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03 13:32:47
Name   구밀복검
File #1   KakaoTalk_20230603_131911212.png (318.6 KB), Download : 0
Subject   시대인재 수능시장의 룰을 바꾸다


https://twitter.com/yuionyeon/status/1664259530434420736
'요즘 손주은씨가 사교육의 종말같은 소리 하고다녀서 뭐 잘못 먹었나 하는 사람 많을 거임.. 근데 메가가 시대인재라는 데에 완전 밀려서 지금 입지가 위태로워서 그럼, 주도권 완전 내줘서 메가 팔려고 내놨는데 제값 주는 데가 없어서 안 팔림..  이게 지금 어디까지 왔냐면 시대인재가 재수학원 실적이 의대정시 과반임...고3 대치단과는 세지도 않음 가장 어려운 의대정시 장악했으니 이미 경쟁은 끝난거임. 강사 중심이던 과거 사교육과 달리 시대인재는 컨텐츠를 장악해서 자기들 안 거치면 고득점을 불가능하게 만듦.. 시대인재는 과거 대성 메가랑 수준이 다름.. 강남대성 점유율 잘해야 30퍼였는데 시대는 아예 의대 정시 과반을 먹고 수능을 독점함, 지금 수능 대비하며 교과서 보면 바보인 수준임... 인강도 진출하고 초중등사교육도 하겠대 공무원시험 학원에도 투자했음 해외도 진출한다고 함...그러면 전국민이 초등부터 입시에 공시까지 고득점을 얻을려면 세금 내듯 시대인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거임...'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08
오우석 시대인재 창업자 겸 CEO는 창업 4년만에 수능 교육시장을 석권했다. 단순히 몸집을 키운 것이 아니라, 강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판을 바꿨다고 평가받는다. 그런 그는 “수능시장은 테스트베드”라고 말한다. [영유아부터 은퇴 후까지 이어지는, ‘교육엔진’을 위한 테스트베드다. 그는 “왜 한국사회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10년, 15년씩 기다려야 하느냐”고 묻는다.] 이미 그가 가동하기 시작한 교육엔진은 20대 젊은 전문가를 키워내고 있다. 모두가 더 빨리 성장한다면, 인구감소는 지금처럼 무섭진 않을지 모른다...

'수능 교육시장의 룰 세팅을 바꾸고 싶었다. 시장에 이미 기라성 같은 업체들이 있지만, 모델은 낡아 있었다. 강의할 공간을 마련하고, 강사를 끌어오는 정도. 반면 강사는 교재 제작부터 강의 준비, 질의응답까지 도맡는다. 그러다 보니 교육 서비스 전반의 퀄리티가 정체됐다. [강사는 강의에, 콘텐츠를 비롯한 나머지 서비스는 회사 차원에서 대단위로 기획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젊은 강사들과 함께 연구개발했다. 전문가를 초청해 출제 원리를 배우고, 일주일에 한 번씩, 2박3일 호텔에 묵으면서 같이 문제를 만들어 보기도 했다. 그렇게 노하우를 쌓아서 설립 첫해인 2014년 ‘서바이벌 모의고사’ 수학 가형을 자체 개발해서 냈다(주1회). 또 그게 호응을 얻어 그해 2500여 명이 시대인재를 찾았다. 대치동을 기준으로 빅5에 드는 규모였다. 비전문가였던 학생을 콘텐츠 전문가로 키워냈다.... 진학 실적보다도 중요한 건, 우리가 [사람을 파워풀하게 만드는 조직문화와 조직문화의 세팅 값을 알아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팀원 중에는 당장 평가원급 문제를 만들 만한 천재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이들을 모아서 2주 교육을 해서 추리고, 평가 보상 시스템을 붙여서 1~2년간 운용한다. 협업을 통해서 상향 평준화하는 것이다. 이런 팀들이 빠르게 성장해서 이제 콘텐츠 개발 주력이 됐다. 그 말인즉, 뛰어난 사람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사람을 교육했을 때 더 좋은 콘텐츠가 나오더라. 이 작은 차이를 다른 회사들은 못 좁히는 것 같다... 생명1에는 지금 다섯 개 팀이 붙어있다. 어떤 회차를 어떤 팀이 담당할 건가, 회사 차원에서 조율한다. 팀별 의견을 받고 원하는 일정에 맞춰서 마찰 없도록 조율한다... 한 팀에서 가장 일을 잘하는 사람은 1000개 문항을 만드는데, 가장 못하는 사람은 50개 문항밖에 못 만든다. 그래도 한 팀으로 엮어서 가는 건, 사람들과 협업할 때 작은 가치를 더 만들어내는 그 사람을 미래형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 작은 가치를 더 만들어내지 못하는 사람은 천재라도 발전이 없다. 이런 가치관을 바탕으로 팀을 꾸리고, 평가 보상 체계를 운용한다... 모두 좋은 팀으로 만들 수 있다. 다만 모두를 전문가로 만들 필요는 없다. 3분의 1만 만들어도 성공이다.'



