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10/30 14:34:25
Name   뉴스테드
Subject   “한국, 낡은 선진국 이탈리아 따라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57922?cds=news_media_pc

-한국 정치도 포퓰리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걸까.

“정당이 ‘먹고사는 문제’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내세울 수 있는 게 이데올로기 투쟁 같은 포퓰리즘적 요소뿐이다. 지금 보수가 정체성 논쟁을 벌이는 까닭은 그것밖에 선택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재정, 사회, 복지, 노동시장, 이민 등 굵직한 과제를 해결할 역량도 의지도 없다. 대신 팟캐스트, 유튜브 등 인터넷 미디어에 기반한 포퓰리즘형 정치가 급격히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이전 정부에서 ‘토착왜구’ 등 역사 논쟁을 앞세웠던 것도 ‘먹고사는 문제’에서 내세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 정치질서의 기원을 ‘노무현 질서’로 명명했다. ‘노무현 질서’란 무엇인가.

“지금 한국의 정치질서, 정당·정치인들의 경쟁방식, 지지자 구성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졌다. 정당이 플랫폼 또는 장터 역할을 하고 유력 정치인이 정당에 의존하지 않고 대중을 끌어모으는 형태의 민주주의다. 결국은 노무현이라는 인물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 ‘노무현 질서’라고 이름붙였다. 노무현 질서의 또 다른 한 축은 수출지향 경제의 질적 고도화다. 2000년대 들어 삼성, 현대차 등 주요 대기업들이 질적 성장전략을 쓰면서 이들의 독주가 시작됐다. 그 결과 대기업의 성공에 기반한 상위 중산층 그룹이 형성됐고, 이들에게 맞는 생활양식도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대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집값 담합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됐다. 황지수 서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2000년대 초중반부터 대졸자 부모와 고졸자 부모의 자녀 양육시간에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1980~1990년생 자녀를 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상위 중산층들에게 나타났던 ‘집약적 양육’이 한국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 ‘노무현 질서’가 무너졌다고 했다.

“한국이 선진국에 가까워질수록 ‘노무현 질서’가 안고 있는 모순은 첨예해진다. 한국사회가 선진국이 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 유권자들의 이해관계 변화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지의 변화 등이 기존 정당들의 기반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을 예로 들면, 민주당은 대도시 상위 중산층과 호남 출신 저소득층이 핵심 지지층이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불평등이 심화했고, 이에 따라 두 지지층의 이해관계가 완전히 벌어지면서 이 결합은 유지될 수 없게 됐다. 단순히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분배·재분배 기제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과거 민주당 정부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무상급식’ 같은 복지 정치의 비전이 있었다. 복지 정치의 수혜층을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사회복지의 주된 수혜층은 중산층이다. ‘복지 정치’라는 기제를 바탕으로 지지연합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과거에는 중산층들이 수혜를 볼 만한 복지의 영역이 꽤 있었다면, 지금은 이 또한 점점 포화상태가 됐고, 중산층이 증세를 꺼리면서 복지 정치도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기존의 지지연합을 유지하지 못했다.”

-지지연합이 점점 와해되면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5~10년 단위로 지지정당을 바꾸는 ‘구조적 스윙보터’가 됐다고 했다. 2022년 6월 지방선거 결과를 단적인 예로 들었다.

“경기도 시·군·구 기초의회의 민주당 의석 점유율은 2006년 28.3%에서 2018년 64.6%로 꾸준히 늘었으나 2022년 선거에선 51.2%로 줄었다. 호남 출신 이주민과 서울에 거주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화이트칼라가 이탈했다. 경기도 선거 결과는 노무현 정부 시기 형성된 정치질서가 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됐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산과 노동시장에서 확대된 불평등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한국경제의 구조 변화, 즉 선진국 진입에 따른 결과다. 민주당의 핵심인 상위 중산층이 이전과 달리 다른 사회계층의 지지를 얻기 힘들어진 건 두 집단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한가지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것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것이 일정부분 공감이 가는 시각이라면 더 쏠쏠하구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692 사회"19∼34세 고용·소득 양극화 심화…청년층 '공정론' 집중 반영" 4 다군 21/03/22 2378 0
37261 정치정부 “국립대 의대 교수 1000명 증원 협의 중” 15 the 24/02/23 2378 0
3218 기타IS추종 무장단체, 필리핀 도시 점령…정부는 계엄령 선포 1 April_fool 17/05/24 2378 0
12181 의료/건강다섯 살 아들 죽었는데, 병원은 사고 보고조차 자율 알겠슘돠 18/08/13 2378 0
406 기타"근로계약서 쓰자고 했더니"..출근 이틀만에 "나가라" 14 NF140416 16/10/20 2378 0
663 기타법원이 또 길 열었다, 민중총궐기 청와대 행진 가능 7 바코드 16/11/10 2378 1
27287 사회내년 병사 봉급 11.1% 오른다…"최저임금 50% 수준" 9 swear 21/12/31 2378 1
2457 정치검찰, 박근혜 前대통령 조사 11시 40분 종료…14시간 조사(속보) 2 베누진A 17/03/21 2378 0
30111 방송/연예'동네 한바퀴' 김영철 후임, 씨름선수 출신 이만기 낙점 3 swear 22/06/29 2378 0
26796 정치김용민 "이재명 도운 與 SNS 순위"에 박용진 "이건 아닌 듯" 23 구글 고랭이 21/12/03 2378 0
23730 정치북, 함남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2발 발사…450㎞ 비행(종합2보) 4 다군 21/03/25 2378 0
21942 사회'가족 잔치' 된 미술대전…심사위원 아들·딸·부인 모두 입상 4 다군 20/10/05 2378 0
956 정치박지원 "친문, 탄핵 앞두고 뭐하자는 건지…" 4 하니n세이버 16/11/28 2378 0
2492 문화/예술웹툰서비스 13주년 네이버, '웹툰 한류' 꽃 피운다 기아트윈스 17/03/24 2378 0
12221 IT/컴퓨터인천, 'e스포츠 도시' 되나? 메리메리 18/08/14 2378 0
1983 방송/연예‘엄앵란 논란’ 정이랑, ‘SNL9’ 복귀…이세영 미정 베누진A 17/02/15 2378 0
448 기타1인미디어-긴급속보.백남기 부검영장 집행시도 11 Credit 16/10/25 2378 0
5832 스포츠"엄마가 못가게 해서"…사직야구장 폭발물 허위글 중학생 검거 12 tannenbaum 17/10/16 2378 0
209 기타검찰, 롯데 신동빈 회장 구속영장 청구 1 April_fool 16/09/26 2378 0
979 정치국민의당 김동철 "朴 조기퇴진 한다고 국익에 도움되냐?" 2 Vinnydaddy 16/11/30 2378 0
474 기타SM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한국인 최초 선구자적 글로벌 혁신가상 수상 2 elanor 16/10/28 2378 0
9946 의료/건강병상 간격 '1m룰' 앞두고.. 속병 난 중소병원 알겠슘돠 18/05/07 2378 0
22237 방송/연예배우 송재호, 오늘(7일) 숙환으로 별세 6 swear 20/11/07 2378 0
17887 사회최성해 동양대 총장, 학위 5개중 3개 가짜였다…교육부 해임요구 12 다군 19/12/19 2378 0
8937 경제서초 510만원, 중구 345만원..서울 자치구별 월소득 비교해보니 이울 18/03/29 2378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