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0/30 14:34:25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 낡은 선진국 이탈리아 따라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7922?cds=news_media_pc

-한국 정치도 포퓰리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걸까.

“정당이 ‘먹고사는 문제’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내세울 수 있는 게 이데올로기 투쟁 같은 포퓰리즘적 요소뿐이다. 지금 보수가 정체성 논쟁을 벌이는 까닭은 그것밖에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재정, 사회, 복지, 노동시장, 이민 등 굵직한 과제를 해결할 역량도 의지도 없다. 대신 팟캐스트, 유튜브 등 인터넷 미디어에 기반한 포퓰리즘형 정치가 급격히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이전 정부에서 ‘토착왜구’ 등 역사 논쟁을 앞세웠던 것도 ‘먹고사는 문제’에서 내세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정치질서의 기원을 ‘노무현 질서’로 명명했다. ‘노무현 질서’란 무엇인가.

“지금 한국의 정치질서, 정당·정치인들의 경쟁방식, 지지자 구성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졌다. 정당이 플랫폼 또는 장터 역할을 하고 유력 정치인이 정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중을 끌어모으는 형태의 민주주의다. 결국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 ‘노무현 질서’라고 이름붙였다. 노무현 질서의 또 다른 한 축은 수출지향 경제의 질적 고도화다. 2000년대 들어 삼성,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이 질적 성장전략을 쓰면서 이들의 독주가 시작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성공에 기반한 상위 중산층 그룹이 형성됐고, 이들에게 맞는 생활양식도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대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집값 담합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됐다. 황지수 서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대졸자 부모와 고졸자 부모의 자녀 양육시간에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1980~1990년생 자녀를 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상위 중산층들에게 나타났던 ‘집약적 양육’이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 ‘노무현 질서’가 무너졌다고 했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과거에는 중산층들이 수혜를 볼 만한 복지의 영역이 꽤 있었다면, 지금은 이 또한 점점 포화상태가 됐고, 중산층이 증세를 꺼리면서 복지 정치도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지지연합을 유지하지 못했다.”

-지지연합이 점점 와해되면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5~10년 단위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구조적 스윙보터’가 됐다고 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결과를 단적인 예로 들었다.

“경기도 시·군·구 기초의회의 민주당 의석 점유율은 2006년 28.3%에서 2018년 64.6%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 선거에선 51.2%로 줄었다. 호남 출신 이주민과 서울에 거주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화이트칼라가 이탈했다. 경기도 선거 결과는 노무현 정부 시기 형성된 정치질서가 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산과 노동시장에서 확대된 불평등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구조 변화, 즉 선진국 진입에 따른 결과다. 민주당의 핵심인 상위 중산층이 이전과 달리 다른 사회계층의 지지를 얻기 힘들어진 건 두 집단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한가지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것이 일정부분 공감이 가는 시각이라면 더 쏠쏠하구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180 과학/기술카이스트(KAIST) 병원 생긴다…원자력병원과 통합 추진 27 the 22/11/10 2349 0
1213 정치대통령 체면 지키려 인천 돈 1000억 날려 3 NF140416 16/12/16 2349 0
32962 경제“너만 알고 있어” 고려대 출신 고교 동창의 땅 투자 권유 의미 7 Beer Inside 23/01/10 2349 1
7363 정치양정철 “나는 대통령에게 양날의 칼…곁에 두면 편하나 시스템 깨져” 1 커피최고 18/01/06 2349 0
23498 사회방상훈 조선일보 사장 "악이라는 오명 씌워" 정권 작심 비판 15 empier 21/03/05 2349 0
28363 사회"우리 아이 접종 어떡하나요".. 재택치료 아이 사망에 부모들 발 동동 6 하우두유두 22/02/25 2349 0
3539 방송/연예지창욱X김소현, '너의 이름은.' 더빙 맡는다 5 알겠슘돠 17/06/16 2349 0
5083 정치10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추석 열흘 '황금연휴' 확정 1 알겠슘돠 17/09/05 2349 0
18910 사회‘한 달 살기’ 그 후 1년 대림동을 다시 가다 4 자공진 20/02/26 2349 13
35551 정치보수 학부모들, 인권 책 117권 금서 요청…‘위안부’ 그림책도 13 곰곰이 23/07/25 2349 1
35552 정치외교부, 성과 최우수 개방직 인사에 돌연 해직 통보 논란 11 R세제곱인생 23/07/25 2349 2
739 기타"한국교회만 걷는 '십일조' 없애야 하는 이유가 더 많죠" 4 NF140416 16/11/16 2349 0
9965 기타"고문 뒤 석방 전날 성폭행" .. 5월항쟁 38년만의 미투 알겠슘돠 18/05/08 2349 0
26869 의료/건강코로나 발생18세 이하 10만명당 210.1명…167.3명 성인 추월 3 토비 21/12/09 2349 0
7166 기타직장인 3명중 1명 "가상화폐 투자"..."이익봤다" 80.3% 4 조홍 17/12/27 2349 0
2855 경제"맞벌이 가정 자녀는 어디로" 황금연휴 아닌 '황당연휴' 2 알겠슘돠 17/04/26 2348 0
3122 정치美법무부 '러 스캔들' 수사 특검 결정…'트럼프 운명' 주목(종합) 7 피아니시모 17/05/18 2348 0
30771 정치尹 '도어스테핑' 돌발상황..기자가 갑자기 "대통령님, 파이팅!" 외쳐 13 매뉴물있뉴 22/08/08 2348 1
6455 스포츠F3 마카오 그랑프리 - 올해 가장 극적인 모터레이스 1 Hong10Kong20 17/11/21 2348 1
4670 기타대만 총통부에 친중국 괴한 일본도 휘두르며 "통일 완수" 11 조홍 17/08/19 2348 0
4928 스포츠이승우, 이탈리아 1부리그 베로나행 확정…완전 이적 2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8/30 2348 0
7490 사회"죄인이 무슨 할 말.." 사상초유 압수수색 충북소방 '침통' 12 Credit 18/01/15 2348 1
2372 스포츠슈팅 3개에 3실점, 서울팬은 자리를 떴다 김피곤씨 17/03/16 2348 0
8518 사회'눈송이 소년' 울린 중국.. 돕겠다더니 '나몰라라' 이울 18/03/09 2348 0
28744 정치국힘 '지선' 내홍…이준석 "김재원,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려 해" 6 Picard 22/03/24 2348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