트 산다 NF140416 16/11/28 2373 0
1711 IT/컴퓨터트럼프, '망중립성 죽이기' 본격 시작되나 1 NF140416 17/01/24 237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