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3/31 11:53:20
Name   구밀복검
Subject   '통절한 사죄' 이끌었던 일본 전후 역사학의 쇠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331/118608567/1
1980년대 (한국) 운동권 학생들은 소위 '의식화 교육'에서 사회과학과 역사서를 많이 읽었다... 사실 당시 운동권에서 탐독하던 책들은 거의 다 일본 책을 번역한 것이었다. 영어나 다른 유럽 언어로 쓰인 책들도 일본어를 중역한 것들이 많았다. 그 운동권 학생들이 지금은 이 사회의 지배자가 되어 '노 저팬'도 하고, 한일 협력 방침에 대해 요란한 현수막도 내걸지만, 그때 '문제 서적'들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한 사람은 별로 없었을 것이다...

.... 20세기 초부터 일본의 역사학은 일본이라는 국민국가의 건설, 나아가 제국주의적 팽창을 근저에서 지탱해왔다. 이에 대한 반발은 역사학 바깥, 특히 사회과학자들에게서 나왔다. 훗날 [강좌파講座派]라고 불리게 될 이들은 당시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마르크시즘의 역사발전 단계론을 받아들인 후, 메이지유신을 어떻게 위치 지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논쟁했다(반면 메이지유신을 불완전하나마 부르주아 혁명을 달성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사회주의 혁명을 주장한 그룹이 [노농파勞農派]다). 이 (강좌파) 연구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일본 공산당원이었으며, 공산당은 소련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움직였으니 '혁명적 실천', '변혁과업'이라는 명분으로 학문이 정치에 종속되는 경향이 다분히 있었다. [*반면 노농파는 일본 사회당으로 이어집니다.]

황국사관 수립에 종사한 역사학자들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사료 편찬 사업에 매달리며 정치와 거리를 두고 때를 기다렸다. 전후역사학을 이끈 근대사가 도야마가 대표적이다... 그는 황국사관에는 전혀 동의하지 않았지만, 거기서 방대한 양의 사료를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13년 후인 1951년, 37세의 나이에, 이제는 고전이 된 [메이지유신]을 간행했다. 38세의 마루야마 마사오가 [일본정치사상사연구]를 펴내기 1년 전이었다. 이후 일본 지성계는 이 두 책을 등대 삼아 진보 마르크시즘과 근대주의(리버럴)가 서로 경쟁하며 판도를 양분해왔다. 역사학계는 하루아침에 분리수거된 황국사관을 대신하여 '강좌파'를 계승하는 사적 유물론자들이 주류 자리를 차지했다.

이들은 군국주의에 대해 강렬한 비판의식을 갖고 있었고, 그 연원을 메이지유신의 절대주의 체제 성립에서 찾았다. 제국 일본에 반감을 갖고 있었으니 피식민지민들에 대해서는 동정적이었다. 소위 '양심적 일본지식인'들이다. 역대 일본 정부가 식민지배에 대해 감히 헛소리를 못 하고 20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통절한 사죄와 반성'을 표하게 된 데에는 한국 외교관들과 함께 이들의 역할이 컸다.

그런데 지금 그 거대했던 전후역사학은 어디로 사라져버린 것일까. 일본 유학 시절 대부분의 일본 학생들은 촌락사 같은 사회경제사를 연구 주제로 삼고 있었다... 그때가 1996년, 사회주의 국가들이 무너진 후였는데도 이런 상태였으니 그 전 상황은 짐작할 만하다. 정치와 이데올로기에서 과감히 독립하지 못하고, 방법론의 혁신을 거부하며 수십 년간 안주하는 사이에 전후역사학은 서서히 그 활력을 상실해갔다. 일반 사회는 물론이고 인근 학문 분야에도 새바람이 불고 있었거늘 전후역사학은 요지부동, 변화를 거부했다.


----------

딱 소개로 좋은 글이고 세부 사항이 헛헛한데 같이 소개 할 만한 기사가 없군요..
구글에 강좌파로 검색하면 기사 나오는 게 없음; 이러니 한일 관계가 파탄에 이르는 게 당연한지도.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4281
요게 그나마 이것저것 다룹니다.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00 문화/예술작년 가구당 월평균 책 구매비용 1만5천원..한달 한권도 안 사 1 NF140416 17/03/04 2367 1
2458 정치"朴, 진술거부 안해…일부 질문에 적극적으로 진술" 베누진A 17/03/21 2367 0
8864 정치文 "방한하면 정성껏 모실 것"…모하메드 "UAE는 항상 한국편" 4 벤쟈민 18/03/27 2367 1
31906 정치‘서울 대 나머지’ 정치 구도가 부상한다 10 오호라 22/10/21 2367 0
8358 경제"시 황제의 경고 '어떤 억만장자도 훅 갈 수 있다'" JUFAFA 18/03/02 2367 0
425 기타생태계에 치명적…'미세 플라스틱' 화장품 퇴출 1 하니n세이버 16/10/23 2367 0
943 경제20·30대, 돈 안 쓰고 12년 이상 모아야 서울 아파트 산다 NF140416 16/11/28 2367 0
34993 IT/컴퓨터데스크탑 GPU, 10년내 최저 판매량 기록해 6 Beer Inside 23/06/09 2367 0
946 경제종말 앞둔 '초저금리 시대'.. 우리에게 닥칠 일은? NF140416 16/11/28 2367 0
5566 방송/연예'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MB정부 스타 퇴출 작전 공개 Credit 17/09/28 2367 1
4543 문화/예술비슷한 작품 제작비가 .. 방송사는 10억, 외주는 1억 남짓 1 알겠슘돠 17/08/14 2367 0
453 기타수학여행, 경주 대신 서울이 붐빈다 4 NF140416 16/10/26 2367 0
4551 방송/연예MBC보도본부장 "압력으로 물러나지 않는다"..결사항전 예고? 8 tannenbaum 17/08/14 2367 0
31176 사회땅 속 수상한 드럼통 신고했더니...경찰의 '황당 답변' 3 swear 22/09/02 2367 0
2510 스포츠유재학 김영만 김승기 등 6명 감독, 무더기 징계감? 2 NF140416 17/03/27 2367 0
5070 방송/연예방탄소년단, 6일만에 선주문 105만장 돌파 "해외 미포함" 11 tannenbaum 17/09/04 2367 0
32207 정치'보고서 삭제' 연루 의혹 용산서 전 정보계장 숨진 채 발견 6 Cascade 22/11/11 2367 0
5584 경제"한반도 전쟁 시 韓 GDP 반토막, 美 부채 GDP 75% 증가” 6 April_fool 17/09/29 2367 0
209 기타검찰, 롯데 신동빈 회장 구속영장 청구 1 April_fool 16/09/26 2367 0
5333 경제재벌 개혁, 시대의 요구인데…‘가족승계’ 욕망 여전 9 벤젠 C6H6 17/09/15 2367 0
8407 의료/건강2020년 11만명 부족한데.. 꼬일대로 꼬인 간호사 확충 2 알겠슘돠 18/03/05 2367 0
474 기타SM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한국인 최초 선구자적 글로벌 혁신가상 수상 2 elanor 16/10/28 2367 0
9946 의료/건강병상 간격 '1m룰' 앞두고.. 속병 난 중소병원 알겠슘돠 18/05/07 2367 0
17370 IT/컴퓨터“안된다” “불가능하다”…24살 창업자에게 쏟아진 악담 소원의항구 19/11/05 2367 0
20705 사회제주 기간제 교사, 수업 중 쓰러진 뒤 사망..전교조 "코로나 때문" 주장 1 ARiKi 20/06/18 236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