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0/03/18 22:52:09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김부겸, “국가와 국가 재정은 왜 존재하는가”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52&fbclid=IwAR0ouusthkp-osKqOkZTt3vAMwChAXSVhDZQajEVL4TrTGb7Do51Z_nsLkA


추경 항목을 바꾸면 정부 지출이 불가피하게 늘어나지 않을까. 우리나라 재정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는 ‘재정건전성(세입 내에서 정부 지출을 제한해야 한다는 원칙)’을 대단히 중시한다. 지출 증가엔 결사적으로 저항할 것이다.

국가 살림에서 재정건전성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원칙이다. 그러나 ‘재정건전성 자체를 위해 모든 것(예컨대 민생)을 희생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도그마(맹목적 신념·신앙)에 불과하다. 행자부 장관 시절 뼈저리게 느꼈는데, 기획재정부는 모든 국가 운영의 틀에서 재정건전성을 최우선으로 둔다. 절대 흔들리지 않는다. 예컨대 국가부채가 국내총생산의 40%를 넘기면 안 된다고 고집한다. 그런데 이 ‘40%’라는 수치가 어디서 나왔나? 어떤 이론적 배경이 있나? 이에 대해서는 입을 다문다. 국가부채가 국내총생산의 200%를 훌쩍 넘어서는 일본 정부의 경우, 예산의 20~30%를 이자로 지급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가면 당연히 안 된다. 선진국 가운데 한국만큼 재정이 건전한 나라가 또 있나? 2018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들의 국가부채비율(국가부채/GDP)을 찾아봤는데, 한국이 38.9%에 불과한 반면 일본 214.6%, 이탈리아 142.5%, 프랑스 110%, 미국 99.2%, 독일 66.1% 등이었다.

재정은 건전할수록 좋다. 국가의 빚이 너무 많으면 ‘진짜 어려울 때’ 필요한 공공자금을 조달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누가 빚 많은 자(혹은 국가)에게 선뜻 돈을 빌려주려 하겠는가.

그 ‘진짜 어려운 시기’는 도대체 언제인가? 나는 지금이라고 생각한다. 코로나19로 일상이 무너진 시민들에게 재정건전성을 이유로 대출 지원만 한다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감염병이라는 도적떼가 온 국민의 살림을 거덜 내고 있다. 결국 소득이 사라져버린 시민 개개인들이 각자 빚을 내서 먹고살거나, 아니면 국가가 빚을 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는 재정건전성 원칙 때문에 빚을 낼 수 없습니다. 각자 알아서 빚을 내 해결하세요”라고 말해도 되는가? 국가와 국가 재정은 왜 존재하는가?


---------------------

경알못입니다. 전세계 어지간한 나라들의 재정정책은 지금 자기네 경제가 방금 막 숨넘어간 시신이라고 생각하고 씨밤 꽝 하고 전기충격 주듯이 때려붓는 게 대세인 것 같은데 우리라고 그렇게 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435 국제식량난에 무릎 꿇나.. 경기 침체 공포, 유럽 정치 흔든다 4 알료사 22/07/19 2391 0
30691 정치허식 인천시의장 SNS에 "문재인 구속…경찰 나부랭이 처벌" 논란 5 tannenbaum 22/08/03 2391 0
19430 경제"코로나 키트, 무조건 한국산" 美·유럽서 러브콜 쇄도 步いても步いても 20/03/24 2391 1
27367 정치김건희 '유령 큐레이터' 의혹, 미술관 직원들 "그런 사람 없었다" 6 알탈 22/01/04 2391 0
3560 방송/연예'두데' 박준형 "딸 미역 사러 울산行, 일산 옆인 줄 알았다" 3 알겠슘돠 17/06/17 2391 0
36585 사회룸카페 일탈 옥죄자, '무인 룸카페'로 몰리는 청소년 21 수원토박이 23/11/14 2391 0
12780 경제은산분리 완화안 통과에 인터넷은행 일제히 "환영" AGuyWithGlasses 18/09/21 2391 0
24558 사회중국인, 경기도 주택 1만채 넘게 사들였다 23 조지 포먼 21/06/11 2391 0
29937 기타OTT '쪼개팔기' 논란 페이센스, 정말 문제없을까 5 다군 22/06/18 2391 0
31985 정치감사원, 사흘에 한 번꼴 해경에 공문 ‘서해 피격 사건’ 자료 제출 닦달 9 과학상자 22/10/26 2391 2
32754 국제"한국인 81%가 중국에 부정적…56개국중 반중정서 가장 강해" 33 다군 22/12/27 2391 0
9715 정치‘드루킹' 몸통 수사는 안하고, '언론사 압수수색'만 속도내는 경찰 11 빠독이 18/04/25 2391 0
13557 경제존재감 없는 중국 위안화 3 보내라 18/11/27 2391 0
34294 사회이수정 교수 “학폭, 학교전담경찰이 맡아야 .. 학교에 떠넘기는 건 넌센스” 27 Only 23/04/18 2391 1
31479 사회"1박 32만원 예약한 펜션, 5시간 걸려 갔는데 방이 없답니다" 5 swear 22/09/25 2391 0
25593 사회8살 아이가 화물차 몰고 50분 질주 '아찔' 4 swear 21/09/03 2391 0
32507 정치이태원 희생자 89명의 유족들 모였다…10일 협의회 출범 17 매뉴물있뉴 22/12/08 2391 0
511 기타"이완구 총리 옹호 댓글 달아라" 최순실 측근 회사에 댓글부대 있었다 3 하니n세이버 16/10/31 2391 0
32002 IT/컴퓨터"수입 90% 줄고 카카오 보상 미지수" 티스토리 블로거들 호소 5 구밀복검 22/10/28 2390 0
17924 국제홍콩 시위에서 위구르 지지 첫 시위 1 메오라시 19/12/23 2390 0
19218 외신대만, 자가격리 위반에 또 4천만원 벌금폭탄..70명에 고지서 步いても步いても 20/03/12 2390 0
11539 사회 "찜통더위에 미세먼지까지..창문도 못 열어 힘들어요" 1 알겠슘돠 18/07/17 2390 0
15636 경제MG손보, 경영개선명령 예고…보험 계약 어떻게 되나 1 메리메리 19/06/05 2390 0
17940 정치'친이·비박' 국민통합연대 출범.. '황교안 보수'와 대립각 16 파이어 아벤트 19/12/23 2390 0
28180 사회정책검증보도 가장 많이 한 신문은 4 구밀복검 22/02/15 2390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