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03 13:32:47
Name   구밀복검
File #1   KakaoTalk_20230603_131911212.png (318.6 KB), Download : 0
Subject   시대인재 수능시장의 룰을 바꾸다


https://twitter.com/yuionyeon/status/1664259530434420736
'요즘 손주은씨가 사교육의 종말같은 소리 하고다녀서 뭐 잘못 먹었나 하는 사람 많을 거임.. 근데 메가가 시대인재라는 데에 완전 밀려서 지금 입지가 위태로워서 그럼, 주도권 완전 내줘서 메가 팔려고 내놨는데 제값 주는 데가 없어서 안 팔림..  이게 지금 어디까지 왔냐면 시대인재가 재수학원 실적이 의대정시 과반임...고3 대치단과는 세지도 않음 가장 어려운 의대정시 장악했으니 이미 경쟁은 끝난거임. 강사 중심이던 과거 사교육과 달리 시대인재는 컨텐츠를 장악해서 자기들 안 거치면 고득점을 불가능하게 만듦.. 시대인재는 과거 대성 메가랑 수준이 다름.. 강남대성 점유율 잘해야 30퍼였는데 시대는 아예 의대 정시 과반을 먹고 수능을 독점함, 지금 수능 대비하며 교과서 보면 바보인 수준임... 인강도 진출하고 초중등사교육도 하겠대 공무원시험 학원에도 투자했음 해외도 진출한다고 함...그러면 전국민이 초등부터 입시에 공시까지 고득점을 얻을려면 세금 내듯 시대인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거임...'

http://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08
오우석 시대인재 창업자 겸 CEO는 창업 4년만에 수능 교육시장을 석권했다. 단순히 몸집을 키운 것이 아니라, 강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판을 바꿨다고 평가받는다. 그런 그는 “수능시장은 테스트베드”라고 말한다. [영유아부터 은퇴 후까지 이어지는, ‘교육엔진’을 위한 테스트베드다. 그는 “왜 한국사회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10년, 15년씩 기다려야 하느냐”고 묻는다.] 이미 그가 가동하기 시작한 교육엔진은 20대 젊은 전문가를 키워내고 있다. 모두가 더 빨리 성장한다면, 인구감소는 지금처럼 무섭진 않을지 모른다...

'수능 교육시장의 룰 세팅을 바꾸고 싶었다. 시장에 이미 기라성 같은 업체들이 있지만, 모델은 낡아 있었다. 강의할 공간을 마련하고, 강사를 끌어오는 정도. 반면 강사는 교재 제작부터 강의 준비, 질의응답까지 도맡는다. 그러다 보니 교육 서비스 전반의 퀄리티가 정체됐다. [강사는 강의에, 콘텐츠를 비롯한 나머지 서비스는 회사 차원에서 대단위로 기획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젊은 강사들과 함께 연구개발했다. 전문가를 초청해 출제 원리를 배우고, 일주일에 한 번씩, 2박3일 호텔에 묵으면서 같이 문제를 만들어 보기도 했다. 그렇게 노하우를 쌓아서 설립 첫해인 2014년 ‘서바이벌 모의고사’ 수학 가형을 자체 개발해서 냈다(주1회). 또 그게 호응을 얻어 그해 2500여 명이 시대인재를 찾았다. 대치동을 기준으로 빅5에 드는 규모였다. 비전문가였던 학생을 콘텐츠 전문가로 키워냈다.... 진학 실적보다도 중요한 건, 우리가 [사람을 파워풀하게 만드는 조직문화와 조직문화의 세팅 값을 알아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팀원 중에는 당장 평가원급 문제를 만들 만한 천재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이들을 모아서 2주 교육을 해서 추리고, 평가 보상 시스템을 붙여서 1~2년간 운용한다. 협업을 통해서 상향 평준화하는 것이다. 이런 팀들이 빠르게 성장해서 이제 콘텐츠 개발 주력이 됐다. 그 말인즉, 뛰어난 사람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사람을 교육했을 때 더 좋은 콘텐츠가 나오더라. 이 작은 차이를 다른 회사들은 못 좁히는 것 같다... 생명1에는 지금 다섯 개 팀이 붙어있다. 어떤 회차를 어떤 팀이 담당할 건가, 회사 차원에서 조율한다. 팀별 의견을 받고 원하는 일정에 맞춰서 마찰 없도록 조율한다... 한 팀에서 가장 일을 잘하는 사람은 1000개 문항을 만드는데, 가장 못하는 사람은 50개 문항밖에 못 만든다. 그래도 한 팀으로 엮어서 가는 건, 사람들과 협업할 때 작은 가치를 더 만들어내는 그 사람을 미래형 인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 작은 가치를 더 만들어내지 못하는 사람은 천재라도 발전이 없다. 이런 가치관을 바탕으로 팀을 꾸리고, 평가 보상 체계를 운용한다... 모두 좋은 팀으로 만들 수 있다. 다만 모두를 전문가로 만들 필요는 없다. 3분의 1만 만들어도 성공이다.'



