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04 20:25:40
Name   구밀복검
Subject   몸을 떼놓고 영혼만으로 가르칠 순 없다
https://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05326&fbclid=IwAR1iaxkMM-7HLiAYhrSORzTxImVWIsdy46N_mmQloZST435OTphu3GxXdpY
아버지의 재혼으로.. 베트남 새엄마는 20대 초반에 한국에 와서 이주여성의 삶을 시작했다.. 초등학생 때부터 다문화가정에서 자라게 된 삶의 경험은 그대로 연구 관심사로 옮겨가게 되었다...  가족의 연은 국적을 넘어 이어지는 것인지, 나도 20대 초반부터 미국을 거쳐 일본에서 이주여성으로 살게 되었다.

석사과정 중이던 2010년대 초반에는 결혼이민자와 영유아 다문화 자녀에 대한 연구가 막 시작되고 있었다.... 당시는 ‘지식 자본’이라는 개념을 빌려와서 분석했다. 학생의 다문화 배경을 한국 사회 적응의 걸림돌로 보는 게 아니라, 학생 고유의 지식 자원으로 바라보는 개념이다.

...석사 연구 동안 네 명의 다문화 학생을 만났다. 이 학생들은 납작한 위계 안에 갇혀 있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 사회도 그렇게 단순하지 않았다. 학생들은 촘촘한 위계를 가지고 놀며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갔다. 미디어에 재현되는 것처럼 차별받는 피해자로 남아 있지도 않았으며, 일방적 지원이 필요한 존재도 아니었다. 자신에게 주어진 다언어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영어를 배우는 학생도 있었고, 자신의 능력을 십분 활용하여 학교에서 인기를 끄는 학생도 있었다. 피해-가해, 약자-강자, 한국인-외국인 등의 납작한 구도로 다문화 학생의 영어학습을 설명할 수는 없었다...

다문화 학생이 이중언어 환경에서 자라나는 것은 분명히 장점이었다. 그러나 이 이중언어의 경험이 한국 사회에서 가치 있는 자원이라고 여겨지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 어머니가 영어 관련 전문직 일을 하던 학생도 있었지만, 어머니의 영어 발음이 학교의 미국 중심의 영어 발음과 다르다는 이유로 미국식 학교 영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도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자원’이라고 여겨지는 언어 경험의 폭이 너무 좁은 것이 문제였다. 그렇다면 이 자원의 외연을 어떻게 넓힐 수 있을까...

...박사 이후, 이주여성으로 일본에 와서 영어를 가르치며 온갖 일을 겪었다. 미디어에 대서특필되는 것처럼 노골적인 혐오는 아니었다. 언제나 내가 너무 예민한가,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를 고민하게 되는 아리송한 일이었다...

금발 벽안의 미국 출신 남성은 교실에 그냥 걸어 들어가는 것 자체만으로 영어 교사의 권위를 얻는다. 영어 교사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그대로 재현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온 젊고 작은 여자가 교실에 걸어 들어가면, “학생 아니야? 왜 저기 있어”라는 관념을 먼저 깨야 하고, 그 다음엔 “왜 영어 선생이야? 한국어 선생 아니야?”의 벽을 또 뛰어넘어야 한다. 그 이후 “영어 제대로 하는 거 맞아? 왜 한국인이 영어를 가르쳐?” 라는 편견을 학위와 논문, 화려한 경력 등으로 맞서야 한다.

