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0/30 14:34:25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 낡은 선진국 이탈리아 따라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7922?cds=news_media_pc

-한국 정치도 포퓰리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걸까.

“정당이 ‘먹고사는 문제’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내세울 수 있는 게 이데올로기 투쟁 같은 포퓰리즘적 요소뿐이다. 지금 보수가 정체성 논쟁을 벌이는 까닭은 그것밖에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재정, 사회, 복지, 노동시장, 이민 등 굵직한 과제를 해결할 역량도 의지도 없다. 대신 팟캐스트, 유튜브 등 인터넷 미디어에 기반한 포퓰리즘형 정치가 급격히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이전 정부에서 ‘토착왜구’ 등 역사 논쟁을 앞세웠던 것도 ‘먹고사는 문제’에서 내세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정치질서의 기원을 ‘노무현 질서’로 명명했다. ‘노무현 질서’란 무엇인가.

“지금 한국의 정치질서, 정당·정치인들의 경쟁방식, 지지자 구성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졌다. 정당이 플랫폼 또는 장터 역할을 하고 유력 정치인이 정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중을 끌어모으는 형태의 민주주의다. 결국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 ‘노무현 질서’라고 이름붙였다. 노무현 질서의 또 다른 한 축은 수출지향 경제의 질적 고도화다. 2000년대 들어 삼성,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이 질적 성장전략을 쓰면서 이들의 독주가 시작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성공에 기반한 상위 중산층 그룹이 형성됐고, 이들에게 맞는 생활양식도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대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집값 담합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됐다. 황지수 서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대졸자 부모와 고졸자 부모의 자녀 양육시간에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1980~1990년생 자녀를 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상위 중산층들에게 나타났던 ‘집약적 양육’이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 ‘노무현 질서’가 무너졌다고 했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과거에는 중산층들이 수혜를 볼 만한 복지의 영역이 꽤 있었다면, 지금은 이 또한 점점 포화상태가 됐고, 중산층이 증세를 꺼리면서 복지 정치도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지지연합을 유지하지 못했다.”

-지지연합이 점점 와해되면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5~10년 단위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구조적 스윙보터’가 됐다고 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결과를 단적인 예로 들었다.

“경기도 시·군·구 기초의회의 민주당 의석 점유율은 2006년 28.3%에서 2018년 64.6%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 선거에선 51.2%로 줄었다. 호남 출신 이주민과 서울에 거주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화이트칼라가 이탈했다. 경기도 선거 결과는 노무현 정부 시기 형성된 정치질서가 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산과 노동시장에서 확대된 불평등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구조 변화, 즉 선진국 진입에 따른 결과다. 민주당의 핵심인 상위 중산층이 이전과 달리 다른 사회계층의 지지를 얻기 힘들어진 건 두 집단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한가지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것이 일정부분 공감이 가는 시각이라면 더 쏠쏠하구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42 기타르노삼성엔 있고 쉐보레엔 없는 것, 택시 4 알겠슘돠 18/03/01 2349 0
1945 사회소설가 장강명 인터뷰 5 기아트윈스 17/02/11 2349 2
26777 의료/건강거리두기 4단계 준하는 조치 발표될 듯…"집합금지도 검토중" 2 하우두유두 21/12/02 2349 1
33689 국제더 내놓으라는 일본‥'지소미아' '초계기' 줄줄이 양보하나 25 오호라 23/03/08 2349 1
33434 국제우크라 “탄약·포탄 바닥나고 있다”…러 소모전 전략에 우려 16 오호라 23/02/14 2349 0
1947 정치세상이 나빠질수록 기뻐하는 사람들 8 삼공파일 17/02/11 2349 4
5025 의료/건강햄버거병에 집단장염까지..맥도날드, 불고기버거 판매 중단(종합) 1 벤젠 C6H6 17/09/02 2349 0
20130 정치여·야 과거사법 합의 3 메오라시 20/05/07 2349 5
9126 사회돈 빼앗고 때리고..친구를 노예처럼 부린 변호사 2 맥주만땅 18/04/05 2349 0
13479 게임도전 택한 김정수 전 IG 감독, 코치로 담원 게이밍 입단 Aftermath 18/11/22 2349 0
8104 경제中 '반도체 굴기' 속도..17조원 반도체 투자사 세운다 삼성갤팔 18/02/14 2349 0
14248 사회상사보다 무서운 너..육아휴직 아빠는 오늘도 '사랑과 전쟁' 2 grey 19/01/11 2349 0
7086 의료/건강세계 최고령 추정 브라질 남성 129세로 사망…기네스 등재 안돼 구밀복검 17/12/22 2349 0
11441 경제내년 최저임금, 10.9% 오른 8천350원..인상 속도조절 알겠슘돠 18/07/14 2349 1
34993 IT/컴퓨터데스크탑 GPU, 10년내 최저 판매량 기록해 6 Beer Inside 23/06/09 2349 0
9650 기타'미로' 인천 부평역사 건물 내 내비게이션 지도 만든다 2 알겠슘돠 18/04/23 2349 0
32434 정치기재부의 허술한 종부세 자료 검증 없이 인용하기 바쁜 우리 언론 12 오호라 22/12/01 2349 0
19635 사회"부잣집에 라면·김 왜 주나"..자가격리자 생활필수품 지원 때아닌 논란 7 The xian 20/04/05 2349 4
32180 과학/기술카이스트(KAIST) 병원 생긴다…원자력병원과 통합 추진 27 the 22/11/10 2349 0
36534 스포츠김하성 메이져리그 골드글러브 수상 12 4월이야기 23/11/06 2349 3
14775 정치여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황교안 17.9%, 유시민 13.2%) 21 곰곰이 19/03/05 2349 0
1213 정치대통령 체면 지키려 인천 돈 1000억 날려 3 NF140416 16/12/16 2349 0
32962 경제“너만 알고 있어” 고려대 출신 고교 동창의 땅 투자 권유 의미 7 Beer Inside 23/01/10 2349 1
7363 정치양정철 “나는 대통령에게 양날의 칼…곁에 두면 편하나 시스템 깨져” 1 커피최고 18/01/06 2349 0
15558 스포츠삼성 수비페이퍼 논란? KBO, "일단 금지...단장회의로 최종 결정" 10 손금불산입 19/05/29 234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