https://youtu.be/RhRk3AgCWY0


디씨인사이드 시대인재 N 재수종합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dijn&exception_mode=recommend



재미있어 보여서 관련 게시물들도 같이 엮어 봤읍니다.



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04 국제美-터키관계 왜 악화됐나.."트럼프, 에르도안에 모욕 느껴" 2 벤쟈민 18/08/19 2412 0
32018 사회초1 수학 '지문' 너무 어렵다... 이러다 애들 '수포자'될라 19 Leeka 22/10/28 2412 0
15636 경제MG손보, 경영개선명령 예고…보험 계약 어떻게 되나 1 메리메리 19/06/05 2412 0
28180 사회정책검증보도 가장 많이 한 신문은 4 구밀복검 22/02/15 2412 1
13852 경제급기야… 삼성물산 패션부문, 매각설까지 5 알겠슘돠 18/12/13 2412 0
14632 정치나경원, 美서 "北비핵화 난제…언제든 워싱턴 핵공격 가능" 6 The xian 19/02/17 2412 0
31794 정치정부 빚에 ‘경기’하는 추경호…“돈 안쓰고 경기 살리겠다” 6 야얌 22/10/14 2412 2
32568 사회20대 여성 성노예로 부리다 숨지게 한 '악마 유튜버'…성매매 男 "온 몸에 멍" 4 tannenbaum 22/12/13 2412 0
10297 경제외식비·가공식품 다 올랐다…냉면값 1년 새 10%↑, 삼겹살 5%↑ 5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8/05/23 2412 0
34617 사회어린이집 나간 2살, 700m 거리 도로서 발견...경찰 수사 14 swear 23/05/12 2412 0
12349 정치한국당 초·재선 "아이 낳으면 국가가 1억원 지원" 제안 15 tannenbaum 18/08/21 2412 0
28225 사회거리두기 완화 vs 유지…일상회복지원위 분과별 입장차 팽팽(종합) 2 다군 22/02/17 2412 0
27458 사회다 같은 뱃살 아냐… '이런 모양'일 때 가장 위험 8 구박이 22/01/09 2412 0
15428 정치'한센병' 발언 사과..'동성애 배척' 하자는 황교안 tannenbaum 19/05/17 2412 0
13894 사회부산대생 4천명 학생총회 개최.."비민주적 학칙개정 반대" 18 tannenbaum 18/12/15 2412 0
14662 정치MB "확인된 병만 9개" 석방 요청..'돌연사 위험' 주장도 16 파이어 아벤트 19/02/20 2412 0
25414 사회구미 3세 여아 사건 친모 1심 징역 8년 선고 Picard 21/08/20 2412 0
18249 국제중국 '우한 폐렴' 4명 추가 발생…확진 45명으로 늘어(종합) 4 다군 20/01/19 2412 0
32074 사회주최측이 없는 행사라도 국가지자체에 책임이 있다는 법적 해석 6 곰곰이 22/11/02 2412 0
21068 사회'레디백 대란' 스타벅스, 의자도 난리…교환 인파에 전산 장애 14 다군 20/07/21 2412 0
36941 의료/건강“등산·자전거 타기 NO”···한국인 절반, WHO 권고 신체활동 안 한다 20 야얌 24/01/07 2412 1
19023 의료/건강코로나19 확산에 루브르 박물관 잠정 폐관 기아트윈스 20/03/02 2412 1
32079 사회"北, 하루 7000만 달러 썼다"…1년 쌀 살 돈 미사일로 날려 21 매뉴물있뉴 22/11/03 2412 1
37967 기타84만 女카페서 ‘여성판 N번방’…남성 나체사진 올리고 성희롱 15 그저그런 24/05/16 2412 1
35921 정치원희룡 "尹, 대통령 된 것만으로도 할 일 120%…자빠질 뻔한 나라 정상화" 18 Picard 23/08/24 2412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