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1/03/09 02:18:49
Name   구글 고랭이
File #1   다운로드___2021_03_09T021828.792.jpeg (51.7 KB), Download : 58
Subject   브렉시트 발효 60일, 미풍일까 광풍일까


https://news.v.daum.net/v/20210308195725078?x_trkm=t


2015년 5월 총선에서 보수당이 재집권에 성공하자, 캐머런은 공약대로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2016년 6월 23일(현지시각)에 실시한다고 공표했다. 2015년 초반까지만 해도 브렉시트 가능성은 희박했다. 그러나 시리아 내전으로 인한 유럽 난민 사태와 유로존 위기로 브렉시트 찬성론이 기세를 얻었다. 결국 투표에 참여한 영국 국민 3355만 명 중 51.9%인 1742만 명이 브렉시트 찬성에 표를 던지면서 브렉시트가 결정됐다. 영국의 EC 가입 후 브렉시트 결정까지 43년이 걸린 셈이다. 이어 영국과 EU의 협상을 거쳐 올해 1월 1일 브렉시트가 발효했다.

경제학자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브렉시트는 세계사적 대전환”이라고 평하고 “과거에 가졌던 탈(脫)유럽에 대한 두려움보다 신자유시대를 거치며 누적된 영국인의 불만이 더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무엇보다 브렉시트는 세계 패권 지형도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체제가 계속 자리 잡을 것인가, 아니면 신고립주의에 근거한 새로운 질서가 등장할 것인가가 관심사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의 ‘아시아 회귀 정책(pivot to Asia)’은 유럽의 안정을 전제로 중국 패권의 부상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유럽의 분열을 틈타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사건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이 다시 유럽에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은 동북아 국제정세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가장 먼저 참여했던 사례처럼 중국과의 경제협력에서 돌파구를 찾으려 할 수도 있다. 이런 영·중 관계 변화도 한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영국은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실패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하루가 멀다 하고 소셜미디어(SNS)에 백신 접종 현황을 공개하는 등 사태 수습에 발 벗고 나섰다. 브렉시트 여파보다 코로나19 대책에 부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산업계 피해가 조금씩 생기고 있는 중이다. 앞서 영국 재무부는 브렉시트가 현실화하면 2년간 파운드화 가치가 12% 폭락하고, 국내총생산이 3.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부채는 240억파운드(약 37조6000억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사태가 끓는 물에 기름을 부을 가능성이 있다. 영국 경영진의 4분의 3 이상이 브렉시트 투표로 인해 본사 또는 영업망의 일부를 영국 밖에 배치하는 사안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 KPMG가 영국 경영진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는 본사 또는 영업지점을 해외로 옮기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조사 대상은 연 매출 1억~10억파운드(약 1600억~1조6000억원), 고용 인원 500명 이상인 영국 기업이었다.

글로벌 금융허브(금융 중심지) 런던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런던은 제삼 세계 달러화 공급의 축이며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의 완충지대 겸 창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브렉시트로 인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이 새로운 금융허브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영국 정부는 금융허브 위상이 흔들리자 글로벌 상장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개혁에 나섰다. 특히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규제 완화를 통한 디지털 금융 빅뱅 구상도 나오고 있다.





정치적 기질을 떠나서 브렉시트가 금융경제적으론 여러모로 손해인거 같은데.. 아무튼 영국이 앞으로 유럽, 미국, 중국과 어떤 국제관계를 맺을지 또 산업구조를 어떻게 바꿀지 여러모로 주목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010 국제국민연금, 2조 골드만 런던사옥 산다 알겠슘돠 18/08/02 2364 0
492 기타"편의점 도시락 좋아서 먹겠냐..혼자 식당가면 눈칫밥 먹자나요" 2 NF140416 16/10/30 2364 1
2798 스포츠불까지 태운 안양, 의지와 달랐던 경기 결과 2 P.GoN 17/04/19 2364 0
23534 국제브렉시트 발효 60일, 미풍일까 광풍일까 1 구글 고랭이 21/03/09 2364 0
15343 정치민주硏 "北 발사체, 군사적 '무모함' 아닌 대화하려는 '절실함'" 18 세란마구리 19/05/09 2364 4
31727 과학/기술'저수지가 잠수함?' 北, 저수지서 SLBM 발사..열차 이은 새수단 1 Beer Inside 22/10/10 2364 0
2545 사회세월호 조타수 오용석씨, 사망 전 옥중편지…장헌권목사 "진실규명 위해 양심선언해달라" 은머리 17/03/29 2364 0
15096 문화/예술3시간짜리 `어벤져스4`…24시간 상영하나 4 알겠슘돠 19/04/07 2364 0
507 기타최순득? 진짜 악마는 따로 있다! 1 April_fool 16/10/31 2364 0
37374 정치한동훈, "우리는 '개딸 전체주의' 없어야" 22 명동의밤 24/03/10 2364 0
1535 방송/연예차인표 "빛·진실·아내, 가장 중요한 3가지" 3 우웩 17/01/11 2364 0
30207 사회‘한국 파스퇴르’ 이호왕 교수 별세…한탄바이러스 발견 “우연은 …” 3 Profit 22/07/06 2364 1
34818 사회"자전거에 10㎝ 긁혔는데..." 2,100만 원 요구한 2013년식 마세라티 차주 11 tannenbaum 23/05/26 2363 0
9988 경제국민 10명 중 6명 “자기 집에서 살거나 자기 집 보유” 2 JUFAFA 18/05/08 2363 0
11018 사회난투극 부른 남아의 손.. "8세라도 성추행" "애가 뭘 아나" 6 tannenbaum 18/06/27 2363 0
37908 IT/컴퓨터50% 지분 소프트뱅크 "라인야후는 자회사"…입지 좁아진 네이버 25 우스미 24/05/08 2363 0
8226 기타[인터뷰] 소년재판 떠나는 천종호 "아이들, 울면서 문자보내" 1 알겠슘돠 18/02/23 2363 0
33059 정치"전두환 시대였다면"…장제원子, 래퍼 노엘 '가사 논란' 12 swear 23/01/15 2363 0
14634 사회우편물에서 봤던 얼굴 기억한 시민이 성범죄 피해 막았다 3 뱅드림! 19/02/17 2363 1
2092 기타호랑이 사육장에 나타난 드론…기발한 다이어트 법 에밀 17/02/26 2363 0
21808 정치박덕흠, 내일 '피감기관 공사수주' 의혹 직접 해명한다 1 메리메리 20/09/20 2363 0
5943 스포츠캘러웨이, NYM 감독 선임..KBO 외인 첫 ML 감독 2 Beer Inside 17/10/23 2363 1
10044 사회출입국사무소의 오판..공항 탑승동에 2주 방치된 난민신청자 1 알겠슘돠 18/05/10 2363 0
30013 경제기아 내수용 전기차에 중국산 배터리 첫 장착 7 하우두유두 22/06/22 2363 0
833 기타이해찬·노건호, '盧, 삼성서 8천억원' 발언 김경재 고소 2 하니n세이버 16/11/21 236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