이렇게 몸을 입고 한 경험은 그대로 다양성 수업으로 연결되었다. 어느 순간부터 내 수업에는 백인 남성의 영어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 나이지리아 출신 작가의 프리젠테이션, 임신한 CEO의 연설, 일본에서 외국인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영어 인터뷰, 방에서 은둔하는 사람의 사회 재적응을 돕기 위한 원격 카페 아르바이트 영문기사 같은 자료가 내 교실을 채웠다. 영어는 이렇게나 다양한 사람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 쓰는 언어라고 소개하고 싶었다. 영어는 선진국 백인 남성의 언어가 아니라, 세계 모든 사람의 언어니까... 연구자는 진공 속에 갇힌 지식을 생산하지 않는다. 연구자는 몸을 입고 있고, 그 몸은 싫든 좋든 사회 안에 담겨 있다. 사회는 몸에 이런저런 라벨을 붙이고, 특권을 입혀 주기도 하고, 생채기를 내기도 한다. 연구, 연구자, 연구자의 몸, 연구자의 사회. 이 넷은 전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재미있는 글이다 싶어 올려봅니다.



8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917 정치 건설노조와 '전쟁'…근로시간 면제제도 개선까지 꺼낸 국토부 2 당근매니아 23/01/07 2246 0
12972 정치백종원 "프랜차이즈 매장 수, 인구 대비 과도해" 4 벤쟈민 18/10/12 2246 0
16059 정치토착왜구(倭寇)와 토착종북(從北) 10 월화수목김사왈아 19/07/19 2246 0
33222 정치공천학살 예고편? 국민의힘 '非尹 잔혹사' 20 뉴스테드 23/01/28 2246 0
12520 사회방에 틀어박힌채 늙은 그들…'중년 히키코모리' 된 日 40대 6 레지엔 18/09/04 2246 0
36329 정치민주당 진교훈 강서구청장 당선…17.15%p 격차 낙승 19 노바로마 23/10/12 2246 0
20462 사회소방관 딸 순직 이후 32년 만에 나타난 생모…유족 급여 타내 6 swear 20/05/31 2246 0
11247 경제미국, 中제품에 고율관세 발효..무역전쟁 개시 1 알겠슘돠 18/07/06 2246 0
15866 사회동기에게 대소변 입에 넣게하며 학대…육군 일병 구속 1 swear 19/07/02 2246 0
1022 정치‘4% 지지율’ 올랑드, 결국 “大選 불출마” Ben사랑 16/12/02 2246 0
33543 정치경찰국 이어 검사 출신 국수본부장…경찰 내부 '술렁' 3 다군 23/02/24 2245 0
269 기타일촉즉발, '서남아 화약고' 카슈미르 2 기아트윈스 16/10/06 2245 0
19728 사회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온라인 신청' 시작…접속폭주로 지연 9 다군 20/04/09 2245 0
36379 경제‘서든 데스’ 또 언급한 최태원 “확실히 변하지 않으면 생존 못해” 16 Beer Inside 23/10/19 2245 1
28959 문화/예술웹소설 '상수리나무 아래' 아마존 베스트셀러 올라 9 다군 22/04/07 2245 0
1825 사회복지부가 자초한 솜방망이 메르스 과징금 1 NF140416 17/02/03 2245 0
4157 정치헤럴드경제 - 추경안 통과 5 벤젠 C6H6 17/07/22 2245 0
15937 정치하태경 "文 대통령, 박근혜 석방하면 박수 받는다" 12 The xian 19/07/09 2245 0
15198 정치한국당, 5·18 망언 징계 결정...김순례, 당원권 정지 3개월 6 The xian 19/04/19 2245 0
13668 정치사병 봉급 매년 인상은 NO…예산 절감 위해 격년제로 올린다 20 Cascade 18/12/03 2245 0
11877 경제5월 상용직 노동자 월급 332만원..임시·일용직은 142만원 알겠슘돠 18/07/30 2245 0
36454 국제中CCTV "리커창 전 총리, 심장병으로 오늘 사망" 7 매뉴물있뉴 23/10/27 2245 0
10606 정치김무성, 돌아온다…“보수 재건 밑거름 되겠다” 7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8/06/04 2245 0
30323 정치출퇴근 5분으로 단축…한남동 ‘대통령 관저’ 이르면 금주 완공 7 데이비드권 22/07/12 2245 1
33424 의료/건강노루궁둥이버섯서 신경세포 성장·기억력 강화 활성제 확인 9 야얌 23/02/13 224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