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9/11 16:50:51수정됨
Name   카르스
Subject   "韓 장시간 근로 국가 아냐" 美와 격차 주당 0.6시간
1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근로시간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임금근로자들의 연평균 실제 근로시간은 지난 20여년간 500시간 이상 감소, OECD 국가 중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전체 임금근로자 1인당 연간 실근로시간은 21년 전인 2001년 2458시간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904시간으로 554시간 짧아졌다. 같은 기간 OECD 평균 실근로시간은 1767시간에서 1719시간으로 줄면서, 한국과의 격차는 691시간에서 185시간으로 감소했다. 주당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과거 21년 전에는 17주 이상 격차가 났다면, 현재는 약 4주 남짓이 된 것이다.

2011년 통계 원자료상 단절이 있었던 점을 감안해 통계 연속성이 확보된 2011∼2022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도, 한국의 실근로시간은 2119시간에서 1904시간으로 215시간 단축돼 해당 기간 OECD 평균(1739시간→1719시간)과의 격차가 380시간에서 185시간으로 줄었다. 한국의 연간 실근로시간 감소 폭은 OECD 국가 중 가장 컸고, 2011∼2022년 기준으로 OECD 평균 감소 폭(20시간)의 10.8배였다. 그 결과 2001년에는 한국 풀타임 근로자의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이 50.8시간, OECD 평균은 40.9시간으로 격차가 9.9시간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한국 42.0시간, OECD 평균은 40.7시간으로 격차가 1.3시간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7개국(G7) 중 OECD에 관련 통계가 없는 캐나다·일본을 제외하고 5개국(프랑스·이탈리아·독일·영국·미국)과 한국의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 증감률을 비교해도 한국이 2001∼2022년 17.3% 감소하는 동안 프랑스는 0.9% 늘었고, 나머지 4개국은 0.6~4.6% 줄어드는 데 그쳤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본부장은 "우리나라는 여러 요인을 고려하면 이제 근로시간이 OECD 평균과 비교해도 과도하게 길다고 볼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저성장 극복을 위해서는 이제 장시간 근로국가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근로시간 유연화 등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을 적극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시간 근로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략)

=============================================================================
예전에 노동시간 단축 정책은 기업계가 산업경쟁력 하락을 핑계로 반발했는데
이제는 "한국 노동시간 그렇게 안 긴데?" 핑계가 나오는군요. 이것도 사회 발전의 결과입니다.

경총의 프레임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이유는 없지만 
출처가 객관적인 OECD 자료이기도 하고, 
한국이 지난 20여년간 노동시간이 크게 감소하면서 타 선진국과의 노동시간 격차가 급격하게 줄었다는 건 사실 같습니다?
제가 올린 다른 뉴게글(https://new.redtea.kr/news/32237)도, 박진성(2023) 논문도 비슷한 결론을 도출합니다

물론 포괄임금제 등에 기인한 통계 밖 노동시간 변수는 있지만, 
통계 밖 노동시간이 최근 크게 늘었을 개연성은 낮다고 봅니다. 
노동시간 급감으로 선진국과의 격차가 빠르게 줄었다는 팩트는 바뀌지 않을 듯.


+ (추가) 한국 노동시간의 급격한 변화를 한눈에 보기 위해 박진성(2023)을 인용하자면 
 
과거의 아득히 긴 한국의 노동시간이 이제는 평범한 선진국 범주까지 너프됨..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09 정치국감장 BTS "군대는 알아서 갈 테니" 입장 14 cummings 22/10/08 2269 0
35810 정치이동관 대변인실, ‘분신하면 평생 먹고산다’ 극우매체 기자 소송 지원 시도 5 매뉴물있뉴 23/08/15 2269 0
37090 정치"배현진 뒤통수 한 대 때렸으면" 피습 전 댓글 재조명 5 알탈 24/01/26 2269 0
32483 경제중국 지방정부 재정파탄 11 기아트윈스 22/12/06 2269 0
19172 방송/연예'한류 코미디 대부' 자니윤 LA서 별세…향년 84세 1 swear 20/03/10 2269 2
487 기타檢 "영장 제시하고 청와대와 협의하에 압수수색 집행 중" 3 Credit 16/10/29 2269 0
27631 정치[D-50 여론] 李 37.9% vs 安 47.7% '安이 웃었다'..李-尹은 '접전' 4 Regenbogen 22/01/18 2269 0
18161 국제미국의 이란 솔레이마니 살해작전, 이스라엘이 정보 줬다 2 메오라시 20/01/12 2269 0
34042 정치한동훈, '50억 클럽 특검'에 "진실규명에 방해될 것" 6 과학상자 23/03/30 2269 2
29951 사회13살 여장 남학생에 속아 혼숙 허용, 모텔주인 '무죄' 4 tannenbaum 22/06/19 2269 0
36351 정치"전라도가 다 해 처먹네"…강서구청장 개표장서 난동부린 중년여성 16 tannenbaum 23/10/13 2269 0
33030 의료/건강국민 98.6%가 코로나19 항체 보유…70%가 코로나 걸려봤다(종합2보) 9 다군 23/01/13 2268 0
33287 사회탁현민, ‘김기현 사진 논란’ 보며 ‘김제동·송일국’ 소환… 왜? 6 뉴스테드 23/02/02 2268 0
32776 경제고정금리대출 강제 금리인상<철회>& 제2금융권 대출중단 20 cummings 22/12/29 2268 0
36361 정치안철수 "이준석, 대접해줬더니 오만방자…오늘 제명 요청" 9 퓨질리어 23/10/16 2268 0
13578 사회공지영 "심상대 작가로부터 과거 성추행" 2 프로눈팅러 18/11/28 2268 0
30986 정치윤희근, 검찰 수사권 확대 시행령 "법 개정 취지 훼손 우려있다" 5 Picard 22/08/19 2268 0
33548 경제"금리산정체계 바꾼다" 금감원 개입에 술렁이는 은행권 7 뉴스테드 23/02/24 2268 0
36879 정치법무부, 尹 대통령 징계취소 항소심 수용…상고 포기 13 당근매니아 23/12/29 2268 2
32529 과학/기술전기차 무선충전 시대 열린다…과기부 “내달까지 주파수 분배” 7 cummings 22/12/09 2268 0
35857 정치장제원 "대통령이 언론사 사장한테 전화하면 안 됩니까? 나참‥" 13 매뉴물있뉴 23/08/18 2268 0
12309 정치'절반의 성과'에 그친 드루킹 특검팀…수사 종료 수순 5 보내라 18/08/20 2268 0
37912 방송/연예하이브 걸그룹 멤버 "왜 우리만 오랫동안 활동 못할까" 토로 16 OneV 24/05/09 2268 0
17190 사회"가족들 앞에서 보이기 부끄러운 일, 의전이 아니라 수발" 2 tannenbaum 19/10/21 2268 1
36391 사회"오염수는 계속 새고 있습니다"..국감장 뒤집은 연구원 증언 6 캡틴실버 23/10/21 2268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