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03/09 02:18:49
Name   구글 고랭이
File #1   다운로드___2021_03_09T021828.792.jpeg (51.7 KB), Download : 58
Subject   브렉시트 발효 60일, 미풍일까 광풍일까


https://news.v.daum.net/v/20210308195725078?x_trkm=t


2015년 5월 총선에서 보수당이 재집권에 성공하자, 캐머런은 공약대로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2016년 6월 23일(현지시각)에 실시한다고 공표했다. 2015년 초반까지만 해도 브렉시트 가능성은 희박했다. 그러나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유럽 난민 사태와 유로존 위기로 브렉시트 찬성론이 기세를 얻었다. 결국 투표에 참여한 영국 국민 3355만 명 중 51.9%인 1742만 명이 브렉시트 찬성에 표를 던지면서 브렉시트가 결정됐다. 영국의 EC 가입 후 브렉시트 결정까지 43년이 걸린 셈이다. 이어 영국과 EU의 협상을 거쳐 올해 1월 1일 브렉시트가 발효했다.

경제학자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브렉시트는 세계사적 대전환”이라고 평하고 “과거에 가졌던 탈(脫)유럽에 대한 두려움보다 신자유시대를 거치며 누적된 영국인의 불만이 더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무엇보다 브렉시트는 세계 패권 지형도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체제가 계속 자리 잡을 것인가, 아니면 신고립주의에 근거한 새로운 질서가 등장할 것인가가 관심사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의 ‘아시아 회귀 정책(pivot to Asia)’은 유럽의 안정을 전제로 중국 패권의 부상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유럽의 분열을 틈타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사건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다시 유럽에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은 동북아 국제정세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가장 먼저 참여했던 사례처럼 중국과의 경제협력에서 돌파구를 찾으려 할 수도 있다. 이런 영·중 관계 변화도 한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영국은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실패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하루가 멀다 하고 소셜미디어(SNS)에 백신 접종 현황을 공개하는 등 사태 수습에 발 벗고 나섰다. 브렉시트 여파보다 코로나19 대책에 부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산업계 피해가 조금씩 생기고 있는 중이다. 앞서 영국 재무부는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면 2년간 파운드화 가치가 12% 폭락하고, 국내총생산이 3.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부채는 240억파운드(약 37조6000억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사태가 끓는 물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이 있다. 영국 경영진의 4분의 3 이상이 브렉시트 투표로 인해 본사 또는 영업망의 일부를 영국 밖에 배치하는 사안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 KPMG가 영국 경영진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는 본사 또는 영업지점을 해외로 옮기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조사 대상은 연 매출 1억~10억파운드(약 1600억~1조6000억원), 고용 인원 500명 이상인 영국 기업이었다.

글로벌 금융허브(금융 중심지) 런던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런던은 제삼 세계 달러화 공급의 축이며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의 완충지대 겸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브렉시트로 인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이 새로운 금융허브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영국 정부는 금융허브 위상이 흔들리자 글로벌 상장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개혁에 나섰다. 특히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규제 완화를 통한 디지털 금융 빅뱅 구상도 나오고 있다.





정치적 기질을 떠나서 브렉시트가 금융경제적으론 여러모로 손해인거 같은데.. 아무튼 영국이 앞으로 유럽, 미국, 중국과 어떤 국제관계를 맺을지 또 산업구조를 어떻게 바꿀지 여러모로 주목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238 스포츠'맞았나 안 맞았나' 내기당구 치다 주먹다짐 철없는 50대들 5 월화수목김사왈아 18/08/16 2391 0
18390 정치이준석 “원종건 미투 검증? 나도 못해…비난하고 싶지 않아” 13 DX루카포드 20/01/29 2391 0
22486 사회"음란사이트에서 신적 존재"..10대 성착취 배준환 무기징역 구형 3 Schweigen 20/12/03 2391 2
10969 경제2년 새 2만3000개···대기업 일자리가 사라졌다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8/06/25 2391 0
27097 정치김종인 "이준석 선대위 복귀 기대 어려워" 14 대법관 21/12/21 2391 0
480 기타"박근혜 대표 연설문 모처 거치고 나면 '걸레'돼 오더라" NF140416 16/10/29 2391 0
30435 국제식량난에 무릎 꿇나.. 경기 침체 공포, 유럽 정치 흔든다 4 알료사 22/07/19 2391 0
30691 정치허식 인천시의장 SNS에 "문재인 구속…경찰 나부랭이 처벌" 논란 5 tannenbaum 22/08/03 2391 0
19430 경제"코로나 키트, 무조건 한국산" 美·유럽서 러브콜 쇄도 步いても步いても 20/03/24 2391 1
27367 정치김건희 '유령 큐레이터' 의혹, 미술관 직원들 "그런 사람 없었다" 6 알탈 22/01/04 2391 0
3560 방송/연예'두데' 박준형 "딸 미역 사러 울산行, 일산 옆인 줄 알았다" 3 알겠슘돠 17/06/17 2391 0
36585 사회룸카페 일탈 옥죄자, '무인 룸카페'로 몰리는 청소년 21 수원토박이 23/11/14 2391 0
12780 경제은산분리 완화안 통과에 인터넷은행 일제히 "환영" AGuyWithGlasses 18/09/21 2391 0
24558 사회중국인, 경기도 주택 1만채 넘게 사들였다 23 조지 포먼 21/06/11 2391 0
29937 기타OTT '쪼개팔기' 논란 페이센스, 정말 문제없을까 5 다군 22/06/18 2391 0
31985 정치감사원, 사흘에 한 번꼴 해경에 공문 ‘서해 피격 사건’ 자료 제출 닦달 9 과학상자 22/10/26 2391 2
32754 국제"한국인 81%가 중국에 부정적…56개국중 반중정서 가장 강해" 33 다군 22/12/27 2391 0
9715 정치‘드루킹' 몸통 수사는 안하고, '언론사 압수수색'만 속도내는 경찰 11 빠독이 18/04/25 2391 0
13557 경제존재감 없는 중국 위안화 3 보내라 18/11/27 2391 0
31479 사회"1박 32만원 예약한 펜션, 5시간 걸려 갔는데 방이 없답니다" 5 swear 22/09/25 2391 0
25593 사회8살 아이가 화물차 몰고 50분 질주 '아찔' 4 swear 21/09/03 2391 0
511 기타"이완구 총리 옹호 댓글 달아라" 최순실 측근 회사에 댓글부대 있었다 3 하니n세이버 16/10/31 2391 0
32002 IT/컴퓨터"수입 90% 줄고 카카오 보상 미지수" 티스토리 블로거들 호소 5 구밀복검 22/10/28 2390 0
17924 국제홍콩 시위에서 위구르 지지 첫 시위 1 메오라시 19/12/23 2390 0
19218 외신대만, 자가격리 위반에 또 4천만원 벌금폭탄..70명에 고지서 步いても步いても 20/03/12 239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