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1/27 16:16:36
Name   과학상자
Subject   치과마다 다른 충치 진단 개수, 왜 그럴까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77186.html


///사람들은 치과마다 충치 진단 개수가 다르다는 것을 의아해한다. 충치는 입 안에 있는 구체적인 대상, 의사와 무관하게 존재하는 실재론적 실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누가 보아도 똑같은 충치이지, 사람마다 다르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충치 진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자. 치아 표면에서 생활하는 미생물 군집(치태라고 흔히 부르는 미생물과 음식물 찌꺼기의 결합체이다)이 음식물을 소화하여 분비하는 물질의 산성이 높아지면, 치아 표면을 구성하는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이 분해되기 시작한다. 한편 침이나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 치약에 들어있는 불소는 이런 산의 치아 분해를 막거나 저해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의 산 분비가 약하거나 구강 내 보호 기능이 그보다 강하면 치아는 변화를 겪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이유로 미생물 군집에서 산을 분비하는 세균이 득세하게 되면 치아 표면은 더 강한 농도의 산에 장시간 노출되게 되고, 결국 치아 표면은 녹기 시작한다.

여기에서 문제는 치아 표면이 어디까지 녹았을 때를 충치라고 이야기할 것인가에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치아 표면의 변화까지 모두 충치라고 하면, 모든 사람의 모든 치아에는 충치가 있다. 표면이 많이 녹아서 떨어져 나간 다음, 즉 쉽게 말해 구멍이 난 다음에만 충치라고 말하면 충치를 가진 사람의 수는 줄어들겠지만 치료 적기를 놓치는 경우도 생긴다. 충치가 진행될 것이 보이는 사람에게 굳이 충치가 커져서 ‘확실해’진 다음에 치료하자고 말할 필요는 없으니까. 결국 충치가 무엇인지는 치료 적정선에 관한 치과의사의 합의에 달린 문제이며, 이렇게만 보면 구성주의적 견해가 맞는다고 말해야 한다.

하지만 의학에서 구성주의는 환영받지 못하는데, 구성주의를 인정하면 아무렇게나 진단하는 것 또한 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질병이 그저 특정 집단의 합의 결과물이라면 그것은 그저 그들의 이익을 따르고 있을 뿐인 것 아닐까? 예컨대 충치 진단이 치과적 합의의 산물이라면, 그것은 치과의사들이 가장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정한 것이라고 생각해도 이상할 것은 없다. 심지어 그런 합의를 따를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얼마든지 가능해진다. 왜 저들의 질병 구분만 옳고 내 질병 구분은 틀렸는가? 저들이 다수라고 하여 옳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는 것이다.

이런 인식이 현실을 호도하고 심지어 잘못된 의학적 접근이 난립하는 결과를 가져와 많은 사람에게 큰 피해를 입히므로, 의학은 구성주의를 부정한다. 그렇다면 문제가 생긴다. 질병에 대해, 실재론을 택하자니 현실과 맞지 않고 구성주의를 택하자니 해악이 발생하므로 어느 쪽도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치대 교수님이 풀어주신 썰이 재밌어서 가져왔습니다.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025 정치尹대통령 “국체 흔드는 반국가행위, 단호 대응해야” 13 오호라 23/09/04 2270 0
35262 정치이동관 홍보수석실, 국정원에 정부 비판 인사 ‘여론 조작’ 지시 19 매뉴물있뉴 23/06/30 2270 2
36287 경제‘딤채’ 위니아, 36억원 규모 만기어음 부도 발생…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들 줄줄이 법정 관리 5 Overthemind 23/10/05 2270 0
36040 정치국방장관 교체 검토… 후임 신원식 유력 17 오호라 23/09/05 2270 0
35529 기타“리콴유가 남긴 다인종주의·반부패 정책이 싱가포르의 힘” 18 풀잎 23/07/23 2270 0
12490 IT/컴퓨터[IFA 2018]8K TV "최고화질"vs"시기상조" 논란 벤쟈민 18/09/02 2270 0
35021 정치尹의 뚝심인사… 김문수에 힘 싣고 이동관 지명 강행 14 오호라 23/06/12 2270 0
32719 정치서울 지하철요금, 8년 만에 오르나···무임수송 지원 무산에 “버티기 어려워” 40 Beer Inside 22/12/26 2270 0
26576 정치“‘두 아이 엄마’ 김혜경 VS ‘토리 엄마’ 김건희”… 與 한준호 글 논란 11 사십대독신귀족 21/11/17 2270 0
26577 사회경찰 앞 흉기 휘둘렀는데 "제압 안 하고 나가" 8 조지 포먼 21/11/17 2270 0
28370 정치대구 이어 서울·인천·경기… ‘방역패스 중단’ 소송 확산 조짐 2 Leeka 22/02/25 2270 0
30675 국제中, 펠로시 방문에 보복제재?…대만 과자 수입금지 6 Beer Inside 22/08/03 2270 0
35290 방송/연예"바이아웃 200억 제안" 피프피 피프티 소속사 '외부세력 입증' 녹취 공개 '충격' 31 메존일각 23/07/03 2270 0
26587 사회‘담배 훈계’ 보복한 중학생들 “우린 사람 죽여도 교도소 안 가” 1 swear 21/11/18 2270 0
31709 정치국감장 BTS "군대는 알아서 갈 테니" 입장 14 cummings 22/10/08 2270 0
487 기타檢 "영장 제시하고 청와대와 협의하에 압수수색 집행 중" 3 Credit 16/10/29 2270 0
27631 정치[D-50 여론] 李 37.9% vs 安 47.7% '安이 웃었다'..李-尹은 '접전' 4 Regenbogen 22/01/18 2270 0
18161 국제미국의 이란 솔레이마니 살해작전, 이스라엘이 정보 줬다 2 메오라시 20/01/12 2270 0
34044 정치올 것이 왔나…日정부 측 “독도는 일본땅, 윤석열 정부 임기 내에 해결해야” 10 캡틴실버 23/03/30 2270 1
29951 사회13살 여장 남학생에 속아 혼숙 허용, 모텔주인 '무죄' 4 tannenbaum 22/06/19 2270 0
32776 경제고정금리대출 강제 금리인상<철회>& 제2금융권 대출중단 20 cummings 22/12/29 2269 0
33548 경제"금리산정체계 바꾼다" 금감원 개입에 술렁이는 은행권 7 뉴스테드 23/02/24 2269 0
33295 사회"빚이 많아졌습니다, 폐 끼쳐서 미안합니다"…성남서 모녀 숨진 채 발견 5 swear 23/02/02 2269 1
32529 과학/기술전기차 무선충전 시대 열린다…과기부 “내달까지 주파수 분배” 7 cummings 22/12/09 2269 0
35857 정치장제원 "대통령이 언론사 사장한테 전화하면 안 됩니까? 나참‥" 13 매뉴물있뉴 23/08/18 226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