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11/19 18:07:38
Name   danielbard
File #1   b0132e1ee82920aafcebd12e27ae035b.jpg (109.5 KB), Download : 71
Subject   황교익 “부자는 치킨 안 먹는다…치킨은 서민·노동자 음식”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3231461

진짜 입만열면 저런소리 나오는것도 쉽지않은것같은데

교이쿠센세..



1


샨르우르파
맞는말도 쳐맞는말로 전환하는 기적의 화법
8
할로윈차차
광고 달라고 시위하나?
엄마곰도 귀엽다
이쯤되면 뇌속에 다른 세상이 있는거 아닌가
3
맥주만땅
미국 흑인들이 닭다리와 닭날개를 먹게 된 것은 농장주인 백인들이 뼈가 있는 음식은 천한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먹지 않은 것이지요.

그래서 닭고기를 먹지 않은 것이 아니고, 닭가슴살을 먹은 것이였지요.

교이쿠 상이 생각하는 부자는 유기농 그리고 채식 위주의 그리고 튀김을 먹지 않는 상상속의 용인가 봅니다.

교이쿠상도 출연료 많이 받아서 중산층 이상은 될 터인데, 본인이 치킨을 안먹나?
syzygii
어쩔치킨 저쩔맛있는데
매뉴물있뉴
https://www.facebook.com/kyoik.hwang.7/posts/3061097697439129
아니 그 도저히 기사로는 이 괴이함을 납득할 길이 없어서
직접 페이스북을 찾아서 원문을 읽어봤습니다..

....... 음... 그래도 원문을 읽어보면
['작은 닭보다 큰 닭이 맛있다'를
무슨 사회정의 구현 레벨로 승격시켜서 이해하고 계시다]

정도까지는 이해... 더 보기
https://www.facebook.com/kyoik.hwang.7/posts/3061097697439129
아니 그 도저히 기사로는 이 괴이함을 납득할 길이 없어서
직접 페이스북을 찾아서 원문을 읽어봤습니다..

....... 음... 그래도 원문을 읽어보면
['작은 닭보다 큰 닭이 맛있다'를
무슨 사회정의 구현 레벨로 승격시켜서 이해하고 계시다]

정도까지는 이해하는데 성공했읍니다.

......아니 저도 그 작은닭보다 큰닭이 맛있다고는 생각하는데요
그 큰닭 치킨이 더 맛있다고 저도 생각하는데
황선생님 말씀은 무슨말씀인지 도무지 모르겠읍니다.....
1
금일복권
교촌이 치킨값 올린거 관련해서 쓴거같긴한데 ㅋㅋ 치킨은 서민음식이다. 그러므로 비싸면 안된다? ㅋㅋㅋ
왼쪽의지배자
서민음식이라기엔 이미 너무비싼데
저분에겐 푼돈인가보군요
유튜브 원본 주세요 ㅠㅠ
리모기
https://youtu.be/qdptE0Iuo6M
353일 만에 석방 이재용 부회장 집 도착
jnote0504
뭐지 ㅋㅋㅋㅋ 치킨 배달인가여 ㅋㅋㅋ
와와와와와우
산적가지고도 댓글 200개 넘는 어그로를 만드실 수 있는 분입니다. 치킨따위야 쉽죠
과학상자
치킨 바이럴이네.. 오늘은 치킨
다크초코
저도 치킨 땡기네요.
고기찐빵
아 오늘 소고기 먹기로 했는데 이러면 치킨을…
당근매니아
매실의 전례를 살펴보건대 좀 있으면 치킨 광고 모델도 한번 하시지 않을까요.
2
흑마법사
재용쨩도 먹는건데!!!!!!!!
켈로그김
관심과 인정이 필요하긴 한데 노력은 하기 싫고(할 줄도 모르고)
짜잔~ 어그로나 끌어보자~

