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9/10/30 14:18:22
Name   DX루카포드
Subject   유승민 "새 통계 기준에 비정규직 증가?…국민을 바보·원숭이로 알고 사기를 치는 것"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409971


2019. 8.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 부가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750만에 육박해 역대 최대규모, 정규직은 8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전체 임금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36.4%)은 2007년 이후 12년 만의 최고치였다 합니다.

구체적 수치로는 정규직(1307만8000명)은 지난해보다 35만3000명 줄고,
비정규직(748만1000명)은 1년 전보다 86만7000명 늘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방향과 반대되는 결과여서 파장이 있었는데요.


이에 대해 청와대 일자리수석과 통계청장은

'조사 기준이 바뀐 만큼 과거와 비교하기 어렵다'고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국제노동기구(ILO)의 개정 기준을 적용해 조사함에 따라 종전 기준에서는
정규직으로 분류됐을 근로자 35만∼50만 명이 비정규직에 새로 포함됐다는 설명입니다.

그래서 어떤 기준이 달라진 건지 보니, 고용 예상기간이 있는지 물은 결과
사실상 기간제로 일하는 사람이 대거 나왔다는 것입니다.

다만, 그런 '분류가 변경된' 비정규직의 숫자를 '35만~50만'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내놓지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저 추정수치중 가장 높은 50만이 새로운
'기준때문에' 발견된 비정규직 숫자로 가정한 전제로 올해 증가한 비정규직
수는 예년 기준이라면 36만 증가한 것이라며 역대 최대 '증가폭'이란 말은 사실이
아니라 주장했습니다. (기준이라는 것은 '질문'이 추가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유경준 한국기술교육대 교수(전 통계청장)는
“추가 질문 때문에 스스로를 비정규직으로 인지했다는 것은 확인이 되지 않는 주장”이라며
“조사 방식의 변경 때문이 아니라 경기가 안 좋고, 구조조정이 있었고, 최저임금이 급증해 비정규직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떠나서, 청와대와 통계청장의 일방적인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조사 방식 변경으로 새롭게 비정규직에 포함된 사람(35만∼50만 명)을 제외해도
비정규직은 올해만 36만7000∼51만7000명 늘어난 것으로
이 같은 비정규직 증가 폭은 2004년(78만5000명) 이후 가장 큰 수치입니다.
추가질문 탓을 뺀다 해도, '명예사'했다는거죠.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EB%B9%84%EC%A0%95%EA%B7%9C%EC%A7%81+%EA%B7%BC%EB%A1%9C%EC%9E%90+%ED%86%B5%EA%B3%84&oquery=%EB%B9%84%EC%A0%95%EA%B7%9C%EC%A7%81&tqi=UkCROlp0Jy0ssdt7q4ossssstdG-251174


그래프를 보시면 올해 비정규직 숫자가 급증하는데, 정부주장에 따라 작년과 다르게 집계된
정규직/비정규직 숫자를 35만으로 두면 (저는 이 쪽이 그럴듯하다고 생각하는데, 정규직의
줄어든 숫자가 35만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해도 비정규직 비율은 34%가 됩니다. 지금처럼
36.4%가 아니라 한들 그래프상 2013이후 최대치라는 점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정부는 그거 기준이 바뀌어서 그렇지 문제없는거다! 만 이야기하는데
그거 기준 예년상태로 보정해도 최악의 상황이다! 라는 점을 애써 흐리고 있다는 겁니다.

---

이에 대해 유승민 의원은 청와대와 통계청의 발표에 대해

"정말 국민을 바보로, 원숭이로 알고 조삼모사(朝三暮四)로 국민을 상대로 정부가 사기를 치는 것"
이라 강도높게 비판했습니다.

유승민 의원의 비판 논점은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서
'기준'이나 '질문'이 바뀌었다는 말부터가 거짓이라는 주장입니다.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는 2002년의 노사정 합의로 2003년부터 17년째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해오던 조사"
라며, 올해도 예년과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겁니다.

통계청이 주장하는 새로운 질문사항은, 이번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도입된 것이 아니라 합니다.

