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0/30 14:34:25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 낡은 선진국 이탈리아 따라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7922?cds=news_media_pc

-한국 정치도 포퓰리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걸까.

“정당이 ‘먹고사는 문제’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내세울 수 있는 게 이데올로기 투쟁 같은 포퓰리즘적 요소뿐이다. 지금 보수가 정체성 논쟁을 벌이는 까닭은 그것밖에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재정, 사회, 복지, 노동시장, 이민 등 굵직한 과제를 해결할 역량도 의지도 없다. 대신 팟캐스트, 유튜브 등 인터넷 미디어에 기반한 포퓰리즘형 정치가 급격히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이전 정부에서 ‘토착왜구’ 등 역사 논쟁을 앞세웠던 것도 ‘먹고사는 문제’에서 내세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정치질서의 기원을 ‘노무현 질서’로 명명했다. ‘노무현 질서’란 무엇인가.

“지금 한국의 정치질서, 정당·정치인들의 경쟁방식, 지지자 구성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졌다. 정당이 플랫폼 또는 장터 역할을 하고 유력 정치인이 정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중을 끌어모으는 형태의 민주주의다. 결국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 ‘노무현 질서’라고 이름붙였다. 노무현 질서의 또 다른 한 축은 수출지향 경제의 질적 고도화다. 2000년대 들어 삼성,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이 질적 성장전략을 쓰면서 이들의 독주가 시작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성공에 기반한 상위 중산층 그룹이 형성됐고, 이들에게 맞는 생활양식도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대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집값 담합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됐다. 황지수 서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대졸자 부모와 고졸자 부모의 자녀 양육시간에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1980~1990년생 자녀를 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상위 중산층들에게 나타났던 ‘집약적 양육’이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 ‘노무현 질서’가 무너졌다고 했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과거에는 중산층들이 수혜를 볼 만한 복지의 영역이 꽤 있었다면, 지금은 이 또한 점점 포화상태가 됐고, 중산층이 증세를 꺼리면서 복지 정치도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지지연합을 유지하지 못했다.”

-지지연합이 점점 와해되면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5~10년 단위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구조적 스윙보터’가 됐다고 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결과를 단적인 예로 들었다.

“경기도 시·군·구 기초의회의 민주당 의석 점유율은 2006년 28.3%에서 2018년 64.6%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 선거에선 51.2%로 줄었다. 호남 출신 이주민과 서울에 거주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화이트칼라가 이탈했다. 경기도 선거 결과는 노무현 정부 시기 형성된 정치질서가 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산과 노동시장에서 확대된 불평등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구조 변화, 즉 선진국 진입에 따른 결과다. 민주당의 핵심인 상위 중산층이 이전과 달리 다른 사회계층의 지지를 얻기 힘들어진 건 두 집단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한가지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것이 일정부분 공감이 가는 시각이라면 더 쏠쏠하구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065 국제VOA "北 석탄 운반의혹 선박 포항 머물고 있어" 1 수박이 18/08/07 2350 0
30756 정치박순애 교육장관 주내 교체 가닥 9 매뉴물있뉴 22/08/08 2350 0
3624 기타테슬라 오토파일럿 모드 사망사고, 운전자 과실로 판명 6 vanta 17/06/21 2350 0
6455 스포츠F3 마카오 그랑프리 - 올해 가장 극적인 모터레이스 1 Hong10Kong20 17/11/21 2350 1
30777 사회이 폭우에…야외서 철근 절단 작업한 50대男, 감전사 swear 22/08/08 2350 1
4670 기타대만 총통부에 친중국 괴한 일본도 휘두르며 "통일 완수" 11 조홍 17/08/19 2350 0
32064 정치용산署, 참사 사흘전 “인파 몰려 사고 우려” 또 다른 보고서 올렸다 8 매뉴물있뉴 22/11/02 2350 1
36673 정치노동당 당수 이름 잘못 적은 대통령실 7 R세제곱인생 23/11/25 2350 0
6982 의료/건강서남대 폐교로 의대 정원 지각변동..지역별 '동상이몽' 알겠슘돠 17/12/17 2350 0
4169 스포츠이제는 기아 불팬이 힘을 내줄때... 1 사나남편 17/07/23 2350 0
18249 국제중국 '우한 폐렴' 4명 추가 발생…확진 45명으로 늘어(종합) 4 다군 20/01/19 2350 0
3662 사회피해자가 가해자 치료비 모두 부담..이상한 보험 약관 4 알겠슘돠 17/06/23 2350 0
32079 사회"北, 하루 7000만 달러 썼다"…1년 쌀 살 돈 미사일로 날려 21 매뉴물있뉴 22/11/03 2350 1
31827 정치尹대통령 "카카오, 사실상 국가기간 통신망..독과점 개입 필요" 7 Beer Inside 22/10/17 2350 0
33876 정치尹대통령, 민주당 설득 자처 日야당 거론하며 "부끄러웠다" 12 오호라 23/03/22 2350 0
1622 경제저소득층 살아야 할 공공임대주택에 연봉 1억 이상 수두룩 NF140416 17/01/18 2350 0
3673 스포츠[GSL 결승] 고병재, 6년 6개월만에 6번째 결승 어윤수 꺾고 첫 우승(종합) 6 Han Solo 17/06/24 2350 0
9313 사회후진 잘못하면 낭떠러지..위험천만 산복도로 옥상주차장 1 알겠슘돠 18/04/12 2350 0
35169 사회맘카페 "보수 찍었는데 뒤통수"…강남·목동·분당 與의원 난감 10 뉴스테드 23/06/22 2350 0
36707 외신헨리 키신저 죽다 5 코리몬테아스 23/11/30 2350 0
9573 정치[한국갤럽]文대통령 지지율, '김기식·드루킹 파문'에도 70% 6 tannenbaum 18/04/20 2350 1
11878 경제 폭염 속 탈원전 저항, 더 끈끈해진 '삼각동맹' 알겠슘돠 18/07/30 2350 0
28522 정치선관위원장 "사전투표 혼란에 책임 통감…투·개표 관리 최선" 7 사십대독신귀족 22/03/08 2350 0
33387 정치安측, ‘컷오프 김기현 1위’ 보도 반발…“중간집계 유출자 제명해야” 3 오호라 23/02/09 2350 0
5487 사회그의 이주와, 노동과, 이산으로 지탱되는 ‘우리’ 6 호라타래 17/09/25 235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