누가 교이쿠상한테 개념탑제 좀 젭알
키티호크
흠~~
저는 저 이야기에
'일면'이해가 된다하면 역적이 될까요?
황선생이 치킨을 두고 마치 산업혁명기의 설탕을 염두한 발언이 아닐까?
한 때 고급 소비재였으나 대중화되면서 즉시 뽑아낼 수 있는 부스터샷과도 같은 식품의 헌대적 양상이요.
저 문빠,횡빠 아닙니다
1
기사 읽어보면 말씀하시는 여기서 말하는 서민음식이란 개념은 음식의 대중화하곤 결이 다른것 같습니다. 최대한 긍정적으로 해석해보자면 저양반 생각엔 치킨은 서민이 즐기는 대표적인 음식인데 프랜차이즈 재벌이 이를 가지고 품질은 떨어뜨리면서 부를 착취하고 있으니 서민들을 위해 치킨크기를 늘려야한다가 주된 논리로 보이네요. 물론 저는 이 논리에 동의하지않지만요.
키티호크
네, 지적하신 점에 유의하여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근데 제 말씀은 그 태동과 뒤이은 대중화가 인과관계적이라는 것이라...
음...음식의 태동과 대중화라는 인과관계가 황교익의 치킨 논리에서 어떤 부분과 상응하는지 제 짧은 식견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기사 및 최근들어 계속해서 언급중인 그의 치킨 관련 투쟁 선언등을 찾아 보면, 황교익 선생은 적어도 치킨에 한해서 끊임없이 자본계층과 노동자 계층의 착취과정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점만 보인다고 생각해서요. 떡볶이때도 그랬던것처럼요. 그래서 위의 기사 제목도 어떤 의미에선 잘못되었다고 보는 편입니다. 부자는 안먹는다는건 그의 세계관에서 별 중요한 이야기처럼 보이지 않아요. 기사에 나온 그의 주장에 따르면... 더 보기
음...음식의 태동과 대중화라는 인과관계가 황교익의 치킨 논리에서 어떤 부분과 상응하는지 제 짧은 식견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기사 및 최근들어 계속해서 언급중인 그의 치킨 관련 투쟁 선언등을 찾아 보면, 황교익 선생은 적어도 치킨에 한해서 끊임없이 자본계층과 노동자 계층의 착취과정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점만 보인다고 생각해서요. 떡볶이때도 그랬던것처럼요. 그래서 위의 기사 제목도 어떤 의미에선 잘못되었다고 보는 편입니다. 부자는 안먹는다는건 그의 세계관에서 별 중요한 이야기처럼 보이지 않아요. 기사에 나온 그의 주장에 따르면 황교익 선생에게 정말로 중요한건 한국 치킨 재벌이 양념빨로 한국 대중의 미각을 속이면서 부를 착취하고 있는 이 현실을 타파해야한다는 사명일테니깐요. 만일 그의 표현을 빌려서 표현해보자면 '치킨이 맛이 없어진' 과정 자체가 일면 대중화의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신거라면 그부분은 정말로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의미가 있는게 아니라 정말로 모르겠거든요. 정말로 치킨이 대중화 되는 과정에서 맛은 어느정도 사라지고 양념맛에 크게 의존하고있는지, 그리고 품질저하가 정말로 발생했는지 말입니다. 다만 치킨이 태생적으로는 노동자 계층의 음식이라는 말 자체는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치킨 스타일이 미국 남부지역 흑인 가정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을 따르자면요. 다만 황교익 선생의 주장에는 이 역시 중요한 맥락은 아닌것처럼 보이는 편이구요. 물론 이 역시 제가 배움이 일천한 탓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대중화와 서민의 음식, 그리고 그 식품을 공급하는 산업자본... 기사만 보면 그런 문제의식이 떠오를 수 있겠어요. 하지만 거두절미하고 제가 쓴 취지만 말씀드릴게요.
설탕이 유럽에서 난 첨가물은 아니에요. 구대륙 식민농업의 생산물이에요. 이게 처음 유럽으로 들어가며 후추같은 다른 식재료와 함께 귀족,자본가들 대단히 호사스런 감미료가 되었읍니다. 예를 들어 설탕이 들어간 홍차는 아주 맛이가 있는 차로 거듭나는? 것으로요. 유럽으로 들어오는 설탕의 양이 늘며 노동자층에도 널리 퍼졌어요. 하지만 그 초기적 양상은 사탕, 설탕이 듬뿍 들... 더 보기
대중화와 서민의 음식, 그리고 그 식품을 공급하는 산업자본... 기사만 보면 그런 문제의식이 떠오를 수 있겠어요. 하지만 거두절미하고 제가 쓴 취지만 말씀드릴게요.
설탕이 유럽에서 난 첨가물은 아니에요. 구대륙 식민농업의 생산물이에요. 이게 처음 유럽으로 들어가며 후추같은 다른 식재료와 함께 귀족,자본가들 대단히 호사스런 감미료가 되었읍니다. 예를 들어 설탕이 들어간 홍차는 아주 맛이가 있는 차로 거듭나는? 것으로요. 유럽으로 들어오는 설탕의 양이 늘며 노동자층에도 널리 퍼졌어요. 하지만 그 초기적 양상은 사탕, 설탕이 듬뿍 들어간 빵처럼, 먹은 후 빠르게 에너지로 전환되는 식재료였다고합니다.
황센세의 치킨 이야기를 보고 제가 떠올린 부분입니다.
시간과 재료를 적절히 투입한 음식이 건강한 음식일 것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거라 생각해요.
그 점에서 튀긴 음식이 가정에서 하기 어려운 점,
대규모 농장에서 생산된 규격화된 닭이 갖는 영양적 요소...이런 걸 염지와 적절한 양념므로 조리하고 이를 전화만 누르면 배달되는 편리함에서 경제적 약자?의 쉽게 접근 가능한 음식으로 본 것 같아요. 쉽게 허기를 달래고 맥주와 함께 일상의 고단함을 달래는....
치킨, 훌륭한 음식이죠.
횡센세가 나름 공부를 많이한 사람이라 생각해요. 하지만 그걸 담아내는 접시는 좀 문제가 있지요.