"ILO의 새로운 방식이란 고용동향 등을 조사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3·6·9·12월에 실시하는 부가조사로서
8월의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점을 '바보같은 국민과 언론'은 알아채지 못할 거라고 생각하고
3·6월에 ILO기준으로 조사한 것이 8월 조사에도 영향을 미쳐서
비정규직 숫자가 급증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을 속인 통계청장과 기재부 1차관을 즉각 해임하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총평 : 비정규직 근로자는 크게 증가했습니다.
      정부 주장을 그대로 믿어주더라도 2013 이후 최대 비율이라는 점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3, 6월에 계약기간 예측성에 대한 질문조사가 있어 이것이 8월 조사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정부 주장은 '아주 관계가 없는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유승민 의원은 아예 아무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 3, 6월의 질문내용을 보고
      자신을 비정규직으로 자각한 인원도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마치 8월조사에 새로운 기준이나 질문이 도입된 것처럼 주장하며
      통계자체를 시계열비교를 하면 안된다는 정부 주장은 더욱 기만적이라 봅니다.
      적어도, 8월 조사 질문이 달라진게 아니라면 통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작다고 봐야겠죠.
      그래서 35~50만이 그런 질문에 의해 확인된 비정규직이라는
      통계청이 제시한 숫자는 믿기어렵습니다. 근거도 없고요. 그래서 통계청이 제시한
      숫자중 최소인 35만 (이번 정규직 감소수와 동일한 숫자)을 그런 영향의 결과라
      봤을때, 그렇게 계산해도 비정규직 최대수치입니다. 언론이 호들갑이라고 반박하고
      있을 때가 아니에요. 불이 5층까지 왔다는데 사실은 3층까지밖에 안왔음 할 때가 아니라
      불이 난게 사실이니까 불을 꺼야 하는 겁니다.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111 사회참사 골목 경찰 5명 고정근무…작년엔 있었고 올핸 없었다 5 Cascade 22/11/04 2379 8
36979 경제'서학개미 순매수 상위' 비트코인 선물 ETF도 막혔다…업계 혼란 10 다군 24/01/12 2379 0
2692 스포츠'평양의 기적' 윤덕여호,우즈벡에 4대0승, 아시안컵 본선행! 알겠슘돠 17/04/11 2379 0
1180 정치'손학규-정진석-김종인-김종필' 독일식 내각제 추진으로 접점 모색하나 4 Dr.Pepper 16/12/14 2379 0
29437 정치‘성폭력 제명’ 박완주, 피해자 해고까지 시도했다 9 Beer Inside 22/05/13 2379 0
32259 IT/컴퓨터현대차 커넥티드카 '블루링크' 5시간 먹통…"정상화 완료"(종합) 9 다군 22/11/15 2378 0
16146 정치나경원 "'저성장 경제' 文정부야말로 '新 친일파'" 6 오호라 19/07/24 2378 0
15455 국제"70조원 쓰고도 환영 못받아" 토요타의 트럼프 작심비판 1 오호라 19/05/22 2378 0
29802 사회8월부터 서울 강남 도심에서 '자율주행 택시' 운행 4 swear 22/06/09 2378 0
22141 사회잿더미 된 사찰, 알고 보니…부처님 앞 "할렐루야!" 외친 '그 여자' 14 다군 20/10/27 2378 0
8584 경제보이스피싱인 줄 알았는데..2~3년만에 공사 합격전화 1 JUFAFA 18/03/13 2378 0
11168 정치도올 · 이국종 · 이회창까지..한국당의 '묻지마 추천' 9 JUFAFA 18/07/04 2378 0
13597 정치“김정은 환영, 모두 거리로” 146개 단체 ‘환영위원회’ 결성 8 우분투 18/11/29 2377 0
36910 정치한전 사장 “민영화한 이탈리아처럼 ‘탈 공기업’ 검토” 선언 35 야얌 24/01/03 2377 1
35898 사회서이초 '연필사건' 가해 학부모는 현직 경찰 22 the 23/08/22 2377 0
27195 게임e스포츠, 대한체육회 정식종목으로 채택 2 swear 21/12/27 2377 0
2131 정치"헌재 결과에 승복해야" 부메랑 돼 돌아온 박 대통령 발언 5 NF140416 17/02/28 2377 0
2181 정치더민주 정진우 [논평] 문모닝 국민의당, 벚꽃대선에 벚꽃처럼 시들지 모른다 4 Beer Inside 17/03/03 2377 0
1161 정치“박근혜 불치병 앓고 있어…그만 괴롭히자” 7 하니n세이버 16/12/13 2377 0
13213 국제"독일 전기레인지 해외직구 가격이 국내 판매가의 반값" 6 astrov 18/11/02 2377 0
31666 정치尹, 유병호 문자에 “감사원 업무 관여할 여유도 없어” 7 오호라 22/10/06 2377 0
5812 경제하이트진로 노조 전면 파업.. '참이슬 대란' 벌어지나 알겠슘돠 17/10/13 2377 0
7605 방송/연예고대영 KBS 사장 해임제청안 이사회 통과…이인호 이사장도 "사퇴" tannenbaum 18/01/22 2377 0
1722 정치대통령 측 "헌재, 증인신청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중대 결심 할 수도"(속보) 3 Vinnydaddy 17/01/25 2377 0
10429 정치손학규의 비긴 어게인..오락가락 시행착오 5 CONTAXS2 18/05/28 237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