https://youtu.be/RhRk3AgCWY0


디씨인사이드 시대인재 N 재수종합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dijn&exception_mode=recommend



재미있어 보여서 관련 게시물들도 같이 엮어 봤읍니다.



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249 국제중국 '우한 폐렴' 4명 추가 발생…확진 45명으로 늘어(종합) 4 다군 20/01/19 2400 0
28745 스포츠'4차원' 카이리 어빙 족쇄 풀렸다. 뉴욕 백신의무규정 변경, 홈 경기 뛸 수 있다 2 danielbard 22/03/24 2400 0
15946 정치"한국이 北에 독가스 원료 넘겼다"는 일본, 근거 대라 4 The xian 19/07/10 2400 0
21068 사회'레디백 대란' 스타벅스, 의자도 난리…교환 인파에 전산 장애 14 다군 20/07/21 2400 0
36940 정치 소청과의사회, '헬기 이송' 이재명 고발 예정 20 명동의밤 24/01/07 2400 4
35920 정치'총선 지역구 투표 어디?' 민주당 45.4% 국민의힘 34.4% 26 매뉴물있뉴 23/08/24 2400 1
31569 정치尹-펠로시 통화 직전 대통령실에 ‘IRA 핵심 내용’ 보고됐다 15 매뉴물있뉴 22/09/29 2400 6
21843 사회고향 오지 말랬더니 여행 떠나는 사람들…지자체는 ‘조마조마’ 8 BigBlur 20/09/22 2400 0
30035 사회김해 유명 냉면집서 30여 명 집단식중독…60대 숨져 당국 조사 중 8 다군 22/06/23 2400 0
10836 국제오전8시경 일본 오사카 규모 5.9 지진, 쓰나미 우려는 없어 Credit 18/06/18 2400 0
13912 국제日, 영국 원전 건설도 연기 가능성..."자금조달 곤란에 잇단 ‘좌초’" 8 보내라 18/12/17 2400 0
32088 사회"아직도 후회...이태원 경찰관의 진심" 7 옐빠 22/11/03 2400 3
31065 사회부산 공무원이 대전 시민 정보 무단 열람..."내 정보가 어떻게?" 5 syzygii 22/08/25 2400 1
16218 정치조경태 "전술핵 재배치해야..안 되면 자체 핵개발이라도" 18 오호라 19/07/31 2400 0
18523 의료/건강신종코로나 4명 추가…3명 '접촉자·가족'·1명 '중국 관광객'(종합) 4 다군 20/02/06 2400 3
35421 정치장예찬, 민주 '양평고속도 국조'에 "이재명 여배우 국조도 하자" 22 퓨질리어 23/07/13 2400 0
34910 사회시대인재 수능시장의 룰을 바꾸다 18 구밀복검 23/06/03 2400 4
17759 방송/연예BTS와 작업한 美래퍼 주스 월드…발작 후 21세에 돌연사 swear 19/12/09 2400 0
13925 사회‘6개월치 잡무’ 하루 만에 끝… 사회복무요원의 행정혁명 12 Aftermath 18/12/18 2400 0
7271 사회시각장애인만 안마사 또 '합헌', 동네 마사지숍은.. 1 알겠슘돠 18/01/02 2400 0
18791 의료/건강대구가톨릭대병원서 母에 간 기증자 확진..."신천지 교인" 밝혀 7 swear 20/02/22 2400 0
19306 정치문석균 의정부갑 무소속 출마 선언.."민주당이 당원 배신" 12 empier 20/03/17 2400 0
36205 스포츠정용진 구단주 전격 KBO 방문 "한유섬과 선수들, 팬들에게 미안해서 직접 왔다"…총재와 30분 면담 11 the 23/09/22 2400 1
31604 사회“얘들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선…” 지독한 사랑이 시작됐다 2 늘쩡 22/10/01 2400 6
26743 사회국민 70% “차별금지법 찬성”…종부세 “유지·강화” 52%-“완화” 41% 18 과학상자 21/11/30 240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