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7/23 15:22:04
Name   구밀복검
File #1   119134757.1.png (553.8 KB), Download : 0
Subject   빌라 시장 붕괴


https://www.fnnews.com/news/202307211023120800
21일 파이낸셜뉴스가 부동산R114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서울 빌라 매매거래 건수는 지난해 상반기 1만9572건에서 같은해 하반기 1만487건으로 절반 가량인 46% 감소했다. 올 상반기에는 더 줄어 9820건을 기록했다. 단 6개월 만에 매매 거래량이 절반으로 줄어들더니 회복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1년 기준으로 했을 때 매매거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강서구다. 이 기간 동안 2478건에서 904건으로 63.5% 감소했다...

...매매거래 총액도 6개월 만에 반토막 났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서울 빌라 매매거래 총액이 6조352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에 3조5277억원으로 절반 가량 줄더니 올 상반기에도 3조5000억원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월별로 보면 빌라 매매거래 총액은 2022년 3월~6월만 해도 1조원을 넘었으나 올해 들어서는 월 평균 거래총액이 6000억원대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빌라 인허가 감소폭도 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5월 전국 아파트 인허가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8.5% 줄었으나 빌라 등 아파트 외 주택은 49.1% 감소했다. 전국 착공 실적도 올 1~5월 전년 동기 대비 51.9% 줄었다.

아파트와 비 아파트 간의 공급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전국 인허가 수치를 보면 2012년만 해도 아파트 52.5%, 비 아파트 47.5%의 비중을 보였다. 아파트 비중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2019년부터다. 전국 통계를 보면 아파트 인허가 비중이 2019년 72.8%로 70%대 벽을 넘었다. 이후 2020년 72.8%, 2021년 73.3%에서 지난해에는 78.6%까지 상승했다. 빌라 시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아파트를 잡겠다고 내놓은 규제가 빌라에도 그대로 적용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에는 전세사기에다 아파트 위주 규제 완화로 더 쑥대밭이 되고 있는 것이다.



https://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307070951548230542
정부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가입 기준을 높이면 현재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한 가구의 절반 정도가 내년 심사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지난 4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한 15만3391가구 중 7만1155가구(46%)가 내년에 같은 보증금으로 계약갱신시 가입거절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같은 전세보증금으로 갱신해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이 거절되는 것은 정부가 가입기준을 전세가율 100%에서 90%로 낮췄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택가격 산정기준도 공시가의 150%에서 140%로 낮췄다. 지난 5월부터 보증보험 가입기준은 기존 '공시가격 150%(150%X100%)'에서 '공시가격의 126%(140%×90%)'로 높아졌다.


https://khan.co.kr/economy/real_estate/article/202307091028011
...앞으로는 임대보증금 보증보험 가입요건 역시 전세보증금반환보증과 동일하게 공시가격의 126%(공시가격의 140%×전세가율 90%) 선으로 강화될 전망이다. 공시가격 6억원인 빌라의 경우 지금까지는 전세보증금 최대 9억원까지 임대보증금보험 가입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7억5600만원이 마지노선이 된다는 얘기다. 통상 전세보증금 시세는 보증보험 가입 상한선에 맞춰진다.... 전세가격이 고점을 찍었던 지난 2021년 전세계약을 체결한 임대인들은 역전세가 이어지면서 당장 보증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신규계약을 체결하더라도 전세보증금 상한선이 낮아지면서 기존 전세계약 보증금과 신규 보증금 사이에 가격차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아파트는 몰라도 빌라는 대대적인 역전세를 피할 길이 없어 보입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88 사회대학가 무료대여 텀블러도, 열흘새 500개 없어졌다 16 swear 18/11/29 2276 0
36120 사회투명랩·애자·교육재단을 만들다…이종환 회장 별세(종합) 2 다군 23/09/13 2276 1
11036 사회유언장 조작 소송까지 냈던 한진 형제들..상속 때문에 '줄소환' 1 알겠슘돠 18/06/27 2276 0
34851 사회"환자 못 받는다" 또 '뺑뺑이 비극'…차에 치인 70대, 구급차에서 사망 26 다군 23/05/30 2276 1
11820 정치유승민, 안종범 민원문자에 "청탁으로 비친점 송구" 15 퓨질리어 18/07/27 2276 0
35385 정치원희룡 “거짓 정치공세 지속되면 양평고속도로 재추진 못해” 31 당근매니아 23/07/10 2276 0
31290 문화/예술'누벨바그 거장' 장 뤽 고다르 별세…향년 91세 2 나단 22/09/13 2276 0
30537 사회美부부 "입양 韓아이 발달장애 감춰" vs 입양기관 "몰랐다" 4 Cascade 22/07/26 2276 0
20812 사회결국 '이재용 전략' 성공.. 심의위 '수사중단·불기소' 권고 7 검은세포 20/06/27 2276 0
33629 정치정순신 아들 학폭, "윤석열 한동훈 몰랐을 리 없어" 14 과학상자 23/03/03 2276 0
31847 정치“예상보다 낡았다”며 취임 5개월 넘도록 한남동 관저 입주 미룬 대통령 9 괄하이드 22/10/18 2276 0
35689 정치韓총선 고려한 日…"회담前 방류는 尹에 마이너스" 6 곰곰이 23/08/07 2276 2
13183 국제[팩트체크] "출생시민권은 미국이 유일" 트럼프 발언 맞을까 4 보내라 18/10/31 2276 0
35712 정치국힘, 잼버리 책임론에 “75세 총리가 화장실 청소하며 노력” 8 퓨질리어 23/08/08 2276 0
36480 과학/기술‘누리호 주역’이라더니 ‘기술유출범’으로....과기정통부, 항우연 연구자 검찰 고발 2 야얌 23/10/31 2276 0
38287 의료/건강비타민 매일 먹으니 18 seaflower 24/06/28 2276 0
20402 정치민주-통합 "상임위원장직 11대 7 배분 합의" 7 다키스트서클 20/05/26 2276 0
35506 사회마카오발 항공기에서 생긴 일 8 휴머노이드 23/07/20 2276 1
35532 경제빌라 시장 붕괴 4 구밀복검 23/07/23 2276 0
32208 사회'라임' 김봉현, 재판 직전 전자발찌 끊고 도주 6 집에 가는 제로스 22/11/11 2276 0
36561 사회오토바이에 목매달려 끌려간 개...시민들이 구했다 3 swear 23/11/10 2276 1
29405 경제장장 10년간 한 부서에 근무하며 문서위조 횡령..금감원 검사도 '구멍' 3 empier 22/05/11 2276 0
28901 사회목줄 · 입마개 없이 달려든 4마리..푸들 죽고 주인 다쳐 2 Regenbogen 22/04/05 2276 0
27115 경제올해 매출 2조5000억원 … 신세계百 강남점 '세계 1위' 1 Leeka 21/12/22 2276 0
35823 정치채상병 사망사건 국방위, 여당 불참에 파행…與 “이재명 물타기용” 4 퓨질리어 23/08/16 2276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