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9/11/04 21:55:55
Name   Fate
Subject   툭하면 입법 패싱, 위헌논란 부르는 문 정부 '시행령 정치'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2950027

『청와대 정부』의 저자 박상훈(국회 미래연구원 초빙연구원) 박사는 “문재인 정부 초기부터 ‘국민청원이나 여론→청와대 개입→시행령 개정’으로 이어지는 정책 집행의 구조가 두드러졌다”며 “직접민주주의를 강조하면 시민의 힘이 세질 것 같지만 행정권이 강해지는 역설이 벌어진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라고 말했다.

***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는 면도 있습니다.
입법부가 사실상 협치를 거부하니 정권으로선 별다른 수단도 없겠죠.

그런데 이 기사를 읽고 있자니 갑자기 2011년에 읽은 글이 떠오릅니다.
http://www.twitlonger.com/show/eaub7m

만일 의회의 다수당이 어떤 법률을 관철시키려고 하지만 소수당과 여론이 반대한다고 할 때, 우리 정치시스템은 대의제의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를 처리하고자 한다. (1) 의회 내에서 법률과 자치법규가 정하는 바에 따라 토론을 하고, (2) 표결에 따라 법률을 처리한다. (3) 이것이 국민/해당선거구 다수의 의견과 반대되더라도 그것은 법률의 성립과 효력에 장애가 되는 것은 아니다. 대의제는 기속하지 않는 위임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른바 "역풍"을 맞아 다음 선거에서 낙선을 하여 더 이상 대표가 될 수 없는 불이익 외에 구체적인 기속은 받지 않기 때문이다.(중략)

그런데 앞서 보았듯이 우리의 경우 대부분의 법률에서는 이러한 모습은 관찰되지 않는다. 여야는 국민에게 대체로 보이지 않는 상임위에서 협상으로 법률안을 성립시키고, 본회의에서 대체로 만장일치에 가까운 다수로 통과시킨다. 그러나 그런데 여야의 사활적 이해관계가 걸린 법률의 경우, 이에 대해 예정된 앞서 말한 절차는 실제로 처음부터 준수되지 못한다. 소수당이 다수당의 표결을 상임위단계에서부터 "실력"으로 저지하기 때문이다. 이때 다수당의 선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법률안을 포기하거나 대폭 양보하여 합의점을 찾는 것 또는 날치기를 하는 것.

(중략)그렇다면 현재 우리 국회에서 여야의 사활적 이해관계가 걸린 법률은 다수당의 날치기에 의해 처리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적인 관찰이 나온다. 그리고 이것이 신한국당의 노동법 처리, 열린우리당의 사학법처리, 이번의 FTA 처리 등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이것은 고통스럽다. 우리 삶에 매우 중요한 법률이 그것의 정당성에 심각한 의문을 가지고 통과되기 때문이다.

***

이 글의 글쓴이는 언제나 여야 의견이 갈리는 법안의 경우 날치기밖에 없다는 답답함을 토로했지만, 8년 뒤 행정명령으로 사실상의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금을 보면 차라리 날치기가 나았다고 할 지 궁금하네요. 둘 모두 그것의 정당성에는 의문을 갖고 통과되지만, 행정부/여당은 상대적으로 정치적 손해를 적게 보면서 강행할 수 있게 되니.




4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342 정치 ".." 靑 경제수석, 경제성장률 대답 못해 쩔쩔 11 Fate 19/11/02 4088 1
17343 과학/기술"46년만에 발견된 장수하늘소 유충, 과학관서 무럭무럭" 6 메리메리 19/11/02 4059 2
17344 정치정대철 "홍석현 대표 추대설은 오보, 박영수 특검도 영입대상" OSDRYD 19/11/02 2562 1
17346 외신[가디언] 욱일기는 올림픽에서 금지되어야. 3 기아트윈스 19/11/03 3663 8
17347 사회KBS 독도 추락헬기 영상 미제공 논란에 "깊이 사과"(종합) 8 다군 19/11/03 2049 0
17348 정치박찬주 "공관 감은 공관병이 따야"...내일 갑질 논란 반박 기자회견 19 한겨울 19/11/03 3410 0
17349 정치"남자도 힘들다" 민주당 청년대변인 '82년생 김지영' 논평 철회 37 코페르니쿠스 19/11/03 4403 0
17350 스포츠뮌헨 대패 후폭풍, 코바치 감독 사임 3 손금불산입 19/11/04 2953 1
17351 사회'그대로 쿵!' 쏘나타·K5,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꼴찌'..말리부도 하위권 1 AGuyWithGlasses 19/11/04 2137 0
17352 사회소주병에 수지·아이린 사진 못 쓴다…복지부, 절주 유도 검토 24 Darker-circle 19/11/04 2625 1
17353 의료/건강"전화진료 후 택배로 약처방…한의사면허 정지 '정당'" 5 맥주만땅 19/11/04 3561 6
17354 정치박찬주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삼청교육대 보내야” 27 CONTAXND 19/11/04 3484 6
17355 스포츠키움 장정석과 결별…손혁 새 감독 선임 11 세란마구리 19/11/04 2671 0
17357 정치'순수 한국인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 이자스민 의원 인터뷰에 부글부글 27 맥주만땅 19/11/04 3531 0
17358 정치툭하면 입법 패싱, 위헌논란 부르는 문 정부 '시행령 정치' 16 Fate 19/11/04 2934 4
17359 정치한국당 영입 인재 “원자력, 하나님이 만든 에너지” 24 CONTAXND 19/11/04 3200 0
17360 국제중국 AIDS 내부고발자 왕슈핑, 국민의 목숨을 구하고 수난을 겪다 4 기아트윈스 19/11/04 2954 11
17363 사회통닭 값 비싼 이유 있었네…하림 등 4개 종계 사업자 담합 적발 5 swear 19/11/05 2275 1
17364 사회금싸라기 땅에 역세권 청년주택 짓는 청년 사업가 2인 3 기아트윈스 19/11/05 3388 2
17365 국제어떤 인도네시아 공보관의 죽음 2 기아트윈스 19/11/05 2758 8
17366 정치홍문종 "박찬주, 우리공화당으로 모셨다..조만간 발표" 12 Schweigen 19/11/05 2419 1
17367 문화/예술'기생충'부터 '엑시트'까지, 청룡영화상 후보작 무료 상영회 개최 1 grey 19/11/05 3009 0
17368 정치연세대 학생들이 건 '홍콩 해방' 현수막, 잇단 무단철거 5 CONTAXND 19/11/05 2041 1
17369 방송/연예‘투표 조작 의혹’ 프로듀스X 제작진 구속영장 실질심사 소노다 우미 19/11/05 3001 1
17370 IT/컴퓨터“안된다” “불가능하다”…24살 창업자에게 쏟아진 악담 소원의항구 19/11/05 240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