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03/09 02:18:49
Name   구글 고랭이
File #1   다운로드___2021_03_09T021828.792.jpeg (51.7 KB), Download : 58
Subject   브렉시트 발효 60일, 미풍일까 광풍일까


https://news.v.daum.net/v/20210308195725078?x_trkm=t


2015년 5월 총선에서 보수당이 재집권에 성공하자, 캐머런은 공약대로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2016년 6월 23일(현지시각)에 실시한다고 공표했다. 2015년 초반까지만 해도 브렉시트 가능성은 희박했다. 그러나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유럽 난민 사태와 유로존 위기로 브렉시트 찬성론이 기세를 얻었다. 결국 투표에 참여한 영국 국민 3355만 명 중 51.9%인 1742만 명이 브렉시트 찬성에 표를 던지면서 브렉시트가 결정됐다. 영국의 EC 가입 후 브렉시트 결정까지 43년이 걸린 셈이다. 이어 영국과 EU의 협상을 거쳐 올해 1월 1일 브렉시트가 발효했다.

경제학자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브렉시트는 세계사적 대전환”이라고 평하고 “과거에 가졌던 탈(脫)유럽에 대한 두려움보다 신자유시대를 거치며 누적된 영국인의 불만이 더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무엇보다 브렉시트는 세계 패권 지형도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체제가 계속 자리 잡을 것인가, 아니면 신고립주의에 근거한 새로운 질서가 등장할 것인가가 관심사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의 ‘아시아 회귀 정책(pivot to Asia)’은 유럽의 안정을 전제로 중국 패권의 부상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유럽의 분열을 틈타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사건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다시 유럽에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은 동북아 국제정세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가장 먼저 참여했던 사례처럼 중국과의 경제협력에서 돌파구를 찾으려 할 수도 있다. 이런 영·중 관계 변화도 한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영국은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실패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하루가 멀다 하고 소셜미디어(SNS)에 백신 접종 현황을 공개하는 등 사태 수습에 발 벗고 나섰다. 브렉시트 여파보다 코로나19 대책에 부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산업계 피해가 조금씩 생기고 있는 중이다. 앞서 영국 재무부는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면 2년간 파운드화 가치가 12% 폭락하고, 국내총생산이 3.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부채는 240억파운드(약 37조6000억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사태가 끓는 물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이 있다. 영국 경영진의 4분의 3 이상이 브렉시트 투표로 인해 본사 또는 영업망의 일부를 영국 밖에 배치하는 사안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 KPMG가 영국 경영진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는 본사 또는 영업지점을 해외로 옮기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조사 대상은 연 매출 1억~10억파운드(약 1600억~1조6000억원), 고용 인원 500명 이상인 영국 기업이었다.

글로벌 금융허브(금융 중심지) 런던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런던은 제삼 세계 달러화 공급의 축이며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의 완충지대 겸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브렉시트로 인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이 새로운 금융허브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영국 정부는 금융허브 위상이 흔들리자 글로벌 상장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개혁에 나섰다. 특히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규제 완화를 통한 디지털 금융 빅뱅 구상도 나오고 있다.





정치적 기질을 떠나서 브렉시트가 금융경제적으론 여러모로 손해인거 같은데.. 아무튼 영국이 앞으로 유럽, 미국, 중국과 어떤 국제관계를 맺을지 또 산업구조를 어떻게 바꿀지 여러모로 주목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524 정치기로에 선 인요한 혁신위…‘희생’ 요구에 친윤 ‘침묵’, 비윤계는 ‘냉소’ 뉴스테드 23/11/05 2407 0
6067 기타응급수술 받은 10살 소녀 구금..美 불체자 과잉단속 논란 알겠슘돠 17/10/27 2407 0
25779 정치이필형, 영수증·CCTV 공개 "평생 박지원·조성은 만난 적 없어...尹측은 바보들" 11 다군 21/09/15 2407 0
30652 기타친구라도 금수저…"부자 친구 많은 동네서 자라면 커서 소득↑" 13 다군 22/08/02 2407 1
22466 의료/건강정은경 질병관리청장, 어깨 골절 부상으로 입원 1 T.Robin 20/12/02 2407 1
18373 정치여, 김의겸·정봉주에 불출마 권고…"본인 결단 필요" 11 Darker-circle 20/01/28 2407 2
36295 사회'엽기적인 시내버스 기사'…승객 태운 채 아내 운전 연습시켜 8 메존일각 23/10/06 2407 0
36041 사회직장 어린이집 백지화 알고보니..."벌금이 더 싸다?" 발언 논란 26 swear 23/09/05 2407 0
36042 정치정부 "日오염수 관련 설문조사, 문항 객관적으로 구성해야" 4 오호라 23/09/05 2407 0
12238 스포츠'맞았나 안 맞았나' 내기당구 치다 주먹다짐 철없는 50대들 5 월화수목김사왈아 18/08/16 2407 0
20439 사회삼성 해고노동자 김용희씨, 355일만에 철탑 고공농성 중단(종합) 6 다군 20/05/29 2407 4
11480 경제(라디오) 소상공인의 눈물, 최저임금보다 임대료가 문제 8 알겠슘돠 18/07/16 2407 1
10969 경제2년 새 2만3000개···대기업 일자리가 사라졌다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8/06/25 2407 0
27097 정치김종인 "이준석 선대위 복귀 기대 어려워" 14 대법관 21/12/21 2407 0
13019 국제시진핑, 군부 숙청 '칼바람'..팡펑후이 등 후진타오 인맥 축출 2 김우라만 18/10/17 2407 0
15839 정치황교안, 엉덩이춤 눈총받자 '좌파언론 탓' 또 황당대응 5 The xian 19/06/28 2407 0
26079 사회영어유치원서 9일간 170번 학대‥"다른 아이 남긴 죽 먹여" 8 구밀복검 21/10/08 2407 0
27104 사회동창생 나체로 가둬놓고 34kg되도록 굶겨 살해… 20대 2명에 징역 30년 선고 16 Regenbogen 21/12/22 2407 0
21473 정치문 대통령 "지금 못 막으면 거리두기 3단계 불가피" 2 The xian 20/08/24 2407 0
35041 정치尹 “싱하이밍, 조선 농단한 위안스카이 떠올리게 해” 4 퓨질리어 23/06/14 2407 0
35042 정치국민의힘 이용호 "방통위원장에 합리적·상식적 사람 곤란‥이동관 같은 사람이 가야" 14 오호라 23/06/14 2407 0
27118 정치서병수"윤핵관 안 쳐내면 나갈 사람 많아" 5 대법관 21/12/22 2407 0
13557 경제존재감 없는 중국 위안화 3 보내라 18/11/27 2407 0
19703 의료/건강격리치료 외국인 첫 퇴소.. "완치 감사" 115만원 기부 1 Schweigen 20/04/08 2407 0
30201 경제“외환거래 때 ‘미신고’ 원칙으로 개편”…정부 ‘新외환법’ 만든다 4 야얌 22/07/05 240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