또 읽어봤는데 황센세가 좀 억울하겠어요. 기자가 제목을 ㅇ같이 뽑았군요
The xian
저런 헛소리를 언론에서 실어주니 아직도 신나서 떠드는 거고.
아직 자기가 입으로 만든 거짓으로 크게 화를 본 것도 없으니 저러고 있는 게죠.

흔히 관종에게 먹이를 주지 말라고 하는데 스스로 기자들이 먹잇감이 되어주는데 저런 소리를 멈출 리가 있나...
관종에게 주면 안됩니다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710 기타뉴스룸의 세대갈등 1 구밀복검 21/11/27 3266 10
26691 기타코카인 4000만인분 오배송 15 고기찐빵 21/11/25 3339 1
26689 기타"벌때 바짝 벌어야"…41세 소득정점 찍고 60세부터 적자 34 moqq 21/11/25 4343 0
26679 기타흑산홍어 썰기 자격증 도입…K-발효식품 만든다 3 다군 21/11/25 2547 0
26613 기타황교익 “부자는 치킨 안 먹는다…치킨은 서민·노동자 음식” 25 danielbard 21/11/19 4073 1
26455 기타따뜻한 입동 지나면 날씨 급변...겨울 추위에 첫눈 4 철든 피터팬 21/11/06 2494 1
26448 기타“한국인 10명 중 6명, 하루 한번 이상 머리 감는다"…시간은 평균 17.7분 8 다군 21/11/05 2963 0
26433 기타서귀포서 낚시로 31㎏ 거대 다금바리 잡아…50∼60인분 10 다군 21/11/04 2844 1
26377 기타오늘부터 위드 코로나.. 무엇이 바뀌나? 2 은하노트텐플러스 21/11/01 2376 0
26371 기타"하수구서 변 넘치는 꿈 꿨다"…연금복권 1·2등 동시당첨 사연 12 swear 21/10/31 2725 0
26266 기타비참한 결말 아니길 바래도.. 돌봄과 죽음 2 알료사 21/10/23 2810 4
26222 기타“판교 IBM에 폭탄 설치” 이메일에 직원들 대피…경찰 출동 4 보리건빵 21/10/19 3522 0
26140 기타갑자기 또 초겨울 날씨?…이번 주말 첫 한파특보 예상 7 다군 21/10/13 2849 0
26136 기타업비트, 강남 땅+빌딩 3000억 매입 5 lonely INTJ 21/10/13 2833 0
26129 기타양승동 KBS사장 "수신료 인상 코로나 종결 이후 본격 논의 전망" 4 은하노트텐플러스 21/10/12 2869 0
26110 기타음주 운전보다 형량 낮은 ‘음주 측정 거부’… 악용 우려 8 cummings 21/10/11 3947 2
26095 기타바이든, 친구 입원 도우러 만원 응급실에 전화 5 알료사 21/10/09 2503 0
26010 기타실종자 수색 돕던 남성, 이름 듣자 "그거 전데요?" 6 알료사 21/10/02 3109 2
25978 기타은행권 “시한 폭탄 커진다” 25 Wolf 21/09/30 3543 0
25893 기타귀리우유·녹두계란...대체식품 뜬다 16 swear 21/09/26 3123 0
25873 기타하나만 쓰라는 텀블러를 수백 개 수집… 친환경 마케팅의 아이러니 18 swear 21/09/24 3775 1
25839 기타‘대장동 개발’ 논란, 알려진 것과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 54 절름발이이리 21/09/21 6174 7
25833 기타"추석에 한국은 조상 제례, 중국은 달 제사…음식도 달라" 8 다군 21/09/20 4268 0
25830 기타"1시간내 끝난다""전 부치면 10만원" 당근마켓 이색알바 1 swear 21/09/19 3713 0
25642 기타친구 폰서 본 8살딸 성폭행 영상..아빠 선택은 친구 살해였다 10 알겠슘돠 21/09/08 272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